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한국어사 지식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 학문 목적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 권화숙 | pp.39-69 |
|
|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의 이론과 실제 | 강현화 | pp.1-38 |
|
|
통사적 매개변수의 이항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 아동의 신속한 언어 습득을 고려하여 | 김명광 | pp.71-93 |
|
|
가치 계승 목적 한국어의 개념 정립 및 범주 설정 | 김민우 | pp.95-116 |
|
|
음성학을 활용한 발음 교육 및 습득 연구 동향 | 김선정 | pp.117-139 |
|
|
다문화 멘토링의 운영과정과 활동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 강원도 지역 K대학의 다문화 멘토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박인옥 | pp.171-192 |
|
|
언어맥락적 상세화와 협동적 출력 과제를 통한 한국어 완료상 교수 방안 연구 | 박선희 | pp.141-169 |
|
|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기쁘다'와 '즐겁다'의 사용 패턴 비교 연구 | 신인환 | pp.193-219 |
|
|
발음 평가에 있어서 정확성, 유창성, 이해명료성, 이해가능성 기준 간의 영향 관계 연구 | 이향 | pp.221-243 |
|
|
한국어교육용 연결어미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 구어·문어 빈도 및 교재 중복도 등의 객관적 지표를 중심으로 | 이현정, 최영롱 | pp.245-269 |
|
|
현대단편소설을 활용한 고급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 인지의미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임유미, 이희정 | pp.271-299 |
|
|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고찰 | 조병준, 고정은 | pp.301-327 |
|
|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논의 :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하채현, 이무조 | pp.329-352 |
|
|
한국어 부정어의 도상적 연구 : '안-', '-지 않다'를 중심으로 | 함계임 | pp.353-375 |
|
|
외국어 발음습득과 음운 지식에 대한 연구 | 허용 | pp.377-39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소영(2012) 오류분석을 통한 연결어미 지도 방안: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공혜남(2012)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보 관계 연결어미 교육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길지혜(2010) 한국어 구어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경화(2011) 한국어 시간관계 연결어미의 교수방안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 집문당. | 미소장 |
6 | 김숙자(2013) 인과관계 연결어미 ‘-어서’와 ‘-(으)니까’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정숙 외(200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 국립국어원. | 미소장 |
8 | 김정연(2013)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지혜(2009) 한국어 이유 표현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제열(2001)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 한국어교육 ,제12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미소장 |
11 | 김제열(2004) 한국어 교육 문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중급1단계를 중심으로-, 문법 교육 , 제1권, 한국문법교육학회. | 미소장 |
12 | 김호정(2012) 한국어교육 문법 표현 내용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 미소장 |
13 | 권수정(2010)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학습방안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박대범(2008)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유․원인의 연결표현 교육 연구, 상명대학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방성원(2004) 한국어 문법화 형태의 교육 방안: ‘다고’관련 형태의 문법 항목 선정과배열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제15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미소장 |
16 | 성진선(200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연구: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士林語文硏 究 제14권,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사림어문학회. | 미소장 |
17 | 안주호(2002)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 , 제13권,국제한국어교육학회. | 미소장 |
18 | 안주호(2004) 한국어교육에서의 어미 제시순서에 대한 연구, 배달말 , 배달말학회. | 미소장 |
19 | 안주호(2008)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의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길래}를 중심으로, 한말 연구 , 한말연구학회. | 미소장 |
20 | 유현경(2003)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대하여, 한글 , 한글학회. | 미소장 |
21 | 유혜령(2005) 국어지식 교육 내용 구성의 원리 : 연결어미 체계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 제32집, 청람어문교육학회. | 미소장 |
22 | 윤경애(2008) 중국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 조건 표현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이관규(2012) 학교문법론 , 월인. | 미소장 |
24 | 이미정(2012) 한국어 목적 연결어미의 나선형 교육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이수연(2011) 한국어 문법교육에서의 연결어미 연구: 시간표현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이현정(2012) 경영학 전공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공 기본어휘 선정 연구-어휘의공기관계 분석 및 조어 단위 접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임지아(2010)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임진숙(2008)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교재 연구: 한국어 연결어미와 복합형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최정순(2006)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이중언어학 , 제31호, 이중언어학회, 277-313. | 미소장 |
30 | 하지선(2006)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기능 연결어미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한예진(201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목적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