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paper aims to classify diverse aspects of retranslation and examine its motives and caus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Pearl Buck’s The Good Earth and 19 Korean translations. In general, a number of factors trigger retranslation: changes in the society, culture, language, copyright, censorship, and so forth. Some oppose to retranslation on grounds that translations which are temporally close to the original work better reflect the language and spirit of the source text. In most cases, however, the need for retranslation increases with the lapse of time, as most target text readers face difficulty in filling the temporal gap. Due to such reasons, retranslation is naturally carried out in almost every country. In Korea, western literary works were translated and retranslated into Korean with exceptional frequency not only because of such general causes and motives: retranslation in Korea is primarily attributable to the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Regulations and to the movement towards using pure Korean words after a long-standing tradition of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Of course, general agents of retranslation, such as changes in word preference and book size also gave rise to retranslation. The author hope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bates on retranslation and trigger the retranslation of existing work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에서 폴란드 문학 번역의 현황과 출판의 문제점 최성은 pp.145-189

펄 벅의 <대지> 재번역 양상에 대한 소고 김도훈, 심경진 pp.1-14

한류 진화의 시너제틱스(synergetics)적 실체 : 한류 콘텐츠의 번역을 위한 복잡계의 이해 박장순 pp.41-60

한-중 동시통역 시 예측의 표지와 활용 가능성 분석 이정순 pp.123-143

Effective Song Translation Strategies : In Defense of Applying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Features of the Source Text Han, Taesoo, Kim, Hyeyon, Ju, Yelam, Park, Do-hyeong, Sung, Seung-eun pp.61-89

번역 사용자 참여를 활용한 비즈니스 번역 수업 : 사회구성주의적 접근방식의 과업중심 번역 수업에 대한 일고찰 김현아 pp.15-39

대규모 번역 프로젝트의 제반 문제 : 이상과 현실 안인경, 정연진, 안미라, 박세미 pp.91-121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병철 (1975). 한국근대 번역문학사 연구. 서울: 을유문화사. 미소장
2 문교부 (1988년 고시/1989년 시행). 한글 맞춤법. 문교부 고시 제88-1호. 미소장
3 문교부 (1988년 고시/1989년 시행). 표준어 규정. 문교부 고시 제88-2호. 미소장
4 박영순 (2001).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5 임순정 (2010). 문학 작품의 재번역 현상 연구 - 스탕달의 『적과 흑』 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미소장
6 조선어학회 (1933년 제정 공표). 한글 맞춤법 통일안. 미소장
7 중역의 인식론 : 그 모든 중역들의 중역과 근대 한국어 소장
8 Fawcett, P. (1997). Translation and language. Manchester: St. Jerom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