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a method of meeting between cinema andliterature through considering
This thesis is a study on a method of meeting between cinema andliterature through considering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프랑시스 바누아, 『영화와 문학의 서술학』, 송지연 역, 동문선, 2003. | 미소장 |
2 | 장석남⋅권혁웅 편, 『시네리테르』, 문예중앙, 2011. | 미소장 |
3 | 김성태, 『영화 - 존재의 이해를 위하여』, 은행나무, 2003. | 미소장 |
4 | 로버트 리처드슨, 『영화와 문학』, 이형식 역, 동문선, 2000. | 미소장 |
5 | 서정남, 『영화서사학』, 생각의나무, 2004. | 미소장 |
6 | 조헌용, 『영화와 소설의 거리』, 작가, 2013. | 미소장 |
7 | 나병철,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소명출판, 2009. | 미소장 |
8 | 앙드레 고드로, 프랑수아 조스트, 『영화서술학』, 송지연 역, 동문선, 2001. | 미소장 |
9 |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역, 문예출판사, 2003. | 미소장 |
10 | 조윤경, 『보는 텍스트, 읽는 이미지』, 그린비, 2012. | 미소장 |
11 |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 미소장 |
12 | 시모아 채트먼, 『이야기와 담론』, 한용환 역, 고려원, 1991. | 미소장 |
13 | 박진,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랜덤하우스중앙, 2005. | 미소장 |
14 | 조정래⋅나병철, 『소설이란 무엇인가』, 평민사, 1992. | 미소장 |
15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백년의 고독 1, 2≫, 조구호 역, 민음사, 2008. | 미소장 |
16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4392 | 미소장 |
17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9/17 | 미소장 |
18 | http://magazine.movie.daum.net/w/magazine/star/detail.daum?thecutId=617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