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는 정보 전달을 위한 텍스트에서 대인적 의미가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 특히 표현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텍스트로는 요리법을 소개한 인터넷 블로그를 선택하였고, 대인적 의미의 실현 장치로 활용된 문말 서법, 경어법, 심적 태도 표현, 인터페이스 등을 분석하였다.

텍스트 분석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정보 전달을 위해 글을 쓸 때에도 대인적 의미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텍스트에 사용된다. 2) 대인적 의미 실현의 장치들은 독자에 대한 필자의 역할 관계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3) 적절한 역할 관계의 설정은 정보 전달의 목적뿐만 아니라 텍스트에 부수된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끌어낼 수 있다. 1) 맥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독자에 대한 필자의 역할 관계를 설정하는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2) 설정된 역할 관계를 텍스트로 실현하는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3) 이를 위해서는 표현의 자원으로서의 문법 교육, 즉 개별적인 문법적 장치들이 어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

표현 교육 분야에서 정보 전달 텍스트의 생산과 관련해서는 주로 정확한 내용 전달이나 체계적인 내용 조직과 관련된 내용들이 주로 다루어져 왔다. 이러한 내용은 각각 정보 전달 목적 그 자체, 그리고 관념적 의미와 텍스트적 의미와 관련되기 때문에 텍스트 생산과 관련된 교육 내용의 폭을 제한한다. 표현 교육에서는 정보 전달 텍스트의 부수적 목적 및 대인적 의미와 관련된 내용을 기존 교육 내용의 보완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현정 전영옥(2005), 의사소통의 기법, 박이정. 미소장
2 The strategies of a Mainidea Analysis in Expository Txts 소장
3 Characteristic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Expository Text 소장
4 Expository Text Interface and Readers` Comprehension 소장
5 Functional Text Analysi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Focusing on Transitivity- 소장
6 박종훈(2007), 설명 화법의 언어 형식화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7 설명적인 담화의 구조와 독해 네이버 미소장
8 이삼형(1994), 설명적 텍스트의 내용 구조 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9 Forschungsstand und Aufgaben der Texttypologie 소장
10 주세형(2005),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Brown, P. & Levinson, S.(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2 Eggins, S. (199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London: Printer Publishers. 미소장
13 Halliday, M. A. K. (199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London: Edward Arnold. 미소장
14 Thompson, G. (1996), Introducing Functional Grammar, London: Arnold.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