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영화 초반 찰리는 원작의 구속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원작 그대로의 주제와 무게를 지키려는 그의 소신은 오히려 시나리오로의 각색 작업을 방해하고 자유로운 글쓰기를 억압한다. 원작에서 벗어나고 싶은 찰리의 무의식은 쌍둥이 동생 도널드의 분방한 성격과 자유로운 글쓰기의 장면으로 형상화된다. 그런 점에서, 상반된 성격의 쌍둥이 형제라는 설정은 자기만의 예술적‧철학적 이야기 세계를 지키려는 욕망과 상업적 오락중심의 이야기를 취하고자 하는 욕망 사이에 놓이는 글쓰기의 갈등과 고민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장치가 된다. 이야기를 만드는 작가와 그 이야기의 모델, 원작의 이야기와 각색 이야기 사이의 미묘하고 복잡한 관계 구도를 영화 <어댑테이션>은 흥미롭게 보여준다. 찰리는 시나리오를 위한 각색 과정에서 결국 스스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는 사회와 세상에 대한 그 나름의 ‘각색’ 혹은 ‘고쳐/다시 쓰기’의 의미로 해석된다.

This thesis looks into the problem of 'Adaptation' and 'writing' in Adaptaion(2002) directed by Spike Jonze and written the play by Charlie Kaufman. This film make us think the meaning of writing as a transference from one work to the other.

The story of this film is focusing on the main character's(Charlie Kaufman)alteration while trying to write a screenplay. The screenplay is all adaptation of The Orchid Thief written by Susan Orlean. But The Orchid Thief does not have a dramatic narrative item and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but it has a lot of informations about orchid. Therefore, Charlie Kaufman has difficulties in doing an adaptation.

The other side, his twin younger brother Donald Kaufman writes and behaves freely without his anxiety. Donald Kaufman writes a sceenplay for an entertaining movie, and makes a hit in the amusement industry. Twin brothers Charlie and Donald are the double selves of a writer. They stand as a symbol of writer's desires. A writer has two desires of an art work and a popular work. Donald is the other self of the real writer, Charlie Kaufma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author, Susan Orlean and the model of The Orchid Thief, John Laroche is interesting. They symbolize an author and a subject

matter individually. Susan has a great longing for John's fervor. But she doesn't defend her own work of the story because of infatuating with the model of the story.

Adaptaion has an antipodea phase in a story. The first half of that film has a speculative and serious story, but the latter half has a exciting and entertaining story. This aspect of Adaptaion explains the distress of writing or adaption itself. Writing or reforming composition is a kind of quarrel.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스파이크 존즈(감독), <어댑테이션>, 2002. 미소장
2 수잔 올린, 김영신․이소영 역, <난초도둑>(원제 ‘The Orchid Thief'), 현대문학, 2003. 미소장
3 강현구, 대중문화와 문학 , 보고사, 2004. 미소장
4 김정은, 대중문화 읽기와 비평적 글쓰기 , 민미디어, 2003. 미소장
5 Writing as culture in the uncultured age-Groping for setting the goal of a writing subject as cultural education in college 소장
6 김중철, 소설을 찾는 영화, 영화를 찾는 소설 , 도서출판 월인, 2008. 미소장
7 The Meaning of ‘Writing’ in a Film-A Focus on the Film Poetry 소장
8 김혜리, 「영화 ‘어댑테이션’ 리뷰」, 씨네 21 , 2003.5.7. 미소장
9 나병철,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 소명출판, 2009. 미소장
10 이상길·이설희·김지윤, 「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소비 경험의 변화」, 언론과 사회 16권 2호, 성곡언론문화재단, 2008, 148-189쪽. 미소장
11 문학과영상서사연구회, 영화? 영화! 문학의 시각으로 본 영화 , 글누림, 2006. 미소장
12 박영욱,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 김영사, 2009. 미소장
13 랄프 슈넬, 강호진 외 역, 미디어미학 , 이론과실천, 2005. 미소장
14 조셉 보그스, 이용관 역,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 제3문화사, 1995. 미소장
15 로버트 리처드슨, 이형식 역, 영화와 문학 , 동문선, 2000. 미소장
16 로버트 맥키, 고영범,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 황금가지, 2002. 미소장
17 최예정․김성룡,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 글누림, 2005. 미소장
18 하유상, 시나리오의 이론과 실제 , 성문각, 1993. 미소장
19 http://blog.yes24.com/blog/blogmain.aspx?blogid=stainboy81&artseqno=7187034 미소장
2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ewyearsday_&logNo=5015131285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