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paper uses the textual approach to The Waste Land manuscript which T. S. Eliot produced during his three months’ sick-leave in Margate and Lausanne.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Eliot and Pound reveal that as a sage homme Ezra Pound performed his Caesarian Operation on The Waste Land manuscript including the typescript. Both Eliot’s revision of and Pound’s blue pencilling on The Waste Land manuscript reduced the poem to about half its original size, down to 433 lines, and added the fourth Phlebas section to its four structural sections. In addition, title names were changed from “He Do the Police in Different Voices” into “The Waste Land” and from “In the Cage” into “A Game of Chess.” A close comparison of the 1971 edition of The Waste Land manuscript and the final 1961 edition of The Waste Land reveals the following deletions: the Fresca passage, the lengthy lines of “Death by Water,” the satellite poems, etc., resulting in a masterpiece of modernism in the 20th century. In conclusion, the final edition of The Waste Land that evolved from the original The Waste Land manuscript is the culmination of the persistent and painstaking collaboration of Eliot, the Old Possum, and Pound, il miglior fabbro.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Revisiting Vocabulary Knowledge : A Focus on Colligation 박태현 pp.303-322
『그녀는 정복하기 위해 굴복한다』 : 희극적 아이러니에 나타난 계급분석 남정애 pp.109-127
수잔 로리 팍스의 아브젝트의 제의 : 『붉은 글자 희곡』을 중심으로 신지숙 pp.129-151
Intermedial Theatricality : Verbal-Visual Irony in Stoppard's After Magritte 박희본 pp.219-237
"선택과 고유성의 기호" : 실비아 플라스의 몰개성적 시학과 언어의 이중성 최태숙 pp.53-70
케이트 쇼팽의「소명과 목소리」와 제임스 조이스의「참혹한 사건」 : 이원적 대립의 같은 목소리와 다른 결말 홍승현 pp.93-108
양 극단의 정치적 스펙트럼 : 백인의 책무와 제국의 위선 : 키플링과 오웰의 경우 박경서 pp.71-92
『황무지』원고본 : 원전비평적 접근 안중은 pp.21-51
핀터의 후기극에서 타자성의 관점이 시간성에 미친 영향 : 『재는 재로』를 중심으로 최성희 pp.193-218
죽음과 재생 : 쏘로우(H. D. Thoreau)의『케이프 코드』(Cape Cod)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허정명 pp.239-257
영어 모문동사와 보충어의 내재의미 자질일치 송지미 pp.283-302
리처드 3세의 몰락과 비극성 : 첫 역사극 사부작을 중심으로 이정영 pp.153-172
몸의 정치 : 월트 휘트먼과 김수영의 시 김혜영 pp.1-20
그리스 비극을 통해 본 신성모독과 불경함에 관한 연구 : 『박카이』(Βακχαι)와『오이디푸스 왕』(Οἰδιπους Τυραννος)의 경우 정해갑 pp.173-191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부정관사 용법 이해도에 관한 연구 박성배 pp.259-281
북한이탈청소년들과 영어담당 교사들의 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이문우 pp.323-344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 황무지 』 : 원형 비평적 접근 네이버 미소장
2 Sexuality in The Waste Land: The Biographical Approach 소장
3 “Death in The Waste Land.” 소장
4 안중은. 『T. S. 엘리엇과 상징주의』. 서울: 동인, 2012. 미소장
5 W. B. 예이츠와 T. S. 엘리엇 : 쿨 장원과 번트 노턴 비교 소장
6 이창배. 「『황무지』 원고본 분석」. 『T. S. 엘리엇 시』. 서울: 동인, 2006. 251-89. 미소장
7 이철희.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황무지」 원본 연구』. 서울: L.I.E., 2012. 미소장
8 전홍실. 「「황무지』에 있어서의 파운드」. 『파운드의 시와 시론 연구」. 서울: 동인, 2005. 179-210. 미소장
9 Badenhausen, Richard. T. S. Eliot and the Art of Collaboration. Cambridge: Cambridge UP, 2004. 미소장
10 Barry, Peter. “The Waste Land Manuscript: Picking Up the Pieces in Order.” Forum for Modern Language Studies XV3 (1979): 237-48. 미소장
11 Bradbrook, M. C. T. S. Eliot: The Making of “The Waste Land.” Harlow, Essex: Longman, 1972. 미소장
12 Cox, C. B. and Arnold P. Hinchliffe, eds. T. S. Eliot: The Waste Land. 1968. London: Macmillan, 1986. 미소장
13 Eliot, T. S. 『T. S. 엘리엇 전집: 시와 시극』. 이창배 역. 서울: 민음사, 1988. 미소장
14 Eliot, T. S. The Letters of T. S. Eliot 1898-1922. I. Revised Edition. Eds. Valerie Eliot and Hugh Haughton. London: Faber & Faber, 2009. [Abbreviated as LE] 미소장
15 Eliot, T. S. On Poetry and Poets. 1961. Farrar, Straus & Giroux: The Noonday P, 1976. [Abbreviated as OPP]. 미소장
16 Eliot, T. S. The Waste Land: A Facsimile and Transcript of the Original Drafts Including the Annotations of Ezra Pound. 1971. Ed. Valerie Eliot. New York: A Harvest Book, 1994. [Abbreviated as WLF] 미소장
17 Ellmann, Richard. “The First Waste Land.” Eliot in His Time: Essays on the Occasion of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Waste Land. Ed. A. Walton Litz. Princeton: Princeton UP, 1972. 51-66. 미소장
18 Gallup, Donald. T. S. Eliot & Ezra Pound: Collaborators in Letters. New Haven: Wenning & Stonehill, Inc., 1970. 미소장
19 Gordon, Lyndall. “The Waste Land Manuscript.” American Literature 55.2 (1983): 399-412. 미소장
20 Kenner, Hugh. The Invisible Poet: T. S. Eliot. 1959. London: Methuen & Co. Ltd., 1977. 미소장
21 Koestenbaum, Wayne. “The Waste Land: T. S. Eliot’s and Ezra Pound’s Collaboration on Hysteria.” Twentieth Century Literature 34.2 (1988): 113-39. 미소장
22 Litz, A. Walton, ed. Eliot in His Time: Essays on the Occasion of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Waste Land. Princeton: Princeton UP, 1972. 미소장
23 McLuhan, Marshall. “Pound, Eliot, and the Rhetoric of The Waste Land.” New Literary History X.3 (1979): 557-80. 미소장
24 Nelson, William. “The Waste Land Manuscript.” Wichita State U Bulletin 86 (1971): 3-9. 미소장
25 Paige, D. D., ed. “Letters of Ezra Pound.” The Hudson Review III.1 (1950): 53-65. 미소장
26 ?The Waste Land? in the Making 네이버 미소장
27 Pound, Ezra. The Letters of Ezra Pound 1907-1941. Ed. D. D. Paige. New York: Harcourt, Brace and Co., 1950. 미소장
28 Scott, Robert Ian. “T. S. Eliot and the Original Waste Land.” The U of Windsor Review 19.2 (1986): 61-4. 미소장
29 The Making of "THE WASTE LAND" 네이버 미소장
30 Surette, Leon. “Pound’s Editing of The Waste Land.” The Birth of Modernism: Ezra Pound, T. S. Eliot, W. B. Yeats, and the Occult. Montreal & Kingston: McGill-Queen’s UP, 1993. 231-7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