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생쥐에서 스테로이드 점안이 고안압 녹내장 모델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개월간 스테로이드 점안 후 생쥐의 안압과 망망신경절세포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생쥐에서 스테로이드 녹내장을 유발시키기 위해 덱사메타손 점안액을 하루 3회 4주간 점안하였다. 안압이 기저 안압 대비 50% 이상 상승한 눈만을 대상으로 추가 4주간 하루 1회씩 점안을 하였다. 안압은 Rebound tonometry로 측정하였다. 8주 후 망막신경절세포의 선택적 면역형광염색과 전체 망막 층의 TUNEL 염색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실험군 20안 중 11안(55%)에서 덱사메타손 점안 4주째에 기저 안압 대비 50% 이상의 안압 상승을 보였다. 8주째 고안압군과 대조군의 평균 안압은 각각 11.8 ± 1.4 mmHg와 18.5 ± 1.0 mmHg였다(p<0.01). 8주째 중심부의 망막신경절세포수는 각각 2,718± 240개와 2,612 ± 443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94). 두 군 간 TUNEL 양성 세포수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아포프토시스와 관련된 Bax와 pBad의 발현은 실험군에서 증가하였다(p<0.05).
결론: 스테로이드 안약을 이용한 생쥐의 고안압 실험 모델은 쉽고 비교적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국소적 합병증 없이 고안압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2개월간의 기저 안압 대비 50% 상승된 안압을 유지하는 것으로는 유의한 망막신경절세포수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좀 더 장기적인 연구 결과와 전신 부작용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rat eyes develop increase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in response to a topically applied corticosteroi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cular hypertension and apoptosis of retinal ganglion cells.
Methods: IOP was monitored by rebound tonometry in a group of 10 rats that received topically administered dexamethasone in both eyes (experimental) and in another group of 5 rats that received artificial tears (control) three times daily for 4 weeks after the establishment of baseline IOP values. Only eyes that increased by more than 50% compared with the basal IOP were administered once per day for 5 weeks. After 8 weeks, selective immunofluorescence stain for retinal ganglion cells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stain were conducted.
Results: Among 20 experimental eyes, 11 eyes (55%) showed a greater than 50% increase in IOP compared with basal IOP. After 8 weeks, the mean IOPs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11.8 ± 1.4 mm Hg and 18.5 ± 1.0 mm Hg, respectively(p < 0.01). The counts of central retinal ganglion cells (RGCs) were 2718 ± 240 and 2612 ± 443, respectively (p =0.294). The results of the TUNEL stain also showed no differences.
Conclusions: Rat eyes exhibit a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ve response with no local complications. However, maintaining ocular hypertension increased by 50% for two months was not enough to detect changes in RGC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간헐 외사시에 대한 양안 외직근 후전술 후 발생한 속발 내사시 치료를 위한 외직근 전진술의 장기 효과 | 신광훈, 위재민, 백혜정 | pp.1180-1186 |
|
|
비감염결절성 및 진균성공막염으로 오인되었던 매독성공막염 1예 | 한상윤, 이정진, 권영아, 송상률, 김병엽, 정재림 | pp.1233-1237 |
|
|
회절성 난시교정용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임상결과 | 김지현, 유성, 구성현, 이광자, 이규원, 박영정 | pp.1139-1149 |
|
|
당뇨망막병증에서 나비라스 레이저 시스템과 기존 범망막광응고술의 소요시간과 통증 비교 | 김민석, 이성우, 김재석 | pp.1150-1154 |
|
|
원발급성폐쇄각발작에서 스펙트럼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변화 | 이효석, 박용석, 박상우 | pp.1167-1173 |
|
|
반복된 단순포진 각막염의 반흔에 발생한 포마 그로메라타 진균각막염 1예 | 전종화, 류남희, 장성동 | pp.1229-1232 |
|
|
완전한 회복을 보인 외상성 단독 눈꺼풀처짐 1예 | 염명인, 김상수, 이창규 | pp.1261-1265 |
|
|
단독상사근염으로 발현한 비특이성안와염 1예 | 한승수, 김혜영 | pp.1213-1217 |
|
|
안와 내에 발생한 원발성 편평상피세포암 1예 | 최다예, 이정혜, 안정현, 서연림, 우경인, 김윤덕 | pp.1224-1228 |
|
|
당뇨황반부종에서 베바시주맙 단일주입과 저용량 베바시주맙-트리암시놀론 혼합주입 단기효과 비교 | 김병선, 정인영, 박종문, 한용섭 | pp.1155-1161 |
|
|
망막신경절세포에서 고장성 및 고오스몰 스트레스에 의한 긴장성 반응유도 결합단백질의 발현 | 우종은, 권민영, 정수월, 우제문 | pp.1195-1201 |
|
|
안허혈 증후군을 동반한 급성 망막중심동맥폐쇄의 치료 1예 | 이종환, 문호석, 남동흔, 이대영 | pp.1242-1247 |
|
|
선천 코눈물관 막힘 환자에서 삽입 후 제거된 실리콘관의 배양검사 결과 | 문가영, 안민 | pp.1121-1125 |
|
|
외상 후 발생한 양안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채민병, 송미령, 김태진, 하효신, 박정현 | pp.1248-1252 |
|
|
정상안압녹내장에서 당뇨 유무에 따라 분석한 안토시아노사이드, 은행잎추출물의 치료 효과 | 이용우, 최철영, 배정훈, 김준모 | pp.1174-1179 |
|
|
우측 이마에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시력 소실 1예 | 조용운, 정인영, 박종문, 유지명, 김성재, 서성욱, 한용섭 | pp.1253-1256 |
|
|
20-30대 검열반 환자의 임상양상 | 황재형, 권지원 | pp.1126-1131 |
|
|
병변내 시도포비어 주입술에 효과를 보인 재발성 눈물낭 기원 편평상피유두종 1예 | 이연호, 손준혁 | pp.1218-1223 |
|
|
백내장수술 또는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후 수정체 후낭혼탁 발생의 위험인자 | 김남억, 이수정, 박정민 | pp.1132-1138 |
|
|
비문증을 주소로 망막열공이 동반된 경우의 위험인자 | 정성헌, 이동원, 조한주, 유영주, 한정일, 유수진, 조성원, 이태곤, 김철구, 김종우 | pp.1162-1166 |
|
|
자가면역성 간질환과 동반된 재발성 포도막염 1예 | 김지업, 추헌구, 윤이나 | pp.1257-1260 |
|
|
섬유주세포에서 베바시주맙과 라니비주맙이 일산화질소합성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김세은, 김재우 | pp.1208-1212 |
|
|
생쥐를 이용한 스테로이드 유발 고안압 모델 | 김유라, 강완석, 권의용, 조남천, 이동욱 | pp.1202-1207 |
|
|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건성안 유발 마우스 눈물샘 선세포의 변화 | 서유리, 여아름, 노혜미, 정동룡, 김태임, 서경률, 김응권, 이형근 | pp.1187-1194 |
|
|
후부다형각막변성증과 출생 시 겸자 분만 손상에 의한 데스메막 파열이 동반된 증례보고 1예 | 김나현, 신지영, 김만수 | pp.1238-1241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Diagnosis and pathogenesis of glaucomatous optic neuropathy: morphological aspects 1 ![]() |
미소장 |
2 | The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a randomized trial determines that topical ocular hypotensive medication delays or prevents the onset of primary open-angle glaucoma. ![]() |
미소장 |
3 | Expression of Glutamate Receptors in Experimental Rat Model of Chronic Glaucoma | 소장 |
4 | Establishment of the ocular hypertension model using the common marmoset ![]() |
미소장 |
5 |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causes inner retinal dysfunction before cell loss in a mouse model of experimental glaucoma. ![]() |
미소장 |
6 |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in normal cattle. ![]() |
미소장 |
7 |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in normal sheep. ![]() |
미소장 |
8 | Pharmacological validation of a feline model of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 |
미소장 |
9 | Evaluation of the myocilin (MYOC) glaucoma gene in monkey and human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 |
미소장 |
10 | Intraocular pressure and glycosaminoglycan distribution in the rabbit eye: Effect of age and dexamethasone ![]() |
미소장 |
11 | Effects of corticosteroids on ocular dynamics in rabbits. ![]() |
미소장 |
12 | Myocilin gene expression in the trabecular meshwork of rats in a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model. ![]() |
미소장 |
13 | Steroid glaucoma: Cortico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in cats ![]() |
미소장 |
14 |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in mice treated with dexamethasone. ![]() |
미소장 |
15 | Cortico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and glaucoma: a brief review and update of the literature ![]() |
미소장 |
16 | Corticosteroid-induced glauco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 |
미소장 |
17 | STATISTICAL ATTRIBUTES OF THE STEROID HYPERTENSIVE RESPONSE IN THE CLINICALLY NORMAL EYE. I. THE DEMONSTRATION OF THREE LEVELS OF RESPONSE. ![]() |
미소장 |
18 | Godel V, feiler-Ofry V, Stein R. Systemic steroid and ocular fluid dynamics. II. Systemic versus topical steroids. Acta Ophthalmol .1972;50:664-76. | 미소장 |
19 | Comparative ocular pressure elevation by medrysone, fluorometholone, and dexamethasone phosphate. ![]() |
미소장 |
20 | Morphology of the murine optic nerve. ![]() |
미소장 |
21 | Twenty-four-hour pattern of mouse intraocular pressure ![]() |
미소장 |
22 | Coenzyme Q10 ameliorates oxidative stress and prevents mitochondrial alteration in ischemic retinal injury ![]() |
미소장 |
23 | Effects of some steroids on aqueous humor dynamics ![]() |
미소장 |
24 | Corticosteroid Glaucoma in the Rabbit ![]() |
미소장 |
25 | Podos SM. Animal models of human glaucoma.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 .1976;81:632-5. | 미소장 |
26 | Touvinen E, Liesmaa M, Eslla R. The influence of corticosteroids on intraocular pressure in rabbits. II. The influence of massive subconjunctival doses of dexamethasone and betamethasone. Acta Ophthalmol .1966;44:901-5. | 미소장 |
27 |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in the rabbit: a model using subconjunctival injections. ![]() |
미소장 |
28 | Cole DF. Ocular fluid. In: Davson H, ed. The Eye, 3rd ed. Orlando, Fla: Academic press, .1984;269-390. | 미소장 |
29 | Dexamethasone alters F-actin architecture and promotes cross-linked actin network formation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tissue. ![]() |
미소장 |
30 | Glucocorticoid-induced formation of cross-linked actin networks in cultured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 |
미소장 |
31 | Dexamethasone induced ultrastructural changes in cultured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 |
미소장 |
32 |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its modulation in the trabecular meshwork ![]() |
미소장 |
33 |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n glycosaminoglycans of human trabecular meshwork in perfusion organ culture. ![]() |
미소장 |
34 | Dexamethasone decreases phagocytosis by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in situ. ![]() |
미소장 |
35 | Effects of glucocorticoids on the trabecular meshwork: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glaucoma ![]() |
미소장 |
36 | Dexamethasone inhibition of trabecular meshwork cell phagocytosis and its modulation by glucocorticoid receptor beta. ![]() |
미소장 |
37 | Regulatory effect of dexamethasone on aquaporin-1 expression in cultured bovine trabecular meshwork cells ![]() |
미소장 |
38 | Glucocorticoids regulate transendothelial fluid flow resistance and formation of intercellular junctions. ![]() |
미소장 |
39 | A critical role for vascular smooth muscle in acute glucocorticoid-induced hypertension. ![]() |
미소장 |
40 | Glucocorticoids and the kidney ![]() |
미소장 |
41 | Corticosteroid‐induced clinical adverse events: frequency, risk factors and patient’s opinion ![]() |
미소장 |
42 | Cortisol and hypertension. ![]() |
미소장 |
43 | Decreased blood pressure response in mice deficient of the alpha1b-adrenergic receptor. ![]() |
미소장 |
44 | Long-term in vivo imaging and measurement of dendritic shrinkage of retinal ganglion cell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