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교양영어 교육의 보조프로그램 효과 연구 : 배재대학교 말하기 및 쓰기 지도실을 중심으로 | 김재경 | pp.367-396 |
|
|
교양으로서의 소설 : 『로빈슨 크루소』를 중심으로 | 정익순 | pp.397-421 |
|
|
예체능 계열의 전공 연계 글쓰기 시론 : 사진학과의 작품해설문 쓰기를 중심으로 | 강숙아 | pp.71-96 |
|
|
창의적 문제해결과 발표 : 토론 연계 교육 | 현남숙 | pp.237-261 |
|
|
글말 의사소통 모델의 합성 | 권성규 | pp.185-236 |
|
|
<홍길동전>의 현재적 가치 모색과 교양 글쓰기 | 이명현 | pp.263-293 |
|
|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자서전 쓰기 교육 | 최선녀 | pp.97-130 |
|
|
'논평 쓰기' 교수-학습 모형 연구 | 공하림, 손혜진, 임형옥 | pp.39-70 |
|
|
서평쓰기를 위한 읽기 쓰기 통합교육 수업 사례 연구 | 심지현 | pp.131-156 |
|
|
'믿을 수 없는 서술' 개념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법 모색 | 김경애 | pp.295-330 |
|
|
팀 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의 양상에 관한 연구 | 김재봉 | pp.157-183 |
|
|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 이하준, 이종하 | pp.423-448 |
|
|
워크숍을 활용한 주제 글쓰기 교과 운영 사례연구 | 박영기 | pp.11-37 |
|
|
대학영어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제언 | 고준석 | pp.335-366 |
|
|
대학 교양교육강좌 강의 및 운영과정에서의 문제점과 효과적인 해결방안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민웅기 | pp.557-589 |
|
|
'상호문화 능력' 학습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을 위하여 | 김순임, 민춘기 | pp.517-555 |
|
|
개인별 책무성 강화에 따른 협력학습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 효과 분석 | 김다원 | pp.485-515 |
|
|
진화과학에 근거한 인간본성의 탐구로 구성된 교양과학수업이 통합적 세계관과 성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신주옥, 장수철 | pp.591-635 |
|
|
상상력(원형적 사유)과 그 서사구조에 대한 소묘(素描) | 이준 | pp.449-484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와 치료적 요인 지각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2 | 권성호, 이준, 한승연, 방선희, 「대학교양교육에서의 이러닝 활용방안연구: 대학 간 콘텐츠 공동활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1호, 2012, 9-32쪽. | 미소장 |
3 | Research f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tudents | 소장 |
4 | Suggestions on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Global Mindset ―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Corporate Global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 | 소장 |
5 | 김경동·이온죽·김여진, 『사회조사연구방법』, 박영사, 2009. | 미소장 |
6 | 김구, 『사회과학 연구조사방법론의 이해』, 비앤앰북스, 2008. | 미소장 |
7 | 김문조, 『IT와 새로운 사회질서의 형성』,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 미소장 |
8 | 김문조, 『융합문명론: 분석의 시대에서 종합의 시대로』, 나남, 2013. | 미소장 |
9 | 김성봉·권순철·이인회, 「엑션러닝기반 교양수업만족도 요인분석」,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013, 273-299쪽. | 미소장 |
10 | Flow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Based on the cas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소장 |
11 | Theoretical Design of Value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Convergence Methodology: with priority given to the development of a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 “Value and Communication” | 소장 |
12 | A Study on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s Comparison through internet usag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 소장 |
13 | 닝 왕. 『관광과 근대성』, 일신사, 2000. | 미소장 |
14 | 로버트 퍼트남,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박영사, 2006. | 미소장 |
15 | Specia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role of philosophy | 소장 |
16 | 융합사회에서 관광콘텐츠 연구의 위상과 방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학문 영역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소장 |
17 | The case study of first year new student program for university freshmen - focusing on the program of differentiation, emotional interac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t the age of postmodernism- | 소장 |
18 | Effect analysis of the college students' creativity education using a liberal-arts course | 소장 |
19 | 박일우·김우형·박주형, 「교양교육에서 인터넷 집단지성의 활용을 위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2호, 2012, 173-206쪽. | 미소장 |
20 | 백평구, 「교양교육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1호, 2012, 431-466쪽. | 미소장 |
21 | A Study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of Education | 소장 |
22 | Action Research on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as a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Level-With a focus upon Diasporic experience, reflection, and expression | 소장 |
23 |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 |
미소장 |
24 | The Liberal education system in University Corresponding to Knowledge-based Society | 소장 |
25 | 스콧 레쉬와 존 어리, 『기호와 공간의 경제』, 현대미학사, 1998. | 미소장 |
26 | Dropout Prediction Modeling and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of Early Detection in e-Learning Courses | 소장 |
27 | A Study to Improve Cyber Classes in Liberal Education among Korean Universities | 소장 |
28 | 이준형, 『조사방법론』, 대영문화사, 2006. | 미소장 |
29 | A Study on Practical Plans for Systematic Instruction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Level | 소장 |
30 | 이희용, 「지식융합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제5권 제2호, 2011, 11-37쪽. | 미소장 |
31 | 제프리 알렉산더, 『현대사회이론의 흐름』, 민영사, 1993. | 미소장 |
32 | 조지 리처,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시유시, 1987. | 미소장 |
33 | 조지 리처, 『현대사회학이론』, 형설출판사, 1991. | 미소장 |
34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Future-Oriented Goals, Proximal Subgoals,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and Self-Regulation Strategies | 소장 |
35 | Colaizzi, P. M.,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lle & M. King(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p. 48-71. | 미소장 |
36 | Coleman, J., Foundation of Social Theory, Cambridg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 미소장 |
37 | Giddens, A.,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Cambridge: Polity Press. 1990. | 미소장 |
38 | Mason, J., Qualitative Researching,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2. | 미소장 |
39 | Rubin, A. & Babbie, E. R.,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6th ed, Belmont, C.A: Thomson, 2008. | 미소장 |
40 |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 1995. | 미소장 |
41 | Taylor, C., Source of the Self: The Making of the Modern Ident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