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 증진을 위한 자기결정 교수 실행과제 현장 적합도 조사 | 정성민 | pp.135-152 |
|
|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 | 박지혜, 김화수, 박정식 | pp.153-175 |
|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인식한 어머니가 장애유아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우호, 서보준, 배영철 | pp.355-372 |
|
|
마르틴 부버의 '만남'의 철학에 기반한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 신현기 | pp.107-133 |
|
|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 대전, 충남지역의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 전병운, 임해주, 김경민 | pp.203-225 |
|
|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 박승희 | pp.1-31 |
|
|
장애인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인 특수교육 전공자의 성장과정에서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구정아, 김수현, 이숙향 | pp.253-283 |
|
|
발달장애인의 여가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0~2014년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강소영 | pp.285-310 |
|
|
다문화교육과 특수교육의 통합교육적 접근 | 추연구 | pp.333-353 |
|
|
특수교육 수업 관찰연구 분석 | 김성희, 김진호 | pp.227-251 |
|
|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탐색 | 박희찬 | pp.33-53 |
|
|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 2002-2013년 국내 중재연구를 중심으로 | 서효정 | pp.55-86 |
|
|
장애유아가 식사활동 중 대화상대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의사소통 시도와 의사소통 형태 분석 | 권주석 | pp.87-105 |
|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학년군 개선 방안 연구 | 윤광보 | pp.177-202 | ||
특수교육기관 교육실습일지에 기록된 교사 피드백 분석을 통한 학교 현장의 교육적 요구 이해 | 이경면 | pp.311-331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동일(2012)(역). 다문화 특수교육. G. Cartledge., R. Garden Ⅲ, & D. Y. Ford의 Diverse learners with exceptionalities. 서울 : 학지사. | 미소장 |
2 | 다양한 문화·언어적 배경을 지닌 장애위험아동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향 및 교사 역할 탐색 : 중재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체제를 중심으로 | 소장 |
3 | 김옥순, 김진호, 신인순, 안선영, 이경화, 이채식, 전성민, 조아미, 최상호, 최순종(2009).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 미소장 |
4 | 김진호, 박재국, 방명애, 안성우, 유은정, 윤치연, 이효신(2013). 최신 특수교육 제10판. W. L. Heward의 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10th ed.). 서울 :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5 | Research on the Special Teacher′s Recognition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 소장 |
6 | 모경환 최충옥, 김명정(2008)(역). 다문화교육 입문(제4판). J. A. Banks의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 서울 :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7 | 송병훈(2007). 다문화 사회에서의 초등교사와 학부모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석사학위 논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8 | 성명옥(2004). 정상화 원리의 연구-서구의 이론과 실천. 서울 : 창지사. | 미소장 |
9 |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소장 |
10 | 안경식, 김동광, 김향은, 김회용, 박천응, 이철호, 장인실(2008).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서울 : 학지사. | 미소장 |
11 | 양춘미(2014).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2 | 염철현 옮김(2012). 다문화교육개론. 서울: 한울. | 미소장 |
13 |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Viewpoint of Special Education | 소장 |
14 | 임정현(2005). 반편견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정도. 석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5 | Multicultural Education in America and Curriculum | 소장 |
16 | 최충옥, 모경환, 김연권, 박성혁, 조난심, 오은순, 설규주, 차조일, 한용택, 우희숙, 서종남(2009). 개정판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양서원. | 미소장 |
17 | A Study on a Change in Speci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Education | 소장 |
18 | A Study on the Coordinator Systems for Special-Support School in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 소장 |
19 | 한국교육개발원(2013). 교육통계분석자료집. | 미소장 |
20 | 荒川智(編著)(2008). インクルーシブ敎育入門. 京都 : クリエイツかもがわ. | 미소장 |
21 | 荒川智, 高橋智(2007). テキスト特別ニーズ敎育. 日本特別ニーズ敎育學會(編). 京都 :ミネルウァ書房. 207 | 미소장 |
22 | 大沼直樹, 吉利宗久(編著)(2011). 特別支援敎育の基礎と動向<改訂版>. 新しい障害兒敎育のかたち. 東京 : 培風館. | 미소장 |
23 | 石川准, 長瀨修(1999). 障害學への招待. 東京 : 明石書店. | 미소장 |
24 | 石田祥代(2000). スウェデンのイングレ―ショの殿階に關する歷史的硏究. 東京 : 風間書房. | 미소장 |
25 | 江原武一(2000). 多文化敎育の國際比較. 玉川大學出版. | 미소장 |
26 | 天城勳(1997). 學習 秘められた宝 UNSCO 21C 國際委員會報告書. 東京 : ぎょうせい. | 미소장 |
27 | 眞城知己(2003). 特別な敎育的ニーズ論. 東京 : 文理咯. | 미소장 |
28 | 中園康夫(1996). ノ―マリゼ―ショソ原理の硏究. 東京 : 海聲社. | 미소장 |
29 | 中村 滿紀男(監澤)(2006). 世界の多樣性を認め. 排除しない敎育をインクルーシブ敎育. 東京 : 明石書店. | 미소장 |
30 | 松井 淸(1994). 敎育とマイノリテ. 東京 : 弘文堂. | 미소장 |
31 | 松波めぐみ(2001). 障害文化論が多文化敎育に提起するもの. 修士論文, 大板大學大學院人間科學硏究科. | 미소장 |
32 | 倉本智明, 長瀨修(2000). 障害學を語る. エンパワメント硏究所, 183-186. | 미소장 |
33 | Batnatt, S & Scotch, N.(2001). Disability protest : Contentious politics 1970-1999. Gallaudet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4 | Booth, T., & Ainscow, M.(2002). Index for inclusion: developing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school. Center for Studies on Inclusive Education(CSIE), London. | 미소장 |
35 | Dyson, A. Millward, A. & Cummings C.(2003). Participation and democracy : What´s inclusion got to do with it? ; edited by Julie Allan, Inclusion, Participation and democracy: What´s the purpose? Dordrecht : Kluwer Academic Publishers | 미소장 |
36 | Gershel, L.(2005). Connecting the disconnected on exploring issues of gender, race and reader in inclusive education. London : Routledge Falmer. | 미소장 |
37 | Giangreco, M. F(2011). Educat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 Foundational concepts and practices. In M. E. Snell & F. Brown(Eds.).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7th ed. p. 4).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Education, Inc. | 미소장 |
38 | Haug, P. & Tossebro, J.(1998). Theoretical perspectives on special education. Norway : HøyskoleFolaget. | 미소장 |
39 | 二文字理明(監澤)(2004). インクルージョンの時代--北歐發 「包括」敎育理論の展望. 東京 : 明石書店. | 미소장 |
40 | Nirje(1969, 1980). The normalization principle and it’s human management implications. In R. Kugel & W. Wolfensberger (Eds.), Changing patterns in residential services for the mentally retarded (pp. 179-195). Washington, DC : President's Commission on Mental Retardation. | 미소장 |
41 | Increasing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 |
미소장 |
42 | Mastropiere, M. A. & Scruggs, T. E.(2007). The inclusive classroom: Strategies for effective instruction(3rd ed).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Education, Inc. | 미소장 |
43 | Ogbu, J. U.(2003). Black American students in an affluent suburb; A study of academic disengagement. New Jersey ; Lawrence Erlbaum. | 미소장 |
44 | Toward improving identification of talent potential among minority and disadvantaged students* ![]() |
미소장 |
45 | Shore, J. R., & Sabati, J.(2009). English Language Learner with reading disabil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foundation for a research agenda. Princeton, NJ : ETS. | 미소장 |
46 | Thomas, G. Walker, D. and Webb, J.(1998). The marking of the inclusive school. London : Routledge. | 미소장 |
47 | Tiegerman-Farber, E. & Radziewicz, C.(1998). Collaborative decision marking: The pathway to inclusion. Upper Saddle River, NJ : Memill/Prentice Hall. | 미소장 |
48 | Tumbull, R, A. Tumbull, M, I. & Wehmeyer. M, L.(2007). Exceptional lives: Special education in today′s school(5th ed).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Education, Inc. | 미소장 |
49 | Visli, L.(2003). From integration to inclusion: focusing global trends and changes in the western European societies. European Journal of SNE, 18(1). 17-35. | 미소장 |
50 | Mental retardation 1984: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