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 및 스포츠에서 다루어져 온 운동하는 몸의 실재를 체육학적 관점에서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모하여 왔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거의 식민체육, 해방이후 1980년대의 체육, 그리고 생태적 관점에서의 운동하는 몸의 실재를 나누어 논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체육에서의 운동하는 몸의 주요관심사는 쉴링(C. Shilling)(1993)의 주장에서처럼 물질적, 물리적, 생물적 실체로 부각된 반면에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인간주의적 관점에서는 크게 부각이 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하여 운동하는 몸의 실재를 과학적 차원으로 생리학적 측면에서의 논의와 지금까지 체육의 목적과 역사에 따른 몸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생태학적 몸의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의 체육과 몸은 주로 생리학적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고, 특히 일본에 의해서 주도된 식민지체육으로 순종하는 식민지 인간을 육성하려는 체육 정책에 의하여 체조(병식체조, 황국식민화 체조, 보건체조)를 중심으로 한 식민지 체육의 목적은 충량한 신민의 육성과 순종하는 신체의 형성에 있었다. 둘째, 해방이후 1980년대까지 운동하는 몸의 실제는 운동과학, 스포츠과학의 발달로 보다 본격적으로 운동수행의 측면에서 대상화되고 객관화된 몸으로서 그 의미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의 운동하는 몸의 실재는 체육이 인간교육의 전형으로 인식되면서 스포츠체험과 몸의 주체적 참여라는 질적 접근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의 운동하는 몸의 실재는 몸과 정신, 자연과 문화, 생물과 사회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가 지배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연과 몸이, 사회와 몸이 하나가 되는 생태학적 몸의 가능성과 실천은 체육학적 관점에서 몸을 바라볼 수 있는 주요한 대안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f the reality of sporting body. So far, the major concern of sporting body was not significantly as shown in claims of Shilling, biological entity in social relations, on the other hand, outlined the human self centered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t is discussed about the reality of sporting body at the level of the body's real-life exercise in scientific discussion of the physiological aspects. This is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First of all, in the past, in terms of sporting body have been primarily featured physiological. Secondly, since the 1980s the liberation movement of the body to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exercise science. Sports science target in terms of performing in earnest, than being objectified as a body having its meaning. Finally, the modern movement of the sporting body, this was recognized as the epitome of human education sports experience and study of the qualitative approach calle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week starts. In the future, ecological body will be an alternative to being one body with nature, social and ecological potential of the bod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ffort-Shape분석을 통한 금강, 평원품새의 내재적 가치탐색 송선영, 임신자, 곽정현 pp.39-53

Female Physical Education Leadership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김미숙 pp.193-209

스포츠팬의 문화적 함의 김석기, 김지혁 pp.89-110

안무가의 몸에 관한 현상학적 소묘 정연수, 정예수 pp.237-248

체육학적 관점에서 본 운동하는 몸의 실재 권욱동 pp.177-191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 스포츠를 중심으로 이문성 pp.155-175

고령화 사회와 스포츠 김영갑 pp.55-67

스포츠 헤게모니의 사회철학적 쟁점과 실천과제 이승훈, 김동규 pp.69-88

『東醫寶鑑』養生法의 몸 수행 윤태기, 김동규 pp.1-17

2002한·일 월드컵의 능동적 기억 : 문화적 기억의 관점 이강우, 고영완, 김흥수 pp.19-37

스토리텔링 주제 표현활동을 통한 무용교육의 인문적 가치 탐색 이호철 pp.213-235

에어로빅체조의 경기적 본질 탐색 : 심사영역을 중심으로 강유원, 강덕모, 송종근 pp.129-154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내재적 선 강성민 pp.111-128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Restoration of Body Subjectivity through Sport Activity 소장
2 Sport Philosophy : A Study on sporting body with a Focus on Ecology 네이버 미소장
3 Log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소장
4 김미숙(2006). 인지학적 관점에서의 몸 탐구.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4(4), 297-309. 미소장
5 A study on sports welfare policy in Korea 소장
6 주체성의 표현형식: 몸, 도덕, 그리고 스포츠 소장
7 김영환, 유태균, 신현군, 권욱동, 윤미정(2009). 스포츠.체육철학.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8 김종훈(1984). 운동생리학. 서울: 교학연구사. 24-36. 미소장
9 나현성(1985). 한국체육사연구. 서울: 교학연구사. 미소장
10 박준건(2001). 철학과 생태학. 진주: 고서출판 백의. 미소장
11 A Study on the Somatic Educational Notions in the thoughts of Eastern Martial Arts 소장
12 Sport Philosophy : The Status of Body in Contemporary Society 네이버 미소장
13 Sport Philosophy : Analysis & alternative of traditional concept of physique 소장
14 신현군(1999). 체육철학 : 현대사회에서의 몸의 지위.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6(4), 305-318. 미소장
15 정화열(2005). 몸의 정치와 예술, 그리고 생태학. 서울: 아카넷. 미소장
16 정화열(1999). 몸의 정치. 서울: 민음사. 미소장
17 A Phenomenological Study of Leisure Experience for the Qualitation Dimension 네이버 미소장
18 Dance Philosophy : A phenomenological approachn to B-boy dance 네이버 미소장
19 Somatic Education으로서의 체육의 가능성 네이버 미소장
20 크리스 쉴링(임인숙 역)(2003). 몸의 사회학. 서울: 나남출판. 미소장
21 A Perfect Moment in Modern Dance: A Phenomenological Approach 소장
22 우리나라 개화기에 있어서 「체육」 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3 황경숙(2011). 몸의 호흡: 필라테스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9(3), 175-188. 미소장
24 Dance Philosophy : A Study on the Body Concept in Dance Art from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소장
25 Bookchin, M.(1995). The Philosophy of social Ecology(Black Rose Books); 문순홍 옮김(1997), 사회생태론의 철학. 서울: 도서출판 솔 미소장
26 Buber, M. (1958). I and Thou.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미소장
27 Griffin, D. (1988). Ecology, Science, and Religion: toward a Postmodern Worldview, The Reenchantment of Science.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미소장
28 Heilbroner, R.(1980). An Inquiry into Human Perspective. ed. New York: W.W. Norton. 110, 162. 미소장
29 Lee, Hyung Il(1998). Understanding Somatic Education and Exploring Its Class Format.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 6(1), 235-253. 미소장
30 Lee, Jeong Hak(1996). The Reconceptualization of Martial Arts and Sport based on a Healing and Health.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5(2), 371-384. 미소장
31 Marcel, G. (1945).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Paris : Gillimard 미소장
32 Kleinman, S. (1973). The Significance of Human Movemen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E. W. Gerber, & W. J. Morgan(Eds.). Sport and Body, A Philosophical Symposium, Philadelphia: Lea & Febiger. 171-181. 미소장
33 Manuel G. M.(2008). Ec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미소장
34 Mesarovic, M & Pestel.(1974). Making at the turning point. New York: E. P. dutton 미소장
35 O'Neill, J. (1989). The Communicative Body: Studies in Communicative Philosophy. Politics and Sociology.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3. 미소장
36 Ponty, M, M.(1962). Th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ranslated by Colin Smith. London: Routledge & Keagan Paul. 미소장
37 Ponty, M, M.(1968).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ed. Claude Lefort and trans. Alphonoso Lingis, Evanston: North Western UP. 미소장
38 Ponty, M, M.(1995). Nature: Course Notes from the College de France. Compiled. Dominique Seglard. trans. Robert Vallier. Evanston: North Western UP. 미소장
39 Shin, Hyun Kun & Lee, Chul Won(1996). Reconstructing Education through Somatic Educ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4(1), 273-284. 미소장
40 Thomas M. & Smith, R. (2007). Elements of Ecology(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