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체육과 TGT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정의적 영역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체육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및 정의적 목표 성취를 위한 체육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Y시 중학교 2학년 3개 반을 대상으로 TGT 협동학습(15차시)을 적용하여 티볼 수업을 하였다. 반면에 3개 반은 전통적 수업을 적용하여 티볼 수업을 하였다. 이처럼 체육수업에 참여한 중학교 207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태도, 자아효능감, 사회성 등 정의적 영역 발달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SPSS(versio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는 전통적인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TGT 협동학습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에서 더 많은 평균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학생의 사회성은 전통적인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TGT 협동학습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더 많은 평균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사회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 여학생의 협동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중학생의 자아효능감은 전통적인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에 비해 TGT 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더 많은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직 중등교사의 관점에서 본 교직 적·인성 요소 간 중요도 분석 노경란 pp.59-76

예술교육에서 연습의 두 가지 의미와 방향 이화식 pp.123-149

Lesson Study Crosses the Pacific : Teacher Chang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이미미 pp.471-495

초등 사회과 교사발달 연구에서 Change Laboratory Method의 적용 가능성 탐색 전재원 pp.331-347

사학(四學) 교관에 관한 일연구 김성혜 pp.255-271

초등 다문화교실에서 문학기반 다문화교육을 위한 작품 선정 기준 탐색 하근희 pp.377-400

정보영재교육이 학습자의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최정원, 이영준 pp.295-312

컴퓨팅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RME 기반 알고리즘 학습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박민규, 김지현, 김태영 pp.179-193

Kinect 센서와 Greenfoot을 이용한 NUI 프로그래밍 지도방법 사례 연구 장원영, 김성식 pp.195-214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교사관심사와 교직전문성과의 관계 배종희, 윤연진, 이안수 pp.215-234

영어과 수업실연 평가의 수준설정 방안 이상하, 조보경, 진경애 pp.401-421

고등학생들의 역사 흥미에 영향을 미친 경험 요인 탐색 전병철 pp.439-470

초등학교 고학년용 시험불안 척도 개발 이지선, 유형근, 정연홍 pp.313-330
체육과 TGT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부성민, 박대원, 박종률 pp.77-104

정보통신윤리지수 모형 기반 모듈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길모, 김성식 pp.1-18

교원 인식에 기초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 합목적성 고찰 김갑성 pp.39-57

장·노년기의 삶에 미술활동이 미치는 의미와 가치 최혜민, 정현일 pp.105-122

초·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지경로 모형 개발 박기철, 강성주 pp.349-375

공감기반 학습모형 개발연구 이준, 유숙경, 이윤옥 pp.151-177

2009 개정 바른 생활 교과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 분석 박한숙 pp.423-438

유치원 수업 동영상에 나타난 창의적 수업 특성 탐색 김호, 이수연, 윤민아 pp.273-293

고등학교 화학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프로그램 개발 장은경, 조성화 pp.19-38

구성주의를 강조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 생물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및 세계관 변화 탐색 김선영 pp.235-254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신복 (1994). 체육교육과정이론. 서울: 보경문화사. 미소장
2 협동학습이 체육 수업에 대한 태도와 성취에 미치는 효과 소장
3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소장
4 Study on education for affective domai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middle schools 소장
5 김경미 (2003). 초등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미소장
6 김복미 (2003).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7 김성회 (2003). 학습자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교사주도 학생주도 역할놀이 수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미소장
8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the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소장
9 협동학습모형이 체육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분석 소장
10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Athletics Instruction 소장
11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a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소장
12 Teacher`s story in cooperative Learning 소장
13 박대원 (2013).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19-46. 미소장
14 박미영 (2002).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미소장
15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특징과 과제 소장
16 박치후 (2003). 협동학습 모형적용 체육수업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미소장
17 서지영 (2004). 정의적 발달을 위한 체육과 협동학습 적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18 신동로, 김강식, 서길주 (2001). STAD 협동학습 방법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교육논집, 21, 1-22. 미소장
19 신성희 (2003). 해외단기 선교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0 심경일 (2004). 독서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개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1 오경환 (2003). 협동학습 수업 전략이 심리 반응 및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2 이병준 (2013). 사회적 기술 발달을 위한 팀스포츠 학습모형의 개발. 제5회 2013 체육교육한마당, 59-82, 충북: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미소장
23 이재용 (1998). 체육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적용방안 연구, 한국교과교육학회지, 2(1), 201-227. 미소장
24 정구영 (2002). 초등체육에서 협동학습이 학습자들의 참여 태도와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미소장
25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소장
26 정문성 (1994).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7 정문성 (2008).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28 정은주 (2005). 학교유형에 따른 중학교 여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 태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9 정순애 (1998).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미소장
30 정종렬 (2006). 협동학습모형이 중학생의 체육학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미소장
31 제창욱 (2007). 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 협동학습모형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미소장
32 차정은 (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3 최상길 (2005). 수줍음 극복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 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4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System and Competitive Learning System on Learning Attitude in the Physical Education of the Middle School 네이버 미소장
35 최의창 (2002). 인문적 체육교육. 서울: 무지개사. 미소장
36 Humanities-oriented physical education as a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for whole person 소장
37 최의창 (2011). 학교체육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교육: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 탐색. 체육과학연구, 22(2), 2025-2041. 미소장
38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체육교육 평가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9 한만석 (2009). TG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40 황의찬 (2009). 협동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에서 팀 리더의 유형에 따른 구성원의 참여 태도.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41 The Effects of Group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ivism in Scienc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ir Perceptions 소장
42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네이버 미소장
43 Cooperative Learn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네이버 미소장
44 Students' Voices in Two Alternativ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Programs 네이버 미소장
45 The Effects of Model Similarity and Model Talk on Self-efficacy and Muscular Endurance 네이버 미소장
46 Teaching Affective Qualities in Physical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47 Character, virtue and physical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48 Six scales for assessing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네이버 미소장
49 Mercier, R. (1993). Student-centered physical education: Strategies for teaching social skills. Jouran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64(5), 60-65. 미소장
50 Metzler, M.(2005).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2nd ed). New York: Allyn and Bacon. 미소장
51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McGraw Hill. 미소장
52 Slavin, R. E.(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미소장
53 Affective Teaching: Psycho-Social Aspects of Physical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