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meaning of ‘movie-viewing experience’ in a movie theater, through a analyzing the film ‘Samgeori Theater’. Film as a genre and movie theater as a place are different in a conception. A movie theater is the symbolic place of popular culture in our time. The film ‘Samgeori Theater’ has many interesting scenes related with movie theater experience. The story of this film is that the heroine Sodan has a good time along with ghosts in the Samgeori theater. The ghosts are actors and actresses of a discontinued film at the Samgeori theater. They wish to continue to show that film. Sodan rescues the ghosts(actors and actresses) from suffering in a way to find that film and to continue to show it. In this film ‘Samgeori Theater’, darkness of movie theater has a meaning of a essential element to mutual understand between spectators and characters. And this film demolishes a boundar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or between inside of film-story and outside of it. Characters in a film come out of a screen into the movie theater. The film ‘Samgeori Theater’ shows that many desires are in a movie theater, and that a movie theater consummates understanding and curative function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영화 「삼거리 극장」, 전계수 감독, 엘레이필름(주) 제작, 2006. | 미소장 |
2 | 김성태, 영화 , 은행나무, 2003. | 미소장 |
3 |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관 체험 | 소장 |
4 | 남태제, 7080 이야기꽃이 피었습니다 , 미디어윌, 2004. | 미소장 |
5 | 박기현, 문화콘텐츠를 위한 미디어미학 , 도서출판 만남, 2006. | 미소장 |
6 | 박노현, 「극장의 탄생」, 거울과 미로 , 동국대 한국문화연구소 편, 천년의 시작, 2006. | 미소장 |
7 | 극장 구경 가다 : 근대 극장과 대중문화의 형성 | 소장 |
8 | 영화, 영화관, 상상의 섬 | 소장 |
9 | 심혜련,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 살림, 2006. | 미소장 |
10 | 유선영, 「극장구경과 활동사진 보기」, 역사비평 2003 가을호, 2003. | 미소장 |
11 |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 도서출판 소도, 2004. | 미소장 |
12 | 장성란, 「‘삼거리 극장’ 한국 뮤지컬 영화의 새로운 희망」, 씨네티즌 ,2006.11.23. | 미소장 |
13 | 한국영화의 부활, 사라지는 옛 극장들 | 소장 |
14 | 지윤희, 「뮤지컬 영화와 뮤지컬 산업의 상관관계 분석 : 뮤지컬 영화 ‘헤어스프레이’ ‘삼거리 극장’을 중심으로」, 상명대 석사논문, 2008. | 미소장 |
15 | 황진미, 「전대미문의 뮤지컬 영화 ‘삼거리 극장’」, 2007년 올해의 좋은 영화 , 푸른사상, 2007. | 미소장 |
16 | 호현찬, 한국영화 100년 , 문학사상사, 2003. | 미소장 |
17 | 가스통 바슐라르, 곽광수 역, 공간의 시학 , 동문선, 2003. | 미소장 |
18 | 그래엄 터너, 임재철 역, 대중 영화의 이해 , 한나래, 1994. | 미소장 |
19 | 랄프 슈넬, 강호진 외 역, 미디어 미학 , 이론과 실천, 2005. | 미소장 |
20 | 레지 드브레이, 정진국 역, 이미지의 삶과 죽음 , 열화당, 1994. | 미소장 |
21 | 발터 벤야민, 반성완 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민음사, 1995. | 미소장 |
22 | 오몽 등, 강한섭 역, 영화학, 어떻게 할 것인가 , 열린책들, 1996. | 미소장 |
23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0/01/2008100101038.html | 미소장 |
24 | http://blog.naver.com/hyun0707/60034014385 | 미소장 |
25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814172423&S ection=0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