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일반적으로 정보디자인이라고 하면 사물의 사실감을 최대한 단순화시킨 벡터기반의 그래픽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직관적 정보전달 측면의 장점대비 감성과 흥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최근 많이 시도되고 있는 사진기반의 정보디자인은 흥미와 재미를 통해 주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과도한 표현은 오히려 정보전달에 혼선을 줄 수도 있다. 정보디자인의 메시지 전달 유형 측면에서 볼 때 벡터그래픽기반 정보디자인은 주로 ‘정보형’에 해당하고 사진기반 정보디자인은 주로 ‘설득형’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이론적 개념을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비교연구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과 벡터그래픽기반 정보디자인의 비교설문을 통해 실제어느 쪽의 정보전달이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지, 어느 쪽이 주목과 흥미를 끌며 설득적인지, 아울러 인쇄지면과 설치기반 키오스크 미디어 중 어떤 쪽이 각 미디어에 적합한 표현방식인지를 실험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조사와 리서치를 통해 설문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사진에서 벡터그래픽까지 세 단계의 정보디자인 단순화 단계 사례 5종을 구성하였고, 두 번째는 각 7점 척도로 구성된 총 14종의 사진과 벡터그래픽 사례의 쌍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디자인 전공여부, 성별에 따라 총 80명의 20대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정보의 직관성에 대한 답변은 비전공 남녀는 중간 단순화 단계의 표현을, 전공 남자는 사진, 전공여자는 벡터그래픽기반을 선호하였다. 하지만 주목과 흥미를 끌며 설득적인 표현은 역시 모두 사진기반 정보시각화를 선택하였다. 매체측면에서는 인쇄지면은 전반적으로 벡터그래픽기반, 키오스크는 사진기반 선호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유형에 따른사진 및 벡터그래픽기반 시각화의 정보전달력 및 설득효과가 다름을 발견하였고, 사용자와 매체에 따른 정보시각화제작 방식의 지침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In general terms, information design is mainly composed of maximum simplification of an object in vector based graphics, but this may lead to the disadvantage of low sensitivity and level of interest.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trend towards photo based information design increases the interest and level of fun experienced by users while carrying the risk of miscommunication due to excessive expression when it comes to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s ability to convey information, vector based designs are categorized as ‘informational’ while photo based design is seen as ‘persuasion.’ However, the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these theories by way of surveys is still lacking.
Thus, this paper aims to find which of vector based and photo based information design is more intuitive and easier to understand through comparative surveys, which of the mentioned two is more persuasive and interesting, and finally which type of media -print based, or installation based kiosks- is most appropriate. Through literary investigation and research, the survey was composed in two different types.
The first is 5 examples of 3 stages of photo to vector information design simplification stages, while the second is a pairing of a total of 14 photo and vector examples that are scaled from 1-7 respectively.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design majors and non-majors, by sex, with 80 people in the 20s a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both sexes of the non-major group preferred the middle stages of simplification. Males who majored in design preferred photo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while females who majored in design preferred vector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However, in terms of the ability to draw interest and attention while also being a persuasive expression, all groups showed preference for photo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respect to media type, print-based media was seen to be most effective for vector based visuals, while kiosks are more effective for photo based visuals.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ances in message transmission as well as the persuasive effect by group when it came to photo and vector based visuals.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a new production policy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by differing media was proposed.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오병근, 강성중,『정보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 미소장 |
2 | Robert Jacobson,『Information Design』, The MIT Press, 1999 | 미소장 |
3 | 정보의 시각화 도구로써의 포토 인포그래픽의 유형과 특성 연구 | 소장 |
4 | 박미영,「정보디자인에서 메시지 유형이 정보전달 단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1 | 미소장 |
5 | 박소담,「정보그래픽 비주얼 표현 요소에 따라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2011 | 미소장 |
6 | http://www.thefunctionalart.com/2014/03/hans-rosling-and-jose-duarte.html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