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근대의 사유 체계는 이성중심주의에 기반하며, 이성중심주의는 이상적인 관념을 정점으로 총체적인 서열의 체계로 이루어진 거대 담론을 형성한다. 따라서 근대의 사유 체계는 필연적으로 타자화를 수반한다. 본 논문은 근대의 공간에서 형성된 ‘비극’과 ‘비극성’의 개념이 타자화를 전제로 한다는 점을 직시하고, 탈근대적인 관점에서 ‘비극성’을 재정의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탈근대적인 인문학 담론의 중요한 논자로 거론되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창안한 ‘기계’와 ‘추상기계’의 개념을 활용하여 비극성의 문제를 접근해 보고자 했다. 요컨대, 본 논문은 비극을 ‘비극-기계’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비극성은 어떻게 재정의 될 수 있으며, 연극사를 기술하는 데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고찰하였다.

The tragic is a problematic issue for the researchers who write the history of the Korean theater because the Korean tradition of theater doesn't have the tragedy in the sense of the word that Aristotle defines it in his book, The Poetics. Aristotle defines the tragedy based on a series of aesthetic formula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culture than the ancient Greek culture and the western culture who has transmitted the Greek. Aesthetic formula constituted by Aristotle has not the universality in the proper sense of the word because it is composed in reference to a specific cultural phenomena that is of the ancient Greece. However it has been considered as a universal formula that should play the role of the criterion to estimate the quality of each culture of the world so that leaded to otherize the other culture than the western, which made the Korean culture a victim. This paper has the objective of creating a new conception of the 'tragedy' which could implicate the universality in the proper sense of the word. The machine and the abstract machine created by Deleuze and Gattari help us to do it. They help us to access everything in the point of function instead of form. Deleuze and Gattari introduce the term of the machine replacing the concepts of the object or the substance of the classic philosophy to explicate the world. According to Deleuze and Gattari, all the things that operate the same function are the same machine. Such an argument helps us to be able to define an object not on the base of the form but the function, which leads us to define an object in the manner which is free from otherization. Using the concepts of the machine and the abstract machine, this paper could redefine the tragedy in a new manner which is free from otherization and has the university in the proper sense of the word. Such a new concept related to tragedy suggests a new way to write the history of the Korean theater which has no more the risk of otherizing itself.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류나어우(劉呐鷗)의 일본문학 수용 양상 연구 : 모더니즘 소설의 번역과 창작을 중심으로 김명학 pp.5-26
마가렛 애트우드의『대리모 하녀이야기』와『일명 그레이스』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말하기의 전복성 김순식 pp.27-58
헤테로토피아로서의 기카이가지마 섬 김인아 pp.59-88
들뢰즈·가타리의 기계와 추상기계 개념을 활용한 비극과 비극성의 재조명 김효 pp.89-134
국외 입양인들의 작품에 나타난 인종주의 문제 박정준 pp.135-159
현대시의 수사학과 영화적 표현의 유사성 연구 : 시공간의 흐름을 중심으로 박한라 pp.161-187
동아시아 근대번역문학사 시론 : 1930년대까지의 소설을 중심으로 손성준 pp.189-225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마르크 샤갈 수용 양상 : 김영태와 이승훈을 중심으로 여지선 pp.227-255
게일(J. S. Gale)의『옥중화』번역의 원리와 그 지향점 : J. S. Gale, "Choon Yang"(The Korea Magazine 1917.9~1918.8)에 누락·변용된『옥중화』속 언어표현의 의미 이진숙, 이상현 pp.257-292
일본 현대문학의 영어권 수용과 문화번역 : '곁문화'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형진 pp.293-322
잡지『조선공론』영화란의 탄생과 재조선 일본인 영화문화의 태동 임다함 pp.323-353
질 들뢰즈의 행동-이미지론에서 집단성과 테크놀로지 양상 조성훈 pp.355-396
중세시기 민족어시가와 한시의 운율 결합 : 일본과 베트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귀묵 pp.397-423
실비 제르맹의『매그너스』에 나타난 탈현대-이후적 역사인식에 관하여 = Magnus and a Post-Postmodernist Sense of History : The Phenomenological Impulse in the Postmodernist Form : 탈현대적 형식에 담긴 현상학적 충동을 중심으로 김창환 pp.425-442
『위대한 개츠비』의 엘 그레코 읽기 = Reading El Greco in The Great Gatsby 임정명 pp.443-464
보들레르와 산문시의 비평적 관건 = Baudelaire et l'enjeu critique du poème en prose : A partir de la question de l'énonciation : 발화에 관한 물음을 중심으로 조재룡 pp.465-484
식민지 근대성을 통해 본 한국 모더니즘에 대한 비교 연구 = (A)Comparative Study on Korean Modernism in Colonial Modernity : A Literary-Historical Approach to Transformation of Modernism : 모더니즘 변형에 대한 문학사적 접근 최성우 pp.485-510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상봉,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 한길사, 2003. 미소장
2 Litt?rature et catharsis 네이버 미소장
3 Review of Catharsis and Shinmyung-puri(aesthetic pleasur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Comparison of Korean and Western cases 소장
4 Catharsis chez Aristote -Recherche critique sur interprétation classique et réception de catharsis par les Coréens- 네이버 미소장
5 Interpretation of Laugh Using the Concepts of Machine and Abstract Machine from Deleuze and Gattari 소장
6 볼프강 벨슈,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I, II), 박민수 옮김, 책세상, 2001. 미소장
7 Korean journal of rhetoric 네이버 미소장
8 Korean journal of rhetoric 네이버 미소장
9 아리스토텔레스,『수사학』 3, 이종오, 김용석 옮김, 리젬, 2008. 미소장
10 이경식,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신고전주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미소장
11 이정우, 『시뮬라크르의 시대』, 거름, 1999. 미소장
12 이정우, 『천 하나의 고원』, 돌베게, 2002. 미소장
13 이진경, 『노마디즘』I, II, 휴머니스트, 2002. 미소장
14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1979. 미소장
15 조동일,『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1997. 미소장
16 Greek Tragedy and the Persian war 소장
17 그리스 비극에 나타난 젠더와 아테네 제국주의 소장
18 최혜영, 「안티고네 담론」, 『서양고전학연구』 제27집, 한국서양고전학회, 2007. 미소장
19 The Medeia of Euripides and the Peloponnesian War: A Historical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20 프레데릭 찰스 코플스톤, 『그리스 로마 철학사』, 김보현 옮김, 철학과현실사, 1998. 미소장
21 헤로도토스, 『역사』, 박광순 옮김, 범우사, 2002. 미소장
22 Aristote, La Poétique, notes par Roselyne Dupont-Roc et Jean Lallot. Paris, Editions du Seuil, 1980. 미소장
23 [Introduction] 네이버 미소장
24 Aristote, Ethique de Nicomaque, Flammarion, 1992, 『니코마코스 윤리학』, 최명관 옮김, 창, 2008. 미소장
25 Barrucan, Dominique, La catharsis dans le thèâtre psychanalyse et la psychothérapie de groupe, Paris, Epi, 1970. 미소장
26 Couperie, Alain, Lire la tragédie, Paris, Dunod, 1994 미소장
27 Crahay, Roland, La religion des Grecs, Paris, Ed. Complexe, 1991. 미소장
28 Deleuze, Gilles, Logique du sens,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1982. 『의미의 논리』,이정우 옮김, 한길사, 1999. 미소장
29 Deleuze, Gilles, Foucault, Paris, Minuit, 1986. 미소장
30 Deleuze, Gilles/Guattari, Felix, L'Anti-Oedipe,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1972. 미소장
31 Deleuze, Gilles, Mille Plateaux,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1980. 미소장
32 Foucault, Michel, Surveiller et Punir, Paris, Editions Gallimard, 1975. 『감시와 처벌』,오생근 역, 나남출판, 1994. 미소장
33 Golden, Leon/Hardison, O.B. Jr,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詩學)』, 최상규 옮김, 예림기획, 2002. 미소장
34 Naugrette, Cathrine, L'esthétique tthéâtrale, Paris: Nathan-Université, 2000. 카트린 노그래트, 『프랑스 연극 미학』, 김덕희․신정아․이영석․조효석 옮김, 연극과인간, 2007. 미소장
35 Romilly, Jacqueline de, La tragédie grecque, Paris. P.U.F., 1ère éd. 1970, 2e éd. 1990, 미소장
36 Spinoza, Ethique, traduit par Bernard Pautrat, Paris, Editions du Seuil, 1999. 『에티카』, 강영계 역, 서광사, 1990. 미소장
37 Vernant, Jean-Pirerre & Vidal-Naquet, Pierre. Mythes et tragédie en Grèce ancienne. Paris, Editions la découverte, 1989. 미소장
38 Vernant, Jean-Pierre, Les origines de la pensée grecque, Paris, P.U.F., 196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