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大唐平百濟國碑銘에 대한 고찰 | 김영관 | pp.1-34 |
|
|
新羅 神文王代 報德國民의 반란 | 정선여 | pp.35-68 |
|
|
숙종 6년(1680) 吳始壽 옥사의 검토 : 老·少論 分黨의 시원적 배경 | 김우철 | pp.101-142 |
|
|
홍계희의 편찬 및 간행 활동과 도통 의식 | 신항수 | pp.143-166 |
|
|
고려 말 보령지역의 왜구와 金成雨 | 윤용혁 | pp.69-99 |
|
|
18세기 후반 石室書院과 지식·지식인의 재생산 | 조성산 | pp.167-206 |
|
|
憲宗初 純元王后 垂簾聽政期의 官人 임용 양상과 權力 關係 | 임혜련 | pp.207-238 |
|
|
임술민란의 민중상에 대한 검토 : 근대지향성에 대한 반성과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 배항섭 | pp.239-266 |
|
|
『국역 주해 반계수록』의 번역자 논란 | 김수태 | pp.267-292 |
|
|
역사·언어와 혁명 : 민국시기 '以字詮史' 연구법의 성행과 유물사관의 초기 보급 | 도중만 | pp.293-332 |
|
|
루이 11세와 샤를 8세의 입성식에 나타난 스펙터클, 상징, 알레고리 : 중세 말의 '권력 센터(Power Center)' | 윤선자 | pp.333-372 |
|
|
잉글랜드 혁명기 잉글랜드와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교류 | 김중락 | pp.373-408 |
|
|
기념시설을 활용한 역사교육 : 독일의 경험에 대한 검토 | 최호근 | pp.409-442 |
|
|
G.A. 코헨의 사회주의 | 조승래 | pp.443-47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陈亚玲·肖自力, 「十年来太平天国史研究综述」, 纪念太平天国起义160周年学术研讨会 : 太平天国与中国近代社会 论文集 , 2011, p.463. | 미소장 |
2 | 김형종, 「청대후기 정치사연구동향과 쟁점」, 중국의 청사편찬과 청사연구 , 동북아역사재단, 2010, pp.170~171. | 미소장 |
3 | 新世紀 初頭(2000-2012年) 中國 太平天國史學界의 苦惱와 實驗的 挑戰 | 소장 |
4 | 須田努, イコンの崩壊まで , 青木書店, 2008 | 미소장 |
5 | 須田努, 「‘전후역사학’에서 이야기 된 민중 이미지를 지양한다」, 임술민란 150주년기념 학술대회-19세기 동아시아의 민중운동과 조선사회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HK사업단, 2012년 8월 | 미소장 |
6 | 須田努, 「運動史硏究 “原体驗”」, 歷史學硏究 816, 2006, p.33 | 미소장 |
7 | 송찬섭, 「중세해체기 농민항쟁 연구와 서술방향」, 역사학연구 18, 2008 ; | 미소장 |
8 | 배항섭, 「조선후기의 민중운동」,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 지식산업사, 2008a ; | 미소장 |
9 | Historical studies of the People&'s movem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and several issues that should be further explored | 소장 |
10 | 미군정기의 새로운 이해와 '사회사'적 접근의 모색 | 소장 |
11 | 민중운동사 이후의 민중사 : 민중사 연구의 현재와 새로운 모색 | 소장 |
12 | 민중사학을 넘어선 민중사를 생각한다 | 소장 |
13 | 일제시기 농민운동 연구의 동향과 모색 | 소장 |
14 | 일제시기 생활사를 보는 관점과 민중 | 소장 |
15 | 조경달 지음, 허영란 옮김, 민중과 유토피아 , 역사비평사, 2009. | 미소장 |
16 | 1862년 농민항쟁기 파견관리 李參鉉(1807~1872)의 활동 | 소장 |
17 | 김선경, 「19세기 농민 저항의 정치 : 1862년 농민항쟁, 官民 관계 위기와 법 담론」, 역사학연구 16, 2006. | 미소장 |
18 | 趙景達, 2009, 「政治文化の變容と民衆運動-朝鮮民衆運動史の立場から」, 歷史學硏究 859(增刊號) ; | 미소장 |
19 | Changes of the Ruling order and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course of the Common people's desire for Benevolent rule- | 소장 |
20 | 哲宗朝民亂 發生에 對한 試考 | 소장 |
21 | 金容燮, 「朝鮮王朝 最末期의 農民運動과 그 指向」, 韓國近現代農業史硏究 , 一潮閣, 1992, pp.362~363. | 미소장 |
22 | 鄭昌烈, 「조선후기 농민 봉기의 정치의식」, 韓國人의 生活意識과 民衆藝術 , 성균관대 출판부, 1984. | 미소장 |
23 | 정창렬, 「백성의식, 평민의식, 민중의식」, 한국신학연구소 편, 한국민중론 , 1984. | 미소장 |
24 | 韓國民衆史 2, 풀빛, 1986, pp.38~40. | 미소장 |
25 | 1862년 진주농민항쟁의 연구 | 소장 |
26 | 조경달, 「갑오농민전쟁의 지도자=전봉준의 연구」, 조선사총 7, 1983) | 미소장 |
27 | 조경달 지음, 박맹수 옮김, 이단의 민중반란 , 역사비평사, 2008 | 미소장 |
28 | Relativization of Modernity ![]() |
미소장 |
29 | People`s perception of things during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into the modern era`: Beyond acknowledging the conflict between `aspiring for Modernity` and `opposing modernity` ―Examination of the people`s perception of issues, like land ownership rig | 소장 |
30 | 哲宗朝의 民亂發生과 그 指向 : 晋州民亂 안핵문건의 分析 | 소장 |
31 | 조선후기 토지소유구조 및 매매관습에 대한 비교사적 검토 | 소장 |
32 | 鄭昌烈, 韓國神學硏究所 編, 「百姓意識, 平民意識, 民衆意識」, 韓國民衆論 , 1984. | 미소장 |
33 | 알랭 투렌 지음, 조형 옮김, 脫産業社會의 社會理論 : 행위자의 복귀 , 이화여대출판부, 1994, p.13. | 미소장 |
34 | 深谷克己, 深谷克己 編, 「民衆運動史研究の今後」, 民衆運動史ー近世から近代へ 五, 青木書店, 2000, p.12. | 미소장 |
35 | E. P. Thompson, Customs in common(Penguin Books, 1993), pp.6~7. | 미소장 |
36 | 에릭 홉스봄, 金東澤 외 옮김, 抵抗과 叛逆 그리고 재즈 , 영림카디널, 2003, pp.232~236. ; | 미소장 |
37 | The Moral Economy of the English Crowd in the Eighteenth Century ![]() |
미소장 |
38 | 조오지 뤼데, 박영신·황창순 역, 이데올로기와 民衆의 抵抗 , 現象과 認識, 1993, pp.46~57, p.71 | 미소장 |
39 | Paul H. Freedman, Images of the medieval peasan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p. 298. | 미소장 |
40 | 19세기 임술민란에 있어서의「향회」와「요호」 | 소장 |
41 | 金仁杰, 「朝鮮後期 村落組織의 變貌와 1862年 農民抗爭의 組織基盤」 震檀學報 67, 1989; | 미소장 |
42 | 고석규, 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연구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참조. | 미소장 |
43 | 제임스 스코트, 농민의 도덕경제 : 동남아시아의 반란과 생계 , 아카넷, 2004 | 미소장 |
44 | The Moral Economy of the English Crowd in the Eighteenth Century ![]() |
미소장 |
45 | Katheyn Bernhardt, Rents, Taxes, and Peasant Resistance: The Lower Yangzi River, 1840~1950(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pp.75~76. | 미소장 |
46 | 刘永华, 「17至18世纪闽西佃农的抗租-农村社会与乡民文化」, 中国经济史研究 , 1998年 第3期 | 미소장 |
47 | Alexander Woodside 지음, 민병희 옮김, 잃어버린 근대성들 , 너머북스, 2012, p.66. | 미소장 |
48 | Chang, Chung-Li, The Chinese Gentry : Studies on Their Role in Nineteenth-Century Chinese Society(Sea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55), pp.139~141. | 미소장 |
49 | 18·19세기 身分制 변동 추세와 身分 지속성의 경향 ![]() |
미소장 |
50 | 宮嶋博史, 「東アジア小農社會の形成」 長期社會變動-アジアから考える(6) , 東京大學出版會, 1994; | 미소장 |
51 | 동아시아 소농사회론과 사상사연구 ![]() |
미소장 |
52 | 卞利, 「明清徽州村规民约和国家法之间的冲突与整合」, 期华中师范大学学报(人文社会科学版) 第45卷 第1期, 2006. | 미소장 |
53 | 渡辺尙志, 「近世村落共同体に関する一考察-公同体の土地関与への仕方 を中心に」, 歷史評論 451, 1987. | 미소장 |
54 | 「鄕約節目」, 호서문화연구 6, 1987. | 미소장 |
55 |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Reform Theories in Korea and Vietnam during the 19th Century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ifferences in Landownership Institutions and Customs - | 소장 |
56 | 吉田恒, 「農民の價値規範と土地所有-ドイモイ後の北部ベトナムにおける土地使用權集積の事例-」, 東京大學 新領域創成科學硏究科 國際協力學專攻 修士論文, 2008. | 미소장 |
57 | 刘永华, 「17至18世纪闽西佃农的抗租-农村社会与乡民文化」, 中国经济史研究 , 1998年 第3期. | 미소장 |
58 | 卞利, 「明清时期徽州的宗族公约研究」, 中国农史 2009년 3월 | 미소장 |
59 | 鄭昌烈, 韓國史硏究會 編, 「東學과 農民戰爭」, 韓國史硏究入門 , 知識産業社, 1981, p.449. | 미소장 |
60 | 오길보, 「갑오농민전쟁과 동학」, 역사과학 3, 1959. | 미소장 |
61 | 안병욱, 「갑오농민전쟁의 성격과 연구현황」, 한국근현대연구입문 , 역사비평사, 1988, p.4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