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論語』 經文에 관한 해석의 다양성과 객관성을 찾아본다는 취지하에 연구를 시작한 것으로서, 그 여섯 번째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論語』 해석에 있어서 ‘정확성’을 찾아내기보다는 ‘다양성’의 지평을 열어보고자 함에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가 설정되어 있다. 그 이유는 주지하시다시피, 그간 우리나라의 경전 해석이 대체로 朱熹의 『集註』를 매우 충실하게 계승하는 측면으로 일관하여 왔기 때문이다. 『集註』는 실로 대단한 권위와 정본으로 여겨져 왔으며, 朝鮮의 儒者들에게 있어 사상적 立論의 근거를 내세우는 第一의 원칙이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여 21세기 중국과 일본에서의 經學 연구는 경전 해석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들은 ‘음운학’이나 ‘역사학’ · ‘어법학’ 등, 經書와 연관된 주변 학문과의 학제間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경전 해석에 관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이며 ‘개방적’인 연구 방향을 새롭게 내세우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대외적 경학 연구 분위기에 편승하여 경전해석의 다양성을 『논어』에서 찾아본다는 취지와 함께, 무엇보다도 ‘訓詁’와 ‘義理’ 그리고 ‘考證’에 입각한 『논어』 경문의 해석학적 정리 또한 필요함을 통감하여, 이에 시리즈 방식으로 연구습작을 내놓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ⅰ)「雍也」편의 체제와 구조적 특징, (ⅱ)諸註釋에 근거한 「雍也」편 경문 해석의 다양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雍也」편 총 28개의 경문 가운데 전반부 14개의 경문은 주로 「공야장」편과 같이 古今의 인물에 대한 評述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 주된 특징이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만, 「공야장」편은 공자 當代, 혹은 좀 더 역사적으로 올라가 先代의 인물들까지를 두루 섭렵하고 있으며, 여러 자료와 역사적 정황들을 제시하는 등, 고금의 인물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었던 반면, 「옹야」편 전반부의 14개 경문은 공자 當代의 인물과 제자에만 局限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으로 부각되었다. 특히 「선진」편에 나오는 ‘孔門 四科十哲’들이 모두 등장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옹야」편 전반부 14개의 경문에서는 제자들과 그 외 4명(공서화, 원헌, 담대멸명, 번지)의 인물들에 대한 평가가 添記되어 있는데, 그 評述 양상이 「공야장」편과는 다르며, 다분히 공자의 주관적 관점에 따라 기술되어 있다는 것도 특색이라 하겠다. 그 외, 후반부 14개의 경문은 공자의 일상적 삶의 路程 속에서 드러난 箴言과 警戒의 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여러 註釋家들의 다채로운 해석들이 존재하였음을 고찰해 보았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諸註釋을 통해 본『論語』經文의 解釋學的 理解. 6, 『雍也』를 중심으로 | 김용재 | pp.7-43 |
|
|
孔子의 윤리 상담에 관한 硏究 | 이상호 | pp.45-72 |
|
|
『장자』「덕충부」의 主旨 및 '덕'의 의미에 대한 고찰 | 이택용 | pp.73-103 |
|
|
朱子의 仁과 知 관계에 대한 해법 : "멍청한 仁者"의 문제를 중심으로 | 신정근 | pp.105-140 |
|
|
도덕적 명상으로서의 경(敬) | 김철호 | pp.141-172 |
|
|
孔子의 '九夷'와 韓國民族思想의 연관성 논의 | 오도열 | pp.173-208 |
|
|
退溪의 마음공부 | 이치억 | pp.209-234 |
|
|
朝鮮前期 寒暄堂 道學의 位相과 역할 | 유현주 | pp.235-257 |
|
|
懶翁三關의 禪思想 고찰 | 염중섭 | pp.259-284 |
|
|
유가미학에 있어서 미적 판단과 도덕적 판단의 상관성 | 류영모 | pp.285-314 |
|
|
書畵 墨色美의 哲學的 探究 | 김응학 | pp.315-338 |
|
|
梁漱溟の文化理解に見える儒学観 | 김정곤 | pp.339-369 |
|
|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에 관한 고찰 : 세계문화 3원론을 중심으로 | 전홍석 | pp.371-404 |
|
|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과 막스 베버(Max Weber)의 경제윤리 | 정지욱 | pp.405-43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大學論語孟子中庸(1985),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5 | 미소장 |
2 | 春秋左氏傳(1983), 보경문화사, 1999 | 미소장 |
3 | 十三經注疏10, 論語注疏, 북경대학 출판사, 1999 | 미소장 |
4 | 十三經引得第8 大學中庸論語孟子(민국 67년), 남악출판사, 1978 | 미소장 |
5 | 민국 59, 論語集解(略號集解)(元覆宋世綏堂本), 臺灣:國立古宮博物院. | 미소장 |
6 | 대정 12, 論語義疏(義疏)(懷德堂刊本) | 미소장 |
7 | 民國75, 論語注疏(注疏), 臺灣:中華書局 | 미소장 |
8 | 論語正義(正義)2冊, 北京:中華書局, 1990 | 미소장 |
9 | 論語集釋(集釋)4冊, 北京:中華書局, 1990 | 미소장 |
10 | 漢文大系1, 大學說中庸說論語集說孟子定本(昭和47년, 日本內外印刷株式會社, 1972 | 미소장 |
11 | 朱子語類, (宋)黎靖德編, 中華書局 | 미소장 |
12 | 延世大學校四書辭典編輯室, 四書集解辭典, 성보사, 2003 | 미소장 |
13 | 儒敎辭典編纂委員會, 儒敎大事典, 박영사, 1990 | 미소장 |
14 | 宋代經學國制硏討會論文集, 臺灣中央硏究院中國 哲學硏究所, 達雯印刷有限公司, 2006 | 미소장 |
15 | 論語, 이산, 2001 | 미소장 |
16 | The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 [3] | 소장 |
17 |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4] | 소장 |
18 |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 [5] ? Kim Yong Jae ![]() |
미소장 |
19 |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 [2] | 소장 |
20 |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 [2] | 소장 |
21 | Analytical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 scripture, 『the Analects of Confucius』, through old annotat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 소장 |
22 | 『論語』編纂에 대한 異見과 諸註釋을 통해 본 孔子의 敎育精神 | 소장 |
23 | An argument for the necessity of learning Confucian Classics and searhing for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 소장 |
24 | 論語의 종합적 고찰, 심산출판사 | 미소장 |
25 | 논어한글역주(2), 통나무, 2000 | 미소장 |
26 | 도올 선생 중용강의, 통나무, 1995 | 미소장 |
27 | 中國經學史의 基礎,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7 | 미소장 |
28 | 懸吐完譯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1990 | 미소장 |
29 | 동양적 가치란 무엇인가, - 論語의 세계, 생각의 나무, 1999 | 미소장 |
30 | 논어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2 | 미소장 |
31 | 고증학자는 논어를 어떻게 읽었나, 학고방, 200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