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학령기 아동의 우울, 인지왜곡, 기능적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배자현 | pp.65-75 |
|
|
한국형 보조공학 만족도 평가도구 개발 | 안나연, 김장환, 정동훈, 장문영, 남세현, 공진용 | pp.113-124 |
|
|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위험요소 예측 및 인지평가도구에 대한 메타분석 | 송아영, 박민경, 이재신 | pp.47-64 |
|
|
유형에 따른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 | 박지수, 최종배 | pp.17-33 |
|
|
불안장애 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 체계적 고찰 | 최연우, 김경미 | pp.77-87 |
|
|
2013년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 이향숙, 장기연, 정민예, 구인순, 우희순 | pp.89-112 |
|
|
국내 작업치료의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 실태 조사 | 이춘엽, 장문영 | pp.35-46 |
|
|
뇌졸중 환자의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두한, 이재신 | pp.1-1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경종, 김종우. (2001). 전문대학 교육과정모형 개발과 운영 방안. 서울, 한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2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00).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서울, 한국: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 미소장 |
3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2, 12, 30). 시험정보-시험통계-작업치료사. http://www.kuksiwon.or.kr | 미소장 |
4 | Duty, task, step 분석을 통한 전기·컴퓨터 분야의 DACUM chart 활용 방안 | 소장 |
5 | 박성종, 서창교, 한상근. (2005).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 서울, 한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6 | 박영애. (2006).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개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 미소장 |
7 |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 |
미소장 |
8 | Nursing administration and undivided loyalty. ![]() |
미소장 |
9 | Jung, M. Y., & Cha, Y. J. (2009).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supply-demand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4), 113-126. | 미소장 |
10 | Kim, M. H. (2009). A case study on art therapy to develop cognitive ability, motor ability and self-help skills for a child with brain lesion. Art Therapy Research, 16, 765-786. | 미소장 |
11 | Lee, H. S., Jung, M. Y., Jung, B. I., Yoo, E. Y., Park, S. H., & Kang, D. H. (2010). Survey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2), 1-21. | 미소장 |
12 | National Board for Certif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NBCOT). (2008a). Executive summary for the practice analysis study: Occupational therapist registered. NBCOTⓇ 2008 practice analysis. Gaithersburg, MD: Author. | 미소장 |
13 | National Board for Certif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NBCOT). (2008b). A comparison study of the NBCOT validated domain, task, knowledge, and skill statements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 Registered (OTR) and the ACOT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a master’s-degree-level educational program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 (OT). NBCOT Ⓡ 2008 practice analysis. Gaithersburg, MD:Autho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