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羅獻容의 <陳玄傳>과 <楮先生傳>을 대상으로 사건구성 및 유형적 특성, 소재의 취용 양상과 寓意的 의미를 고찰하고 그 문학사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나헌용(1851∼1925)의 『蕙田集』 권5에 수록된 <中書門下同平章事 管城侯 毛君 墓誌銘>, <卽墨大夫 封石鄕侯 石君 墓碣銘>, <陳玄傳>, <楮先生傳>은 각각 붓 벼루 먹 종이 순으로 문방사우 전체를 墓誌銘, 墓碣銘, 假傳 양식 안에 담아 擬人文學의 영역을 확대해 놓은 주목되는 문학유산이다.
이들 작품은 假傳의 효시격인 한유의 <毛潁傳>은 물론, 文嵩의 <文嵩四侯傳>을 규범으로 삼고 있으면서도, 소재의 활용에 있어서 창의적으로 계승 발전시킨 면에서 문학사적 가치가 적지 않다.
이들 작품은 적절한 인용 고사와 용어 선택 및 소재의 취용에 이르기까지, 불필요한 고사성어의 남용을 절제하고 최소화하는 가운데, 이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나헌용은 儒家的 글쓰기 방식을 원용하여 儒家로서 학업과 덕행에 힘쓰고 修身과 處世에 관련된 교훈적인 勸戒 지향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심오한 함축적 의미를 내포한 寓意的인 수법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鑑戒 교훈적인 함축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우의적인 수법을 잘 활용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陳玄傳>과 <楮先生傳>의 경우, 불필요한 인용 고사를 대폭 축소하고 모두 論評部를 과감히 생략하였다. <陳玄傳>은 利他적 행위, 참 自我의 완성과 他我의 성취를, <楮先生傳>은 바탕과 본질의 조화, 자기 성찰 및 사람의 결점을 고치고 장점을 발휘하는 刮垢磨光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假傳 작품을 통해 선인들의 질박하고 꾸밈없는 삶의 자세를 발견하고, 작품 속에서 추구하는 신념과 가치관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가전문학사적 가치가 크다고 보았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老乞大'類의 종합적 검토. 1, 副詞를 중심으로 | 한재영 | pp.7-55 | ||
羅獻容의 <陳玄傳>과 <楮先生傳> 연구 | 유기옥 | pp.285-309 | ||
韓國漢字語 敎育과 語文政策 | 김경수 | pp.149-170 | ||
의암 유인석 시에 나타난 斥邪의식과 현실대응에 관한 연구 | 송기섭 | pp.201-225 | ||
김동리의「까치소리」다시 읽기 : '모성적 초자아'와 '죽음 충동'의 발현 양상을 중심으로 | 임영봉 | pp.491-514 | ||
비음동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 | 배영환 | pp.89-113 | ||
일본이라는 타자와 1960년대 한국의 주체성 : 한일회담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김성환 | pp.349-382 | ||
한국어교육에서 대화 분석 방법론의 수용 양상과 발전 가능성 | 백승주 | pp.57-88 | ||
기생「康春紅小傳」연구 | 신현규 | pp.227-250 | ||
유사 기능의 한국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아/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유해준 | pp.515-538 | ||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이메일 담화 연구 : 섬유 업종을 중심으로 | 이연정 | pp.539-561 | ||
대학에서 토론 교육의 방향 및 지도 방법 | 장영희 | pp.563-584 | ||
<잡극 심청왕후전>의 계열 추정과 개작의 의미 | 권기성 | pp.115-148 | ||
韓國 <문묘제례(文廟祭禮)>의 特殊性과 受容의 意味 | 이하나 | pp.311-347 | ||
<문장>지 특성에 대한 再考 : 상허 이태준을 중심으로 | 김효석 | pp.421-446 | ||
『님의 침묵』에 나타난 '만남'의 구현 방식 연구 | 신수진, 송승환 | pp.447-470 | ||
백두산 설화의 전승과 연행양상 : 가린-미하일로프스키의 조선 기행문을 중심으로 | 안상훈 | pp.251-284 | ||
최인호 소설의 정치성 연구 | 김진기 | pp.383-419 | ||
김우진의 산문을 통해 본 詩 인식 양상 | 염철 | pp.471-490 | ||
전통문화 교육 자료로서 웹툰의 활용에 대한 고찰 : <신과 함께>에 반영된 저승관을 중심으로 | 김정욱 | pp.171-200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