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국학 원전 번역과 주석의 한 사례 : 『京都雜誌』「風俗』'巾服'을 중심으로 | 진경환 | pp.213-248 |
|
|
Conceptualising Korean Nationalism : Focusing on the Modern History and Societal Context | Joo, Jae-won | pp.287-313 |
|
|
터키에서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 학습자의 유형 변화 | S. Göksel Türközü | pp.63-88 |
|
|
南龍翼 雜體詩 硏究 | 이남면 | pp.249-286 |
|
|
어휘 사용과 사회 변화의 상관성 : 2000년대 신문 기사를 기반으로 | 김일환 | pp.7-33 |
|
|
한국어 교사의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인식 조사 | 송금숙, 이유경, 위햇님 | pp.89-118 |
|
|
HALLYU, THE CURRENT ISSUES OF IT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PROCESS IN MEXICO | Lopez Rocha, Nayelli, Ryzhkov, Andrii | pp.119-148 |
|
|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 양상 | 오재혁 | pp.35-61 |
|
|
웹 기반 한국어 교재의 현황과 과제 : <누리-세종학당>의 온라인 한국어 교재 편찬 방향을 중심으로 | 박재현, 이아름 | pp.149-183 |
|
|
이윤택 희곡 <문제적 인간 연산>의 감정 연구 : 메타드라마적 장치의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 백현미 | pp.185-21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 한국어 교사의 특성 | 소장 |
2 | 문화간 의사소통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사의 역할 | 소장 |
3 | Teacher efficacy | 소장 |
4 | A Study on the Cultural Quotient of th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소장 |
5 |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 소장 |
6 | 박성옥, 「아랍어권 한국어 유학생 현황 및 실태」, 제1회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컨퍼런스 발표자료집 , 2014. | 미소장 |
7 | 성시온, 「한국어 교사의 문화지능 조사 연구」, 청소년 문화포럼 28,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1, 82-112쪽. | 미소장 |
8 | The Objectiv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respect to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 소장 |
9 | A Study on the Setting Standard and Means of Korean Language Teachers’Evaluation ![]() |
미소장 |
10 | 양주희,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감수성 측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14. | 미소장 |
11 |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소장 |
12 | 윤용수․임병필, 아랍어와 아랍 문화 ,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7. | 미소장 |
13 | 이인섭,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효과 제고 방안」,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컨퍼런스 발표집 , 사우디아라비아문화원, 2014. | 미소장 |
14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활동 외 ![]() |
미소장 |
15 | Management and Organization ReviewSpecial Issue on ‘Social Exchange in Organizations’ ![]() |
미소장 |
16 |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bout and awar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 |
미소장 |
17 | Chen.(2002),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tudies XI : 2. http://en.wikipedia.org/wiki/Bennett_scale. | 미소장 |
18 | Earley, P. & Ang, S., Cultural Intelligence: Individual Interactions Across Cultur es, Stanford Business Books, 2003 | 미소장 |
19 | Earley, P., Ang, S. & Tan, J.(2006), CQ : Developing Cultural Intelligence at Work. Stanford University Press. (박수철 옮김, 문화지능: 글로벌 시대 새로운 환경을 위한 생존 전략 , 서울: 영림카디널, 2007.) | 미소장 |
20 | Hall. T. E., Silent Language, Garden City, NY; Anchor Doubleday press, 1959. | 미소장 |
21 | Hofstede,G.,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1. | 미소장 |
22 | Peterson,B., Cultural Intelligence: A guide to working with people from other cultures. Boston, MA: Intercultural Press, 2004. | 미소장 |
23 | Suarez, D., ESOL Teacher Candidates Experience Cultural Otherness, Tesol Journal 11:2. 2011, pp.19-2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