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양성의 확대와 담론 형성의 기반 구축 이지은 pp.331-347
지역과 경계를 넘나드는 일본사 : 일본 전근대사 연구의 최근 동향 신동규 pp.267-306
사회적 요구의 강조와 '비판적 시각'의 모색 박경석 pp.247-266
일본 근현대사 연구 동향 이형식 pp.307-330
한국 근현대 과학사 연구의 최근 동향 김태호 pp.351-370
선사시대의 생계전략과 사회구조의 변천 이청규 pp.373-392
토대 구축과 지평 확대 : 2012~2013년 역사고고학 연구의 동향 이한상 pp.393-406
한국 현대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2012~2013 황병주 pp.89-119
새로운 시도의 어려움 김인걸 pp.3-26
확장되는 연구영역의 시간과 공간, 중국근대사연구 정혜중 pp.227-245
전근대-근대의 연속적 이해와 동아시아라는 시각 배항섭 pp.27-54
최근의 한중관계사·한일관계사 연구의 쇄도와 새로운 동양사 연구 방향의 탐색 박기수 pp.123-145
出土資料와 文獻資料의 合奏 : 중국고대사 연구의 심화 김경호 pp.147-168
魏晉隋唐史 연구의 다양성과 전망 정병준 pp.169-191
전체적 역사상 구성을 위한 문제 의식과 공유의 필요성 민병희 pp.193-208
전통적인 '명청사' 연구의 축적과 새로운 '청사' 연구의 모색 김선민 pp.209-225

참고문헌 (9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상규 2013, 『조선정치사의 발견 : 조선의 정치지형과 문명전환의 위기』, 창비. 미소장
2 권오영 2012, 『근대이행기의 유림』, 돌베개. 미소장
3 김윤희 2013, 『근대 동아시아와 한국 자본주의』,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미소장
4 김상웅 2014, 『녹두 전봉준 평전』, 시대의창. 미소장
5 김태웅 2012, 『한국근대 지방재정 연구- 지방재정의 개편과 지방행정의 변경』, 아카넷. 미소장
6 김형종 외 2013, 『국역 『淸季中日韓關係史料』 2』, 동북아역사재단. 미소장
7 김흥규 2013, 『근대의 특권화를 넘어서』, 창비. 미소장
8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13,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11. 미소장
9 미야지마 히로시 2013, 『나의 한국사 공부 :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를 찾아서』, 너머북스. 미소장
10 박정현 외 2013, 『중국 근대 공문서에 나타난 한중관계- 「청계주한사관당안」 해제-』,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11 송호근 2011, 『인민의 탄생:공론장의 구조변동』, 민음사. 미소장
12 송호근 2013, 『시민의 탄생:조선의 근대와 공론장의 지각 변동』, 민음사. 미소장
13 신동원 2013, 『호환 마마 천연두-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미소장
14 알렉산더 우드사이드 지음, 민병희 옮김 2012, 『잃어버린 근대성들』, 너머북스. 미소장
15 위르겐 하버마스/한승완 역 2001,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 미소장
16 유 정 2013, 『19~20세기 초 청대문인 편찬 조선한시문헌 연구』, 보고사. 미소장
17 이광재 2012, 『전봉준 평전-봉준이, 온다』, 모시는사람들. 미소장
18 이신철 편저 2013, 『동아시아 근대 역사학과 한국의 역사인식』, 선인. 미소장
19 이영학 2013, 『한국 근대 연초산업연구』, 신서원. 미소장
20 이진일 외 2012, 『서구학문의 유입과 동아시아 지성의 변모』, 선인. 미소장
2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근대제국과 만난 인천-충돌과 변화』, 글로벌콘텐츠. 미소장
22 장인성·김현철·김종학 엮음 2012, 『근대한국 국제정치관 자료집 1 : 개항·대한제국기』,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미소장
23 폴 A. 코헨 지음, 이남희 옮김 2003, 『학문의 제국주의』, 산해. 미소장
24 황상익 2013, 『근대 의료의 풍경』, 푸른역사. 미소장
25 深谷克己 編 2000, 『民衆運動史ー近世から近代へ』(五), 青木書店(東京). 미소장
26 三浦徹·岸本美緖·関本照夫 編 2004, 『比較史のアジア : 所有·契約·市場·公正』, 東京大学出版会(東京). 미소장
27 개항기 일본인의 부산 이주와 헤게모니 확장 소장
28 김건태 2013, 「19세기 회계자료에 담긴 實像과 虛像-1818~1945년 전라도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 수원백씨 門契 자료-」 『고문서연구』 43. 미소장
29 East Asian History as a Methodology for Reconstructing History in Korea 소장
30 『한국근대 지방재정 연구』 네이버 미소장
31 The activities of Japanese settlement society and Japanese self-governing body in Busan after opening of Busan Port 소장
32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History Book Narrative Content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소장
33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Farmers Forces in the Gochang Region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소장
34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modern civil right movement in East Asia 소장
35 The Colon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pen-Port Cities -A Comparison of Spatial Structures in the Open-Port Cities in Korea and China- 소장
36 박은식의 양계초 수용에 관한 연구 : 박은식의 유교구신(儒敎求新)과 근대성을 중심으로 소장
37 개항기 다문화 유입에 따른 사회변동과 일상사 변화 : 부산과 인천을 중심으로 소장
38 The modern appropriation of the traditional Han literature of the East Asia during the late Great Han empire period 소장
39 In Korean Literature Studies, What is going on? - Review of Kim Heung-gyu's "Above the Privileged Modernity" (Changbi 2013): Examination of the rather Controversial nuances 소장
40 대한제국의 다문화 공간 : 정동 소장
41 박맹수 2013, 「동아시아의 근대기획 ; “녹두장군” 전봉준과 다나카 쇼조의 “공공적” 삶 -한국과 일본의 근대를 읽는 사례로서-」 『人文硏究』(영남대) 69. 미소장
42 1908년 桑港義擧가 한국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소장
43 재한일본인 거류민단의 성립과 해체 소장
44 近代 韓·中 文化交流 小考 : 金澤榮과 張謇의 交遊를 중심으로 소장
45 清日战争以后韩国人和中国人的纷争及解决方式的变化 소장
46 박준형 2012, 「개항기 漢城의 開市와 잡거문제-한성개잔 및 철잔 교섭을 중심으로-」 『향토서울』 82. 미소장
47 Merchants from Chaozhou(潮州) and Thailand Who were Cast away on the Coast of Biinhyun(庇仁縣) in 1880 and Their Activities of Trade 소장
48 Relativization of Modernity 네이버 미소장
49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새로운 모색 : 동아시아적 시각과 '나눔과 배려'의 정신을 중심으로 소장
50 19세기 후반 민중운동과 公論 소장
51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의 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52 채무소송으로 본 華商의 商慣行(1906~1910) 소장
53 근대시기 한중관계의 변화과정 소장
54 송찬섭 2013, 「농민전쟁기 훈장과 학동의 일상 : 고부지역 전봉준과 박문규의 사례」 『역사학연구』 25. 미소장
55 북접농민군의 충청도 귀환과 영동 용산전투 소장
56 Arrival of the Bukjob-Peasant Army at Boeun and the Combat in Boeun Buksil 소장
57 『聚語』의 사료가치와 장내리집회 분석 소장
58 義城지역 향촌지배층의 동학농민군 진압 소장
59 people of Choryang after the opening of ports and the formation of a modern space 소장
60 한국 근대사의 전통-근대의 연계와 동아시아 관계사 모색 소장
61 왕현종 2013, 「1893년 보은집회 연구의 쟁점과 과제-주도층과 이념의 이중 교차」 『동학학보』 28. 미소장
62 박경리『토지』를 통해 고찰한 '동학'의 의미 소장
63 우수영 2013a, 「동학의 사상적 특성과 흐름 분석 ; 박태원 『갑오농민전쟁』에서 나타난 동학농민군의 위상」 『동학학보』 27. 미소장
64 A Study on the Sense of the Kabo Peasantry War in Jo Jeong-rae` 『Arirang』 소장
65 劉 暢 2012, 「19世紀 80~90年代 漢城的 山東商人-『駐韓使館保存檔案』을 통해 본 漢城에서의 山東商人」 『한국학논집』(계명대) 49. 미소장
66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를 보는 방법 소장
67 이경구 2012, 「서평 : 조선의 새로운 시간대와 인민」 『개념과 소통』 9, 2012. 미소장
68 The Change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s in East Asia and Disputes on the Evaluation of the Great Han Empire: Issues in Modern Korean History in 2005 소장
69 From Hyang-in(鄕人) to Common People(平民) - The Structure and Dissolution Process of Hyang-in System in Pyeongan Province - 소장
70 Sugar Trade between Korea and East Asian Countries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소장
71 이정철 2012, 「서평: ‘근대’ 프레임과 역사」 『역사비평』 98. 미소장
72 재조일본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소장
73 백산대회와 동학농민혁명 : 논쟁점을 중심으로 소장
74 The review on the record of 'Jangnaeri Donghak Assembly' in Donghak Order data system 소장
75 Korean Modern Historical Studies on the Occasion of the First Centennial of the Japanese Annexation: Looking beyond the 20th Century 소장
76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gress of Education in Busan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mpire 네이버 미소장
77 Korean Historical Studies of 2005 in the East Asian Context 소장
78 Current Status and Task of Study on Donghak Peasant War -Focusing on the 2nd War- 소장
79 The Birth of Heaven`s Way -The Characteristic of Eastern Learning(Dong-hak) in East-Asian Thought 소장
80 신동엽 시에 나타난 동학사상과 글쓰기 방식 : 『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大地』를 중심으로 소장
81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uring the Opening of the Port of Busan 소장
82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Novelization of Folk Tales from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lk Tales from Yesan Areas, in Chungcheongnam-do 소장
83 壬午軍亂時期 韓中 文士들의 文化交流 소장
84 A Study on the Marine Network with Japanese at Mokpo Port in the Beginning of Port Opening 소장
85 Book Review: Kang Sang-Gyu, "Discovering Political History in Chosun"(Changbi, 2013) 소장
86 최지청 2013, 「太平天國與東學運動比較硏究:理想·制度/政策·实践」 『동학학보』 28. 미소장
87 하정원 2012, 「1882년 전후 동아시아론의 형성과 조선 지식인의 반응」 『동방한문학』 51. 미소장
88 홍동현 2013, 「1900~1910년대 동학교단 세력의 '東學亂'에 대한 인식과 교단사 편찬」 『한국민족운동사연구』 76. 미소장
89 The Discursive Struggle between the Religious Body of Donghak and the Government during the Period of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 A Consideration on Its Confucian Aspects ― 소장
90 Foundations for the Legitimation of the Tonghak Peasant Army and Awareness of a New Political Order 소장
91 Bentley, Jerry H., “Beyond Modernocentrism: Toward Fresh Visions of the Global Past”, in Victor H. Mair, ed., Contact and Exchange in the Ancient World(Honolulu, 2006) 미소장
92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wareness of a Common Cultural Identity in 19th Century Chosŏn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