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쉐, 포쉐, 카쉐 개념을 적용한 건축 개념적 틀 구축에 대한 연구
|
양해영, 박희영, 이길임, 조승구
|
pp.1-12
|
|
|
|
철도역사 선로 및 역사 유형별 동선 및 기능공간 배치 만족도 조사분석
|
이정수, 양승희, 이정원
|
pp.13-20
|
|
|
|
공동주택 공동공간에서의 범죄예방을 위한 거주자참여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정윤혜, 이유미, 이윤재
|
pp.21-30
|
|
|
|
일사조절외피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경림, 이경선
|
pp.43-53
|
|
|
|
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공적 공간구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신병윤
|
pp.31-42
|
|
|
|
전남지방 전통주택 기둥상부 결구방식의 구성과 치수 : 안채/민도리식을 중심으로
|
박찬
|
pp.55-62
|
|
|
|
주거환경 내 수공간 도입유형에 따른 계획특성 및 효과 분석
|
오상목, 조인성, 오세규
|
pp.73-81
|
|
|
|
공항규모별 여객터미널 평면형태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
박정근
|
pp.83-92
|
|
|
|
농촌주택 부속사 공간의 변화와 개선방안
|
최장순
|
pp.101-108
|
|
|
|
국립대학 생활관의 시설배치계획에 관한 이용자 평가 연구
|
우영식, 신용재
|
pp.109-118
|
|
|
|
한국 가톨릭 순례성지 공간구성 및 시설 계획 연구
|
최재상, 고성룡
|
pp.119-130
|
|
|
|
아파트 주동의 평면배치에 대한 시각적 침해도 그래프 분석기술
|
김석태, 안상욱
|
pp.131-139
|
|
|
|
국가전략적 특화공간으로서 부산 차이나타운의 기능 부여에 관한 연구 : 법정계획을 중심으로
|
이광국
|
pp.141-149
|
|
|
|
괴산 김기응 가옥의 개인영역과 공간깊이에 관한 연구
|
홍유선, 이강훈
|
pp.151-158
|
|
|
|
이탈리아 파시스트당사의 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 1922 ∼ 1943
|
이대진
|
pp.159-166
|
|
|
|
엘 리씨츠키의 추상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에 관한 연구
|
이상수, 오장환
|
pp.167-174
|
|
|
|
구성주의학습이론에 근거한 친환경건축수업 학습안에 관한 연구 : 웹퀘스트학습이론을 중심으로
|
민상충
|
pp.175-182
|
|
|
|
가로경관적 관점에서 이도2지구 내 건축물의 형태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형섭, 박철민
|
pp.193-201
|
|
|
|
축하중을 고려한 복합병렬전단벽 접합부의 전단강도 평가
|
최윤철, 최창식
|
pp.203-210
|
|
|
|
화산성지진의 거리감쇠식 도출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오상훈, 신승훈
|
pp.227-235
|
|
|
|
거주자 선호도 평가를 통한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안태진, 고성석, 송도흠
|
pp.237-245
|
|
|
|
타워크레인 주요 공종별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설치, 해체, 상승작업을 중심으로
|
이종균
|
pp.247-255
|
|
|
|
야간 도시주거지역 광고물의 인근 주택 창문 휘도 영향 조사
|
정근주
|
pp.257-264
|
|
|
|
아파트의 주동 형태에 따른 채광 및 에너지성능에 관한 연구
|
이지은, 이강업
|
pp.265-272
|
|
|
|
노인복지시설의 입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송준민, 정재용
|
pp.63-72
|
|
|
|
전통목구조 프레임의 수평내력 모델의 평가
|
이영욱, 황종국, 황재승
|
pp.211-217
|
|
|
|
현장 계측에 의한 단층구조 전통목구조물의 고유주기 추정
|
황재승, 황종국, 이영욱
|
pp.219-226
|
|
|
|
일본의 건축기술서 匠明의 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 堂記集을 중심으로
|
성대철
|
pp.183-192
|
|
|
|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소
|
정재훈
|
pp.93-10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