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교통부문에서의 탄소배출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은 자연자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연자원 중심의 관광지인 국립공원에서는 탐방객 관리나 업무를 위해 주로 내연기관으로 구성된 차량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 때문에 매연, 소음 등으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전기자동차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친환경적 운영을 위해 전기자동차 사용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대한 청정운행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선행연구로서 기능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에서 지불의사금액 추정을 위해 설문지법을 이용한 로짓모형을 활용하였다. 조사모집단은 20세이상 전국 성인남녀이며, 성 · 연령별로 균등할당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는 양분선택형 질문과 인구통계학적 사항에 관한 질문이 포함되었다. 분석결과 전기자동차 도입을 위해 지불 가능한 1인당 환경보전기금은 3,948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전기자동차 도입으로 발생하는 국립공원의 가치는 5,613,813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에 전기자동차를 도입할 경우, 환경적으로 국립공원의 환경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공원에서의 전기자동차 도입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 수단으로서 운영될 수 있는 대안적 친환경행동이라 할 수 있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거래비용 관점으로 본 클래식 음악공연 관람수요 | 이창진, 김재범 | pp.3-28 |
|
|
해외시장 진입전략에서 창의성과 흡수역량, 전략적 지향성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 박영은 | pp.29-62 |
|
|
중국 시청각서비스분야 통상장벽 분석과 진출 전략 : AHP와 Fuzzy 신뢰도 지수를 이용하여 | 정상철, 이해춘 | pp.63-80 |
|
|
기후변화의 대응수단으로서 국립공원 내 전기자동차 도입의 비시장적 가치 추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태, 민웅기, 김남조 | pp.81-102 |
|
|
문화콘텐츠 정책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상민 | pp.103-135 |
|
|
미술관 관람객의 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분석 : 광주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 변길현, 이혜진, 강신겸 | pp.137-159 |
|
|
체험경제이론(4Es)에 따른 지역 체험전시관의 경쟁력 강화방안 : 전북 삼례문화예술촌 체험전시관을 중심으로 | 하지영, 이승현, 김덕현 | pp.161-184 |
|
|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인설, 박칠순, 조효정 | pp.185-21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희(1999). 생태관광객의 여행동기 및 태도: 척도구축과 관광객유형별 비교분석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Identification of Ecotouris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with Mass tourists : Focusing on Travel Motivations and Attitudes | 소장 |
3 | IPA를 이용한 국립공원 생태관광프로그램의 매력성 분석 | 소장 |
4 | CVM 기법을 적용한 국립공원 설악산의 관광자원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 소장 |
5 | 국립공원관리공단(2010), 국립공원 탐방 이용행태 연구 . 서울 : 국립공원관리공단. | 미소장 |
6 | 假想順位決定法을 利用한 自然生態界의 經濟的 價値評價 | 소장 |
7 | A Study for Benefit Calculation of Bicycle Roadway Construction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소장 |
8 | 김규옥․최진석․임민희(2012). 전기자동차 교통서비스 및 시장창출전략 . 경기도 : 한국교통연구원. | 미소장 |
9 | 觀光目的地에 대한 地域住民과 觀光者의 知覺, 態度, 期待行爲 차이 | 소장 |
10 | Grope Research Subjects ofGreen Tourism Coping with Climate Change | 소장 |
11 | 김남조(2011). 국립공원 자전거 및 전기자동차를 활용한 청정운행 모델 개발 . 서울 : 환경부. | 미소장 |
12 | 김사헌(2008). 관광경제학 , 백산출판사. | 미소장 |
13 | 김성일․강미희(2002). 생태관광 , 트래블애널리스트. | 미소장 |
14 | The Evaluation of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of Tourism Resources -Focusing on Goyang city in Gyeonggi-do- | 소장 |
15 | 國立公園의 效率的 管理를 위한 生態觀光 戰略 | 소장 |
16 | Economic Assessment of Building a Low-Carbon City b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Focused on Haeundae New Apartment Complex in Busan, Korea - | 소장 |
17 | 문화체육관광부(2009). 저탄소녹색관광자원개발 가이드 .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 미소장 |
18 | 문화체육관광부(2010). 2009년 국내 관광여행 심층 분석 보고서 .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 미소장 |
19 | 문화체육관광부(2011). 2010년 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 보고서 .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 미소장 |
20 | 관광자의 소비문화와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담론 연구 | 소장 |
21 | 심기섭․신철오(2006). 조건부가치측정법 모형의 비교연구: 어장정화사업의 환경적 가치측정을 중심으로. 월간해양수산 , 263, 24-35. | 미소장 |
22 | 여준호(2008). 생태계 비시장가치 추정 사례 및 추정방법의 장단점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12(2), 1-9. | 미소장 |
23 | Valu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using Contingent Value Method and Real Option Approach: the Study of Seoul City Hall Case | 소장 |
24 | 환경가치의 지역적 평가 : 강화도 남단 갯벌에 대한 여가가치 추정 | 소장 |
25 | 생태관광지 우포늪 여름 방문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26 | 이득연(2011). 환경운동의 사회학 , 한국사회학연구소․민영사. | 미소장 |
27 | 이성원․구세주․김민정․김태승․김희경․설재훈․성낙문․송기한․신희철․심재익․안근원․안정화․이재민․이주연․최연혜․최진석․한상용(2011). 교통경제학의 관점에서 본 교통문제분석 . 경기도 : 한국교통연구원. | 미소장 |
28 | Economic Valuation of Green Belt : Focusing on the Conservation Value of Green Belt in Greater Seoul | 소장 |
29 | Valuation of Eco-tourism Resources for DMZ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소장 |
30 | Valuing Culture and Arts Event A Contingent Valuation Analysis | 소장 |
31 | 임상오․김기봉․도건우․신철오(2006). 유명예술가 유치에 따른 가치평가 분석 . 서울:문화관광부. | 미소장 |
32 | Measuring the Non-Market Values of Regional Musical Performances : A Case Study of Andong`s Sansusilkyoung | 소장 |
33 | Non-market Value of Anseong Municipal Namsadang Baudeogi Pungmuldan | 소장 |
34 | CVM을 이용한 대중교통서비스 개선에 따른 경제적 가치 분석 | 소장 |
35 |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농촌문화관광자원의 가치추정 : 포천시 가축실내품평회장을 대상으로 | 소장 |
36 | 세대별 특성에 따른 생태관광의 가능성 | 소장 |
37 | 조임곤(2014). 전기자동차에 대한 합리적 과세방안 연구 . 서울 : 한국지방세연구원. | 미소장 |
38 |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Ecotourists and Mass Tourists Dividing to Tourism Attitudes | 소장 |
39 | Research Articles : The Comparison of Travel Cost Method with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 the Non - Marketed Resource Valuation ; The Methodological Superiority ![]() |
미소장 |
40 | Valuing of Non-market valuation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s using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소장 |
41 | Estimation for the Economic Valuation of Historic Landscape in Geongju Historic Areas | 소장 |
42 | 환경부(2011). 국립공원 자전거 및 전기자동차를 활용한 청정운행 모델 개발 . 경기도 : 환경부. | 미소장 |
43 | Davis, R. K.(1964). The value of big game hunting in a private forest. Transaction of the 29th North American Wildlife and Natural Resources Conference. | 미소장 |
44 | Inference and Optimal Design for a Welfare Measure in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 |
미소장 |
45 | Frey, B. S., & Pommerehne, W. W.(1989). Muses and Markets: Explorations in the Economics of the Arts. Blackwell, Oxford. | 미소장 |
46 | Hornsten, L., & Fredman, P.(2000). On the distance to recreational forests in Swede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1(1), 1-10. | 미소장 |
47 | Benefit from improvement of organic contamination of Tokyo Bay ![]() |
미소장 |
48 | Double Bounded Survival Values for Preserving the Landscape of Natural Parks ![]() |
미소장 |
49 | A Contingent Valuation Survey and Benefit-Cost Analysis of Forest Preservation in East Gippsland, Australia ![]() |
미소장 |
50 | Validation of Empirical Measures of Welfare Change: A Comparison of Nonmarket Technique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