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동덕고녀와 수원고녀의 1945년 졸업생 학적부를 분석하여, 제 3⋅4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인 사립고녀와 일선공학으로 운영된 재조선 일본인 공립고녀의 특성을 비교사적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동덕고녀는 춘강 조동식 선생과 그의 민족주의적 여성교육 이념에 공감한 조선인 독지가들의 재정적 후원으로 설립된 경성 소재의 사립학교로 민족주의 교풍이 강한 학교였다. 수원고녀는 재수원 일본인 학교조합에서 일본인 여학생의 중등교육을 목적으로 설립한 공립학교로 일선공학으로 운영된 일본인 학교였다. 동덕⋅수원고녀의 학적부 기록 언어는 전자가 주로 한글과 한문으로 기록된 반면 후자는 일어와 한문으로 기록되었다. 보호자의 직업은 농업종사자가 동덕고녀 27.3%, 수원고녀 18.8%인 반면, 근대여성교육에 매우 적극적이고 개방적이었던 공무⋅자유업 종사자는 동덕고녀 33.4%, 수원고녀 52.1%였다.
성적평가의 특징은 제 3차 조선교육령에 의해 교사의 자의성과 주관적 판단의 여지가 있는 ‘조행(操行)’과 체위(體位) 점수를 성적에 반영한 것이다. 체위향상을 위해 동덕고녀는 전교생에게 생활체육의 일환으로 근대스포츠를 장려하여 체위를 향상시키고자 했다면, 수원고녀는 군사훈련에 버금가는 강도 높은 체력훈련을 통해 체위를 향상시키고 신체 강건한 황국여성으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성행평가는 관찰자인 담임교사의 주관적인 관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기록으로, 동덕고녀의 경우 성질과 행위가 성적에 비례하지 않고, 대부분의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원고녀는 기질⋅거동평가에서 ‘온순⋅명랑⋅쾌활’한 성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활발하지 않고, 둔중하며, 멋대로’인 성품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지조 평가에서는 한국학생에 비해 일본학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한국학생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 중에 ‘겉과 속이 다름, 우유부단, 소극적, 견실하지 못함’ 등이 많았다.
In this study, school records of Dongduk and Suwon Girls’ High Schools during the 1940s were analyzed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girls’ high school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and Japanese girls’ high school in Korea. Dongduk Girls’ High School was a private school founded in Gyeongseong(Seoul) by Chungang Cho Dongshik and Korean benefactors who shared his view of nationalistic women’s education, and had a strong nationalistic tendency. On the other hand, Suwon Girls’ High School was founded as a public school by the Suwon Japanese School Association for secondary education of Japanese female students.
While Dongduk Girls’ High School kept the records mainly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Suwon Girls’ High School recorded in Japanese and Chinese characters. For the names of students and parents, also, the former first put the Korean name, which was crossed out in two lines, to write the Japanese name on top of it. There were 14(8.5%) students out of 165 who did not convert their names into a Japanese one. However, in Suwon Girls’ High School, except 1 student, all students’ names were recorded in the Japanese version.
In both Dongduk and Suwon Girls’ High Schools, only a quarter of the parents were involved in agriculture whereas 82.1% of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during the 1930s and 1940s were working in agriculture. However, about one third of parents at Dongduk Girls’ High School and half of parents at Suwon Girls’ High School were public servants or liberal professionals who were highly active in and open to women’s education as a newly emerging bourgeoisie class.
In the Thir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conduct’, which is likely to reflect the subjective opinion of the teacher, was included in the grade. Demeanor evaluation was based on observation of the teacher in charge on overall daily life of student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reveals the perspective and position of the recorder. Suwon Girls’ High School, where both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were educated, showed ethnic discrimination in education.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松巖 李魯의 삶과 그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 이구의 | pp.7-34 | ||
俗離山 題詠詩의 美學 | 김미선 | pp.35-56 | ||
대중사회의 출현과 공진회의 대중성 인식 | 이병철 | pp.57-74 | ||
유교적 전통과 세대간의 소통 | 한기범 | pp.75-102 | ||
일제 강점기 조선인 여학교와 재조선 일본인 여학교의 특성 비교 연구 : 동덕·수원고녀 학적부를 중심으로 | 김명숙 | pp.103-134 | ||
독일 세창양행과 구한말 조선의 근대화 현실 | 이영관 | pp.135-163 | ||
율곡의 孝 사상과 평생을 통해 실천한 인성 교육적 인간상 | 김익수 | pp.165-203 | ||
백호 윤휴의 기해 예송관 | 장세호 | pp.205-208 | ||
해방후 文解敎育의 역사적 조명 | 노병윤 | pp.229-259 | ||
동기감응론의 한계성에 따른 방향성 모색 | 박정해 | pp.261-287 | ||
秋史 金正喜 書畵의 實事求是的 批評 | 이필숙 | pp.289-316 | ||
한국사회와 놀이의 인문학 | 김겸섭 | pp.317-343 | ||
대학 캠퍼스 구성원의 합창음악 활동을 통한 인성적 교류 경험 | 김준경 | pp.345-369 | ||
한국내 중국 학생 여행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 (A)Study on Changes of Travel Behaviors of Chinese Student in South Korea : A Comparison of the Year 2007 and 2013 | 장운요, 박근수 | pp.371-393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동아일보 | 미소장 |
2 | 조선일보 | 미소장 |
3 | 신여성 | 미소장 |
4 | 개벽 | 미소장 |
5 | 별건곤 | 미소장 |
6 | 동덕사립고등여학교 학적부 | 미소장 |
7 | 수원공립고등여학교 학적부 | 미소장 |
8 | 동덕50년사편찬위원회편, 동덕 50년사 , 1960. | 미소장 |
9 | 동덕100년사편찬위원회편, 동덕100년사 자료집Ⅰ-1908-1914 , 책과함께, 2009. | 미소장 |
10 | 수원여자고등학교, 수원여고 50년사 , 1986. | 미소장 |
11 | 송병기 외, 한국근대법령자료집 , 국회도서관, 1970. | 미소장 |
12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관보 (http://gb.nl.go.kr) | 미소장 |
13 | 雲庭先生紀念事業推進會編, 白水晶의 姿態: 雲庭李淑鍾先生華甲記念 , 1963. | 미소장 |
14 | 이창식, 일제 강점기 민생실록-수원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수원문화원, 2003. | 미소장 |
15 | 酒井政之助, 水原 , 酒井出版部, 1923. | 미소장 |
16 | 홍영애 엮음, 조약돌 , 1993. | 미소장 |
17 | The Name-Changing Program and the Response of Korean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 소장 |
18 | “Chosun Shrine” as a method of an assimilation policy in Japanese colonization | 소장 |
19 | 길민정, 「한말⋅일제초 인천지역 초등교육의 도입과 전개 : 인천사립영화학교와 인천공립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논문, 2011. | 미소장 |
20 | 김명숙, 「1920-1930년대 동덕여고보의 항일학생운동」 젠더연구 14, 2009. | 미소장 |
21 | 근대 여성교육과 同德 | 소장 |
22 | 김명숙, 「일제강점기 고등여학교 학생들의 꿈과 이상, 그리고 현실-1945년 동덕고등여학교 학적부를 중심으로-」 鄕土서울 78, 2011. | 미소장 |
23 | 김명숙, 「1943-1945년 수원공립고등여학교 학적부 분석-일제 강점기 한일공학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73, 2014. | 미소장 |
24 | 식민지 동화주의의 공간정치 : 조선신궁의 건설과 활용을 중심으로 | 소장 |
25 | 일제하 수원지역의 철도교통 | 소장 |
26 | 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 일선공학 정책과 조선인의 반응 | 소장 |
27 | 박지향, 「일제하 여성고등교육의 사회적 성격」 사회비평 1, 나남, 1988. | 미소장 |
28 | 박철희, 「1920-30년대 고등보통학생집단의 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 26, 2004. | 미소장 |
29 | 박철희, 「식민지기 한국 중등교육 연구: 1920-1930년대 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미소장 |
30 |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distribution of the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 the course after the graduation from "Women`s Godeung Botong School" | 소장 |
31 | 근대 식민지 도시의 형성과 수원 | 소장 |
32 | 原智弘, 「재조일본인 교원의 조선체험」 수원학연구 2, 2005. | 미소장 |
33 | A study on the Jeong Joo Seo’s academic record from Jool Po elementary school | 소장 |
34 | 近世以後 水原의 都市空間構造 變化特性 | 소장 |
35 | 학적부 분석: 일제말기 학교가 기록한 ‘국민학생’의 삶, 희망, 현실 | 소장 |
36 | 모범인간의 탄생과 유통 : 일제시대 학적부 분석 | 소장 |
37 | 경성 유학생 강상규, 독립을 열망하다,下 | 소장 |
38 | 조미은, 「일제강점기 재조선 일본인 학교와 학교조합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10. | 미소장 |
39 |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chool Union System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Details of Enactment and Revision in |
소장 |
40 | 조선교육령과 재조선 일본인 교육제도 | 소장 |
41 | 일제의 조선 지방지배정책과 수원 : 식민체제 기반구축기(1906-1919)를 중심으로 | 소장 |
42 | 한동민, 「수원 팔달산의 훼손과 활용」 수원학연구 3, 2006. | 미소장 |
43 | 현경미, 「식민지 여성교육 사례연구―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