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하나님의 섭리와 우연 혹은 운명의 관계성을 개혁주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개혁주의 교회는 하나님을 무에서 존재로 부르시는 단회적인 창조의 일시적인 주체만이 아니라 창조의 지속적인 보존과 주권적인 통치의 주체로도 생각하는 포괄적인 섭리론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를 벗어나는 어떠한 존재도 없고 어떠한 사건도 없고 어떠한 사태도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맥락에서 개혁주의 신학에는 당연히 우연이나 운명이란 개념이 들어설 신학적 빈공간은 없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차적인 원인들의 본성에 따른 자유나 우연적인 일들에 대해서도 그런 현상 자체의 실존을 부정하진 않았다. 다만 우연이나 운명처럼 보이는 것들이 실제로는 하나님의 섭리가 인간의 머리로는 추적되지 않도록 은밀하고 오묘하게 작용하고 있지만 외관상 우연인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하였다. 즉 이차적인 원인들의 자유와 우연성의 실존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도 포기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이에 본 논문은 특별히 존 칼빈을 비롯하여 개혁주의 전통의 형성과 발전에 적잖게 공헌한 아만두스 폴라누스(Amandus Polanus), 윌리엄 트위스(William Twisse) 및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그리고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의 섭리론을 다루면서 앞서 언급한 우연과 섭리에 대한 종교개혁 및 정통주의 시대의 개혁주의 입장을 고찰하며 그것에 얽힌 오해를 해소하려 한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칼뱅에 따른 돈과 재화 | 이오갑 | pp.7-45 | ||
우연과 섭리 : 개혁주의 관점에 대한 고찰 | 한병수 | pp.47-85 | ||
"체화된 종교성"에 관한 연구 | 김성원 | pp.87-127 | ||
기독교대학 정체성 회복을 위한 연구 | 이신형 | pp.129-171 | ||
바르트 삼위일체론의 현대적 의미 : 하나님 존재 이해의 현대적 과제를 위하여 | 황돈형 | pp.173-211 | ||
인격과 본성 사이의 경계 : 존 지지울라스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 김옥주 | pp.213-243 | ||
아우구스티누스의 수학 신학 | 현우식 | pp.245-274 | ||
사랑, 사랑의 신학 그리고 한국인의 정 : 몰트만의 사랑의 하나님 이해를 중심으로 | 김정두 | pp.275-312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quinas, Thomas. In VI libros sententiarum. | 미소장 |
2 | Aristotle. On the Cosmos.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55. | 미소장 |
3 | Augustine. De Civitate Dei, PL 41. | 미소장 |
4 | Augustine. Retractationes I, Contra Academicos, PL 32. | 미소장 |
5 | Basil. Homilia in Psalmos, PG 29. | 미소장 |
6 | Cajetan. Commentaria in summam theologicam divi Thomae. Quebec : Laval University, 1948. | 미소장 |
7 | Calvin, John. “Praefatio in legem,” CO 24. | 미소장 |
8 | Calvin, John. Commentarius Exodus et Praefatio in Legem et Lex, CO 24. | 미소장 |
9 | Calvin, John. Commentarius in harmonia evangelica, CO 45. | 미소장 |
10 | Calvin, John. Commentarius in Zacharias, CO 44. | 미소장 |
11 | Calvin, John. Institutio 1559. | 미소장 |
12 | Calvin, John. Praelectiones Amos ad Habacuc, CO 43. | 미소장 |
13 | Calvin, John. Praelectiones in Exechielis prophetae, CO 40. | 미소장 |
14 | Calvin, John. Praelectiones in Lamentationes Ieremiae, CO 39. | 미소장 |
15 | Heidegger, Johannes Heinrich. Corpus theologiae christianae. Heidelberg, 1732. | 미소장 |
16 | Origen. De principiis, PG 11. | 미소장 |
17 | Plato. Epinomis.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41. | 미소장 |
18 | Polanus, Amandus. Syntagma theologiae christianae. Hanoviae, 1615. | 미소장 |
19 | Seneca. De Providentia.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28. | 미소장 |
20 | Turretin, Francis. Institutio theologiae elencticae. Edinburgh, 1847. | 미소장 |
21 | Twisse, William. A discover of D Jacksons vanitie. Amsterdam, 1631. | 미소장 |
22 | Twisse, William. The Riches of Gods Love unto the Vessells of Mercy, consistent with His Absolute Hatred or Reprobation of the Vessels of Wrath. Oxford: LL & HH, 1653. | 미소장 |
23 | Twisse, William. A Treatise of Mr. Cottons, clearing certain Doubts concerning Predestination, together with an Examination thereof. London: F.D., 1646. | 미소장 |
24 | 안톤 보스/한병수 옮김. “종교개혁과 스콜라주의.” 『종교개혁과 스콜라주의』(Reformation and Scholasticism)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4): 119-143. | 미소장 |
25 | Calvin’s Understanding of Providence in his Commentary on the Harmony of the Gospels Matthew, Mark and Luke | 소장 |
26 | 칼빈의 섭리론 | 소장 |
27 | Allen, David L. and Lemke, Steve W. (ed.) A Biblical-Theological Critique of Five-Point Calvinism: Whosoever Will. Nashville: B&H Academic, 2010. | 미소장 |
28 | Armstrong, Brian. Calvinism and the Amyraut Heresy. Madis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 미소장 |
29 | Godly Choice: Puritan Decision-Making in Seventeenth-Century England ![]() |
미소장 |
30 | Basil Hall. “Calvin Against the Calvinists.” in John Calvin, ed. G. E. Duffield (Appleford:Sutton Courtney Press, 1966) | 미소장 |
31 | FAITH, FORTUNE AND SOCIAL STRUCTURE IN SEVENTEENTH-CENTURY MONTPELLIER* ![]() |
미소장 |
32 | Bizer, Ernst. Frühorthodoxie und Rationalismus. Zürich: EVZ Verlag, 1963. | 미소장 |
33 | Bois, Henri. La Philosophie de Calvin. Paris: Librairie Generale et Protestante, 1919. | 미소장 |
34 | Heppe, Heinrich. “Der Charakter der deutsch-reformirten Kirche und das Verhältniss derselben zum Lutherthum und zum Calvinismus.” in Theologische Studien und Kritiken 3 (1850): 669-706. | 미소장 |
35 | Does God Play Dice? Divine Providence and Chance ![]() |
미소장 |
36 | Fortune and Providence in the "Mirror for Magistrates" ![]() |
미소장 |
37 | Determinism and the Hiddenness of God in Calvin's Theology ![]() |
미소장 |
38 | Providence, Chance, and the Problem of Suffering ![]() |
미소장 |
39 | Mirandola, Pico della. Disputationes adversus astrologiam divinatricam. Firenze: Vallechi, 1943. | 미소장 |
40 | Providence and Divine will in Gassendi's Views on Scientific Knowledge ![]() |
미소장 |
41 | Providence, Fortune, and the Experience of Combat: English Printed Battlefield Reports, circa 1570-1637 ![]() |
미소장 |
42 | Stauffer, Richard. Dieu, la Creation et la providence dans la pre dication de Calvin. Berne: Peter Lang, 1977. | 미소장 |
43 | Van Asselt, W. J. et al. (ed) Reformed Thought on Freedom: The Concept of Free Choice in Early Modern Reformed Theology.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9. | 미소장 |
44 | Virgil. Aeneis, ed, J. B. Greenough. Boston: Ginn & Co., 1900. | 미소장 |
45 | Yoo, Joengmo. John Edwards (1637-1716) on Human Free Choice and Divine Necessity:The Debate on the Relation between Divine Necessity and Human Freedom in Late Seventeenth-Century and Early Eighteenth-Century England. Götingen:Vandenhoeck & Ruprecht, 20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