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명숙 pp.1-23

아동학대 사망사례의 현황과 예측요인 김세원, 이정은, 정익중, 장화정 pp.25-56

보호자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영준, 성효정 pp.85-114

저소득층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변인 :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 pp.115-141

학대피해경험과 위탁부모와의 유대관계가 가정위탁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위탁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최은희, 윤혜미 pp.143-170

학교 내 학생들 간의 권력관계와 학교폭력 송민경 pp.171-204

시설입소 피학대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경진, 박영준 pp.205-238

한국 아동보호체계의 성과와 과제 김형모 pp.239-266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문화교육의 효과분석 : 프로그램 과정산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현선, 이채원, 박소은 pp.57-83

참고문헌 (6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연숙. 2009. “가정위탁보호아동의 위탁환경과 사회적 지지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Foster Care Center 네이버 미소장
3 The influence of biological family`s background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foster care 네이버 미소장
4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child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5 가정위탁보호 아동이 지각한 위탁부모 양육태도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가정위탁보호 아동을 중심으로 소장
6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in Foster Care 소장
7 Influence of Foster Parent`s Rearing Behavior on Foster Care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소장
8 The Recognition of Facial Emotion and Attributional Bias Influenced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bused Children 소장
9 김재엽⋅남보영. 2012. “신체학대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부모애착과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4(3): 169-191. 미소장
10 A study of the influence of grandparent's attitude to bring up, care stress on grandchildren's adjustment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소장
11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소장
12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aptation by Developmental Stages and Types of Foster Care among Foster Care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13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이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차이 네이버 미소장
14 보건복지부⋅숙명여대산학협력단. 2011. 아동학대 실태조사 . 서울. 미소장
15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1. 2010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 서울. 미소장
16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3. 2012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 서울. 미소장
17 보건복지부⋅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2013. 2012 가정위탁보호현황보고서 . 서울. 미소장
18 보건복지부⋅충북대학교산학협력단. 2013. 가정위탁아동 가정보호실태조사 . 서울. 미소장
19 Impact of Abuse Experi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소장
20 소희원. 2013. “중국 위탁가정에서 부모-자녀 애착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공격성간의 관계: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Parental Bonding Instrument);신뢰도 및 타당도검증 소장
22 Characteristics of Family Foster Care Types and Factors of the Adjustability for the Foster Children 소장
23 Influence of the Kinship Foster Family`s Psychological Nucturing Circumstance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24 윤혜미⋅장혜진. 2012. “조손가족의 삶: 쟁점과 지원방안.” 아동권리 16(2): 259-288. 미소장
25 이명진⋅조주연⋅최문경. 2007.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41: 9-42. 미소장
26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Psychosocial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The Mediating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소장
27 정선욱. 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정익중⋅김경민. 2011. “2011 가정위탁아동 패널연구-위탁아동의 발달유형과 예측요인.” 보건복지부 &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미소장
29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소장
30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foster care childre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소장
31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d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and youths in kinship foster care 소장
32 Kinship care and foster family homes and their service desire: A comparison of care giver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psycho-social behavior 소장
33 일반가정에 위탁된 아동들의 문제행동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소장
34 Latent Classes of Child Maltreat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35 Assessing Child Well-Being in Non-Relative Foster Care with a New Outcome Measurement Tool 네이버 미소장
36 Children Placed in Long-Term Foster Care: An Intake Profile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네이버 미소장
37 Biehal, N. & Parry, E. 2010. Maltreatment and Allegation of Maltreatment in Foster Care. A Review of Evidence.” Social Policy Research Unit in New York University. 미소장
38 Child Maltreatment 2010 Best Article Award 네이버 미소장
39 Clausen, J., Laudsverk, J., Ganger, W., Chadwick, D., & Litronwnik, A. 1998. “Mental Health Problems of Children in Foster Car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7: 283-296. 미소장
40 Gebel, T. 1996. “Kinship Care and Non-relative Family Foster Care: A Comparison of Caregiver Attributes and Attitudes.” Child Welfare 24(1/2): 5-18. 미소장
41 Safety and Stability for Foster Childre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42 Herflinger, C. A. Simpkins, C. G., & Combs-Orme, T. 2000. “Using the CBCL to Determine the Clinical Status of Children in State Custody.” Children and Youth Review 22: 55-73. 미소장
43 Abuse of children in foster and residential care 네이버 미소장
44 Schoo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 Gender-Linked Responses to Peer Victimization 네이버 미소장
45 Hunt, J., Waterhouse, S., & Lutman, E. 2008. Keeping in the Family: Outcomes for Children Placed in Kinship Care through Care Proceedings. British Association for Adoption and Fostering, London. 미소장
46 Competencie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family foster care: variations by kinship placement status and race 네이버 미소장
47 MacKenzie, M. ]., ]. B. Kotch, & L. C. Lee. 2011. “A Cumulative Ecological -Transactional Risk Model of Child Maltreatment and Behavior Outcomes:Reconceptualizing Early Maltreatment Report as Risk Factor.”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11): 2392- 2398. 미소장
48 Manly, J. T., Kim, J. E., Rogosch, F. A., & Cicchetti, D. 2001. “Dimensions of Child Maltreat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Contributions of Developmental Timing and Subtype.” Development and Psychology 13: 759-782. 미소장
49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placement and competencies and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in long-term foster care 네이버 미소장
50 Poertner, J., Bussey, M., & Fluke, J. 1999. “How Safe are Out-of-home Placement?.”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1(7): 549-563. 미소장
51 Rosenthal, J. A., & Curiel, H. F. 2006. “Modeling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in the Child Welfare System: Caregiver, Youth, and Teacher Perception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8: 1391-1408. 미소장
52 Child maltreatment and juvenile delinquency: Investigating the role of placement and placement instability 네이버 미소장
53 Foster parent and teacher assessments of youth in kinship and non-kinship foster care placements: are behaviors perceived differently across settings? 네이버 미소장
54 Identification of child maltreatment with the Parent-Child Conflict Tactics Scale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data for a national sample of American parents. 네이버 미소장
55 Child maltreatment and adolescent violence: understanding complex connections. 네이버 미소장
56 School change, academic progress, and behavior problems in a sample of foster youth 네이버 미소장
57 The double-edged sword: Emotional regulation for children at risk 네이버 미소장
58 Age, gender,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birth cohort differences on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meta-analysis. 네이버 미소장
59 Children placed in long-term family foster care: A longitudinal study into the development of problem behavior and associated factors 네이버 미소장
60 Externalizing problems in young foster children: Prevalence rates, predictors and service use 네이버 미소장
61 Child multi-type maltreatment and associated depression and PTSD symptoms: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