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매체이용 심리치료자들의 수퍼비전 요구 척도 개발 = Development in Supervision Needs Scale for Psychotherapists Using Media 홍주연, 서귀남 p.481-500
성별에 따른 주요우울증의 DSM-IV 증상 연구 = Gender Differences in DSM-IV Major Depression Symptoms : Based on Korean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K-PDSQ) : 한국판 정신장애 진단선별질문지(Korean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K-PDSQ)를 중심으로 이동훈, 함경애, 김지윤, 김민경, 정성원, 김정범 p.501-522
적대적 반항장애 아동의 장기 모래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Long-term Sand Play Therapy for a Child with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김선영, 김장회 p.427-462
사회적 지지와 사회 참여, 삶의 만족도가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y 공마리아, 강윤주 p.463-480
정서중심 상호작용 부모교육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motion-Focused Interaction Training of Parents on the Target Behaviors of Children Who Are Non-adaptive to School 이승희 p.523-544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Aggressiveness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남순희, 백용매 p.545-564
노인의 향유 신념과 향유 방식이 삶의 의미와의 관계 = The relation between the meaning in life and savoring beliefs, ways of savoring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조은희, 이영순 p.565-585
특성화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부적응적 방어기제 및 만성적 지연행동과 진로미결정수준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Maladaptive Defense, Chronic Procrastination, and Career In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김덕주, 권혁철 p.587-605
성격 특성과 진로성숙도, 진로결정 수준, 진로탐색 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rait,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김동원 p.607-625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 A Meta Analysis on the factors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박미애, 김세경, 천성문 p.627-652
생활명상 호오포노포노에 나타난 치료적 의의 = Significance of meditation effect in Hoo'ponopono 박상조 p.653-677
아동의 동적 집-나무-사람(H-T-P) 그림 반응 특성과 우울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Kinetic House-Tree-Person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김택호, 배숙경 p.679-698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은희 (2004). 수퍼비전 스타일에 따른 수퍼바이저의 기능 및 과업 수행분석. 이화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상담교육방법으로서의 개인 슈퍼비젼 모델에 관한 복수 사례연구 소장
3 A review on Couneling Supervision Research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4 김지은 (2003). 놀이치료자가 평가한 가장 만족스러웠던 수퍼비전 경험과 가장 만족스럽지 못했던 수퍼비전 경험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남정현 (2007). 집단미술치료의 치료요인 척도 개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박재황, 김계현, 노안영, 김진숙 (1996). 청소년 상담 수퍼비전.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미소장
7 The Influence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the Supervisee`s Experience Level on His or Her Role Difficulties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소장
8 Components of Effective Supervision by Supervisor Behaviors 소장
9 심흥섭 (1998).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양은실 (1998). 놀이치료자의 놀이성과 경력,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11 양현숙 (2004). 아동상담사가 지각하는 수퍼비전 내용과 수퍼바이저 역할에 대한 인과 변인 분석.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위지향 (2003).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숙명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upervision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소장
14 이수현 (2008). 수퍼비전 기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장현주 (2009). 놀이치료 수퍼비전 과정에서의 작업동맹 및 자기개방과 놀이치료사의 심리적 소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천혜숙 (2007).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의 작업동맹, 치료자의 자기개방 및 자기효능감의 관 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최한나 (2007). 좋은 수퍼비전 관계에 대한 수퍼바이지의 인식 차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홍영식 (2011). 상담 슈퍼비전에서 상담자의 자각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 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홍주란 (2001). 놀이치료자의 수퍼비젼 현황 및 수퍼비젼에 대한 지각과 기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홍주연 (2010). 말(馬) 심리치료 요인의 질적분석에 근거한 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대구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홍지영(2005). 수퍼바이저의 스타일이 수퍼비전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미소장
22 Bernard, J. M., & Goodyear R. K. (1992).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Needham Heights: Allyn & Bacon. 미소장
23 Bernard, J. M., & Goodyear R. K. (2004).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3r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미소장
24 Bond, T. (1993). Standards and ethics for counseling in action. London: sage. 미소장
25 Brammer, L. M., & Wassmer, A. G. (1997). Supervision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D. J. Kurpius, R. D. Baker & J. D. Tomas (Eds), Supervision of Applied Training, Westport, CT: Greenwood, 43-82. 미소장
26 Counseling Supervisors: Standards for Preparation and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27 Holloway, E. L. (1999). A Framework for supervision training. Training counseling supervisors, 8-43. London: Sage. 미소장
28 Supervision: its contributions to treatment efficacy. 네이버 미소장
29 Rea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supervision research: Comment on Ellis et al. (1996), Ladany et al. (1996), Neufeldt et al. (1996), and Worthen and McNeill (1996). 네이버 미소장
3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Trainees' Experience o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네이버 미소장
31 Landreth, G. L. (1991). Play therapy : The art of relationship. Bristol: PA: Accelerated Development. 미소장
32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네이버 미소장
33 The Effects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n Worker Outcomes 네이버 미소장
34 Moustakas, C. (1995). Emotional adjustment and the play therapy proces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86, 79-99. 미소장
35 A Close Look at Conflictual Supervisory Relationships: The Trainee's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36 Trainees' Experiences o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in Supervisory Relationships. 네이버 미소장
37 Relevance of the Supervisory Alliance to the Counseling Alliance and to Treatment Adherence in Counselor Training 네이버 미소장
38 Stadler, H. A., Willing, K. L., Eberhage, M. G., & Warrd, W. H. (1998). Impairment: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ofession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6(February), 258-26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