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백두산 흑요석과 가덕도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된 미세결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좌용주, 진미은, 문성우, 류춘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韓國鑛物學會, 2014.12.31
수록지명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제27권 제4호 통권 제82호 (2014년 12월), pp.243-24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5015244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외부기관 원문
KISTI

초록보기 더보기

북한 쪽 백두산 지역에서 산출되는 흑요석과 부산 가덕도 유적지에서 출토된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결정을 대상으로 그 형태적 분류 및 화학조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백두산 흑요석은 육안 및 경하관찰에 의한 분류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형태적으로는 트리카이트-아시큘러와 트리카이트-에스테로이달의 미세결정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한편 가덕도 흑요석은 분류결과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아시큘러, 마가라이트, 래쓰결정, 에스테로이달 등의 다양한 미세결정이 분포한다. 백두산 흑요석 내의 규산염 미세결정은 대부분 헤덴버자이트 내지 오자이트의 조성을 가지는 휘석으로 나타났으나, 가덕도 흑요석 내의 규산염 미세결정은 대부분이 애나이트 조성에 가까운 흑운모이며 일부 마가라이트 형태의 미세결정은 훼로실라이트 조성의 석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백두산 흑요석과 가덕도 흑요석은 미세결정의 형태, 광물 종류 및 그 화학성분 등에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가덕도 유적지에서 출토된 흑요석제 석기는 백두산지역 흑요석과는 성인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conducted investigations in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microlites included in the obsidians from the North Korean side Baekdusan (NK)and in the obsidian artefacts from the Busan Gadeokdo prehistoric site (BG). The morphology of the microlites from the NK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richite-acicular and trichite-asteroidal types are predominant. On the other hand the microlites from the BG show various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acicular, margarite, lath, and asteroidal types. Silicate microlites from the NK are mostly of Ca-pyroxene compositions (hedenbergite to augite), whereas those from the BG are mostly of biotite (annite) with small amount of clinopyroxene (ferrosilite). It is well understood that the microlites from the NK are different from those from the BG in terms of the morphology, mineral content and mineral composition. Thus the obsidian aretefacts from the Busan Gadeokdo prehistoric site seem to have no genetical relationship to the obsidians from the Baekdusa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통가열도 TA 25 해저산의 열수변질 조현구, 김동호, 구효진, 엄인권, 최헌수 pp.169-181
전기분해 조건에 따른 구리 회수 변화와 음극회수-구리분말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 박천영, 조강희, 김봉주, 최낙철 pp.183-195
하동군 북천면 지역 함티타늄광체 내 티탄철석의 산출특성 최진범, 곽지영 pp.197-205
더미 미생물용출에 의한 폐-광석으로부터 유용금속 용해 특성과 Fe 제거와 전기분해를 이용한 금속구리분말 회수 박천영, 김봉주, 조강희, 최낙철 pp.207-222
광산폐수 내 시안 제거를 위한 TiO2와 UV-LED를 이용한 광촉매 산화 김순오, 김성희, 이상우, 조현구, 김영호 pp.223-233
경북지역의 먹는 물에서 우라늄 검출 특성 김영훈, 이해근, 차상덕, 김정진 pp.235-242
백두산 흑요석과 가덕도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된 미세결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좌용주, 진미은, 문성우, 류춘길 pp.243-249
석조문화재 보수물질로의 적용을 위한 무기질 바인더 안정성 연구 조현구, 김대식, 도진영 pp.251-262
한반도 납광산의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청동 원료의 산지추정 : 청해진 출토 청동기를 중심으로 황진주, 김소진, 한우림, 한민수 pp.263-270
전산광물학을 이용한 점토광물 내의 수산기 연구 가능성 권기덕, 채진웅 pp.271-281
합성 활석에 대한 압축 연구 김영호, 김순오 pp.283-291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구리치환 반응 특성 이승엽, 이지영, 정종태, 김경수 pp.293-299
함황철석 안산암 내 단층 비지의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 김영규, 박승환 pp.301-310
중금속오염 토양의 자기분리에 의한 오염농축효과 김영훈, 김지은, 김정진 pp.311-320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Major element, REE, and Pb, Nd and Sr isotopic geochemistry of Cenozoic volcanic rocks of eastern China: implications for their origin from suboceanic-type mantle reservoirs 네이버 미소장
2 Glossary of Geology. 미소장
3 Characterization of the Sangmuyongri Obsidian Artifacts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e 소장
4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race elements and Sr isotope ratios 소장
5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from Gigok paleolithic site in Donghae–si using Trace Elements 소장
6 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from Sangsa-ri Paleolithic Site in Cheolwon 소장
7 Petrologic and Mineralogic Studies on the Origin of Paleolithic Obsidian Implements from Wolseongdong, Korea 소장
8 [Special section on volcanic glass] PIXE PROVENANCING OF OBSIDIAN ARTEFACTS FROM PALEOLITHIC SITES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9 Gemological Comparison between Gwangdong Tektite and Baikdusan Obsidian 소장
10 Dating techniques for the archaeologist. 미소장
11 Microlites in glassy volcanic rocks 네이버 미소장
12 Microlites and "nanolites" in rhyolitic glass: microstructur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네이버 미소장
13 Provenance of obsidian from Sangmuryongri. Sangmuryongri. pp. 781-796 미소장
14 Crystallization history of Obsidian Dome, Inyo Domes, California 네이버 미소장
15 Preliminary consideration o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bsidian artefacts. Vol. 35. pp. 172-187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