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朝鮮總督府, 生活狀態調査 其1 : 水原郡 , 朝鮮總督府, 1929. |
미소장 |
2 |
酒井政之助, 發展せる水原 , 酒井政之助, 1914. |
미소장 |
3 |
酒井政之助, 水原 , 酒井出版部, 1923. |
미소장 |
4 |
酒井政之助, 華城乃影 , 酒井出版部, 1915. |
미소장 |
5 |
지방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
소장 |
6 |
권태환, 「일제시대의 도시화」 일제 식민통치와 사회구조의 변화 , 정신문화연구원, 1990. |
미소장 |
7 |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 민음사, 2005. |
미소장 |
8 |
김민철, 「식민지조선의 경찰과 주민」 일제 식민지지배의 구조와 성격 , 경인문화사, 2005. |
미소장 |
9 |
김민철, 기로에 선 촌락 , 혜안, 2012. |
미소장 |
10 |
식민지 시기 한국 도시사 연구의 흐름과 전망  |
미소장 |
11 |
일제 말기 향촌 儒生의 '日記'에 반영된 현실인식과 사회상
|
소장 |
12 |
박석두, 「일제하 자영지주의 농가경제에 관한 연구 -구례군 토지면 「柳氏家文書」를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8. |
미소장 |
13 |
朴成壽, 註解, 渚上日月 , 민속원, 2003. |
미소장 |
14 |
박수환, 「구례 류씨 생활일기 紀語를 통해 본 근대생활의 일면들」 생활문물연구 12, 2004. |
미소장 |
15 |
The Realities and the Role of Local Newspapers under the Imperialist Japanese Rule
|
소장 |
16 |
손정목, 조선시대 도시사회 연구 , 일지사, 1988. |
미소장 |
17 |
손정목, 한국지방제도ㆍ자치사 연구(상) , 일지사, 1992. |
미소장 |
18 |
일제 식민지 강점기 邑誌의 편찬과 그 특징
|
소장 |
19 |
한말ㆍ일제 초 ‘지방지식인’의 근대적 제도 및 문물에 대한 경험과 인식 : 生活日記類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소장 |
20 |
이영훈 외, 맛질의 농민들 , 일조각, 2001. |
미소장 |
21 |
이용기, 「19세기 후반~20세기 중반 동계와 마을자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22 |
한말~일제시기 ‘생활일기’를 통해 본 촌락사회상  |
미소장 |
23 |
정병욱ㆍ이타가키 류타 편, 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국가 ,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24 |
Modern Tourism of Colony Chosun in the 1930s
|
소장 |
25 |
The realities of a school trip in 1920s and Social recognition
|
소장 |
26 |
지수걸, 「일제시기 재조선 일본인 사회와 조선의 ‘지방 정치’」 근대교류사와 상호인식 Ⅱ, 아연출판부, 2007. |
미소장 |
27 |
시가지 개조를 둘러싼 지역주민의 식민지 경험 : 안성의 철도 · 시장 · 공원 그리고 지역주민
|
소장 |
28 |
식민지 구관조사의 목적과 실태 : '시장조사'를 중심으로
|
소장 |
29 |
허영란, 일제시기 장시 연구 , 역사비평사, 2009. |
미소장 |
30 |
지역사 연구와 지방지 편찬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소장 |
31 |
鹿野政直, 化生する歷史學-自明性の解體のなかで- , 校倉書房, 1998. |
미소장 |
32 |
松田利彦, 日本の朝鮮植民地支配と警察 , 校倉書房, 2009. |
미소장 |
33 |
板垣龍太, 朝鮮近代の歷史民族誌 - 慶北尙州の植民地經驗 , 明石書店, 2008.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