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meaning of ‘movie-viewing experience’ in a movie theater, through a analyzing the film ‘Samgeori Theater’. Film as a genre and movie theater as a place are different in a conception. A movie theater is the symbolic place of popular culture in our time. The film ‘Samgeori Theater’ has many interesting scenes related with movie theater experience. The story of this film is that the heroine Sodan has a good time along with ghosts in the Samgeori theater. The ghosts are actors and actresses of a discontinued film at the Samgeori theater. They wish to continue to show that film. Sodan rescues the ghosts(actors and actresses) from suffering in a way to find that film and to continue to show it. In this film ‘Samgeori Theater’, darkness of movie theater has a meaning of a essential element to mutual understand between spectators and characters. And this film demolishes a boundar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or between inside of film-story and outside of it. Characters in a film come out of a screen into the movie theater. The film ‘Samgeori Theater’ shows that many desires are in a movie theater, and that a movie theater consummates understanding and curative funct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용과 창작을 통한 시 치료 방안 검토 = Acceptance and creation for literary lessons through poetic therapy : case study :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관 p.223-244

『九雲夢』과 『金剛經』의 대응양상=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九雲夢』 and 『金剛經』.the part 4 . 속4 유병환 p.105-125

에코페미니즘의 이해와 시교육 방법 연구 = Understanding of ecofeminism and the method of poetry education 이연승 p.191-221

고전시가의 패러디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실제와 과제 =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asks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arody of classical poetry 최홍원 p.5-36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연구 = Th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ansori' education at new 'Korean'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 2011년 도입 『국어』 교과서의 판소리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김남석 p.37-65

杜詩 「同谷七歌」의 韓國的 受容의 한 樣相 = An aspect of the acceptance of Donggokchilga (同谷七歌) in Korean poems 손찬식 p.67-103

The period of American post-war influence on South Korean education= 2차 세계 대전후 미국의 한국 교육에 미친 영향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ng prim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Lee, Dong-bae p.127-153

詩 쓰기 교육의 효율적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improvement method of poetry writing education : focusing o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education : 초·중·고 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이지엽, 유동순 p.155-190

2011년 도입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전략 분석 = Analysis of writing strategies in 「Korean」 textbook for high school : based on self-regulated writing strategies : 자기 주도적 쓰기전략을 중심으로 오세영 p.245-281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교수요목에 대한 소고 = The proposal of the syllabus of lectures for Korean residents aborad : the needs analysis–based of learners :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김수미 p.283-300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language cultur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 focusing on 「Shimcheon-jeon」, the Pansori novel :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을 중심으로 김미진 p.301-329

2000년대 중국조선족 시의 전개양상과 주제적 특성 연구 = The present and thematic study of Korean Chinese poems in the 2000s 송명희, 정봉희 p.331-359

오세영 시의 인지구성과 존재의식 = A study on Oh, Sae-young's poetry in cognitive constitution & being consciousness 이송희 p.361-385

극장에서의 영화 관람 체험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movie-viewing experience in a movie theater : a focus on the film 'Samgeori Theater' : 영화 「삼거리 극장」에 대한 메타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중철 p.387-410

일제 말기 박영호 희곡 연구 = A study on the plays by Park Yeong-Ho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ing : with a focus on Lamplights, Wild Boars, and Water Birds : 「등잔불」, 「산돼지」, 「물새」를 중심으로 육정희 p.411-440

시 각색 문예영화에 나타난 셔레이드 기법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film based on the poetry 정진경 p.441-469

강원영동지역문학 연구 = The study o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 탈식민의 계보학적 탐구를 중심으로 남기택 p.471-495

「普覺國尊碑銘」의 문화콘텐츠적 탐색 = The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on 「Bogakgukjonbimyeong」 이동근, 정호완 p.497-528

근대전환기 漢文小說의 성격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vels written in Chinese at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김형중 p.529-552

준말에서의 어미 결합 제약에 대하여 = On the nature of the restricted conjugation of reduced predicate forms 송홍규 p.553-579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영화 「삼거리 극장」, 전계수 감독, 엘레이필름(주) 제작, 2006. 미소장
2 김성태, 영화 , 은행나무, 2003. 미소장
3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관 체험 소장
4 남태제, 7080 이야기꽃이 피었습니다 , 미디어윌, 2004. 미소장
5 박기현, 문화콘텐츠를 위한 미디어미학 , 도서출판 만남, 2006. 미소장
6 박노현, 「극장의 탄생」, 거울과 미로 , 동국대 한국문화연구소 편, 천년의 시작, 2006. 미소장
7 극장 구경 가다 : 근대 극장과 대중문화의 형성 소장
8 영화, 영화관, 상상의 섬 소장
9 심혜련,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 살림, 2006. 미소장
10 유선영, 「극장구경과 활동사진 보기」, 역사비평 2003 가을호, 2003. 미소장
11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 도서출판 소도, 2004. 미소장
12 장성란, 「‘삼거리 극장’ 한국 뮤지컬 영화의 새로운 희망」, 씨네티즌 ,2006.11.23. 미소장
13 한국영화의 부활, 사라지는 옛 극장들 소장
14 지윤희, 「뮤지컬 영화와 뮤지컬 산업의 상관관계 분석 : 뮤지컬 영화 ‘헤어스프레이’ ‘삼거리 극장’을 중심으로」, 상명대 석사논문, 2008. 미소장
15 황진미, 「전대미문의 뮤지컬 영화 ‘삼거리 극장’」, 2007년 올해의 좋은 영화 , 푸른사상, 2007. 미소장
16 호현찬, 한국영화 100년 , 문학사상사, 2003. 미소장
17 가스통 바슐라르, 곽광수 역, 공간의 시학 , 동문선, 2003. 미소장
18 그래엄 터너, 임재철 역, 대중 영화의 이해 , 한나래, 1994. 미소장
19 랄프 슈넬, 강호진 외 역, 미디어 미학 , 이론과 실천, 2005. 미소장
20 레지 드브레이, 정진국 역, 이미지의 삶과 죽음 , 열화당, 1994. 미소장
21 발터 벤야민, 반성완 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민음사, 1995. 미소장
22 오몽 등, 강한섭 역, 영화학, 어떻게 할 것인가 , 열린책들, 1996. 미소장
23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0/01/2008100101038.html 미소장
24 http://blog.naver.com/hyun0707/60034014385 미소장
25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814172423&S ection=0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