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일반적으로 정보디자인이라고 하면 사물의 사실감을 최대한 단순화시킨 벡터기반의 그래픽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직관적 정보전달 측면의 장점대비 감성과 흥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최근 많이 시도되고 있는 사진기반의 정보디자인은 흥미와 재미를 통해 주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과도한 표현은 오히려 정보전달에 혼선을 줄 수도 있다. 정보디자인의 메시지 전달 유형 측면에서 볼 때 벡터그래픽기반 정보디자인은 주로 ‘정보형’에 해당하고 사진기반 정보디자인은 주로 ‘설득형’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이론적 개념을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비교연구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과 벡터그래픽기반 정보디자인의 비교설문을 통해 실제어느 쪽의 정보전달이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지, 어느 쪽이 주목과 흥미를 끌며 설득적인지, 아울러 인쇄지면과 설치기반 키오스크 미디어 중 어떤 쪽이 각 미디어에 적합한 표현방식인지를 실험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조사와 리서치를 통해 설문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사진에서 벡터그래픽까지 세 단계의 정보디자인 단순화 단계 사례 5종을 구성하였고, 두 번째는 각 7점 척도로 구성된 총 14종의 사진과 벡터그래픽 사례의 쌍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디자인 전공여부, 성별에 따라 총 80명의 20대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정보의 직관성에 대한 답변은 비전공 남녀는 중간 단순화 단계의 표현을, 전공 남자는 사진, 전공여자는 벡터그래픽기반을 선호하였다. 하지만 주목과 흥미를 끌며 설득적인 표현은 역시 모두 사진기반 정보시각화를 선택하였다. 매체측면에서는 인쇄지면은 전반적으로 벡터그래픽기반, 키오스크는 사진기반 선호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유형에 따른사진 및 벡터그래픽기반 시각화의 정보전달력 및 설득효과가 다름을 발견하였고, 사용자와 매체에 따른 정보시각화제작 방식의 지침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In general terms, information design is mainly composed of maximum simplification of an object in vector based graphics, but this may lead to the disadvantage of low sensitivity and level of interest.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trend towards photo based information design increases the interest and level of fun experienced by users while carrying the risk of miscommunication due to excessive expression when it comes to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s ability to convey information, vector based designs are categorized as ‘informational’ while photo based design is seen as ‘persuasion.’ However, the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these theories by way of surveys is still lacking.

Thus, this paper aims to find which of vector based and photo based information design is more intuitive and easier to understand through comparative surveys, which of the mentioned two is more persuasive and interesting, and finally which type of media -print based, or installation based kiosks- is most appropriate. Through literary investigation and research, the survey was composed in two different types.

The first is 5 examples of 3 stages of photo to vector information design simplification stages, while the second is a pairing of a total of 14 photo and vector examples that are scaled from 1-7 respectively.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design majors and non-majors, by sex, with 80 people in the 20s a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both sexes of the non-major group preferred the middle stages of simplification. Males who majored in design preferred photo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while females who majored in design preferred vector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However, in terms of the ability to draw interest and attention while also being a persuasive expression, all groups showed preference for photo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respect to media type, print-based media was seen to be most effective for vector based visuals, while kiosks are more effective for photo based visuals.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ances in message transmission as well as the persuasive effect by group when it came to photo and vector based visuals.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a new production policy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by differing media was propo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루이비통(Louis Vuitton)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디자인에 나타난 모노그램의 조형 특성 강병석, 최무석 pp.1-11

공동체 미술의 교육적 역할 : 폴 챈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중심으로 고윤정 pp.13-23

정량적 정보디자인에 있어서 사진과 벡터그래픽기반 정보 시각화 방식에 대한 사용자 유형별 설득효과 김건동, 윤주현 pp.25-37

디자이너에게 최적화된 디자인조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모바일폰 개발 제품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김성현, 박해림 pp.39-54

웨이파인딩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정서적 요인 연구 김신혜 pp.55-70

화장품 웹사이트 접근성과 만족도 제고를 위한 웹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인에 대한 전략 김영석 pp.71-86

한국 대표 관광호텔 체인 베니키아(BENIKEA) 디자인의 한국 전통성 표현 연구 김정아 pp.87-98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파크(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탐방요인이 방문객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 김주연 pp.99-112

쿠마 겐고의 공간에 나타나는 맥락적 표현 특성 연구 김태영, 원유진, 이찬 pp.113-128

1960·70년대 행위예술가들의 육체학대행위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적 마조히즘 김행지 pp.129-149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다양화를 위한 소재 연구 : 자동차 시트 원단 중심으로 민지혜, 정경연 pp.151-161

시각적 주의와 기억에 나타난 백화점 로비공간의 주시 특성 박선명, 김종하 pp.163-176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색채감성형용사 연구 박연선, 문은배, 이지영 pp.177-188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한 거주자지향케어 체크리스트 성윤정, 안지영, 김석태 pp.189-204

디자인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변천 과정 연구 : ①산업 혁명, ②디지털 제품 등장, ③복잡한 환경 요소를 중심으로 송유미, 유현정 pp.205-221

하워드 코틀러(Howard Kottler)의 포스트모던 도예에 관한 연구, 1970~1988 송준규 pp.223-238

기초디자인교육을 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 중학교 기초조형교육을 중심으로 신실라, 최정아 pp.239-252

사용자의 지속적 참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신혜정, 김혜연 pp.253-268

1920-30년대 할리우드 영화미술의 아르데코스타일이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미친 영향 연구 심형근 pp.269-280

친환경 유기농 식품브랜드의 만족도가 구매와 지속적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 및 만족요인 양초산 pp.281-295

발광캐릭터를 적용한 교통안전용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자전거 사용자의 재킷 디자인을 중심으로 여훈구 pp.297-309

공간디자인 연출 요소로의 뉴미디어 아트에 관한 연구 우영희 pp.311-321

국내 섬유, 텍스타일디자인 관련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유현아 pp.323-335

도시 및 지역디자인의 새로운 디자인 질료 연구 : 충주시의 '용'관련 지명과 전설을 중심으로 윤성원, 이광호 pp.337-349

옷의 형상을 활용한 존재론적 표현과 감각적 표현의 비교고찰 윤순란 pp.351-362

안경의 시대적 가치 확장과 디자인의 신 경향성 연구 이길순 pp.363-376

제품 디자인에서 상징으로서 움직임 : 커뮤니케이션 작용 체계를 중심으로 이성호 pp.377-389

중국 100대 기업의 심볼마크 선호색에 관한 상징적 의미 분석 이진우, 원유홍 pp.391-403

도시 공간의 재활성화를 위한 유심적 가치의 적용에 관한 연구 임민택, 유진형 pp.405-419

사용자중심의 한국형어선 제작프로세스 및 어선개발 연구 장석정, 조정형 pp.421-433

오정색과 십간색에 관한 연구 : 백색(白色)·홍색(紅色)·규색(硅色)·벽색(碧色)을 중심으로 정성환 pp.435-443

지속 가능한 소재로서의 가죽 활용 사례연구 조영주, 정지숙 pp.445-457

농촌 경쟁력 향상 및 사용자 편리성을 고려한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개발 진혜련, 조록환 pp.459-469

민중미술의 반(反)도시적 귀향의식과 향토문학 채효영 pp.471-482

인테리어 색채 인지 영역의 차이에 관한 실증적 실험 연구 최미영, 박태욱 pp.483-494

패전 후 일본 전쟁기록화 처리와 미술가의 행보 : 일제 강점기와 패전 후 야마다 신이치(山田新一: 1899-1991)의 조선에서의 활동 최태만 pp.495-507

건축영상 제작 연구 : 강문화관 디아크를 위한 써클영상 <생명의 순환>을 중심으로 하준수 pp.509-526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의 조형 재료적 접근 한은주, 윤성환 pp.527-537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미디어 채널 선호특성을 위한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과 영국 대학의 다문화 유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장선 pp.539-557

현대도예의 물성표현에 관한 연구 홍지수 pp.559-573

거북과 육면체 구조를 형상화 한 커프스링크 디자인 연구 황진경 pp.575-585

참고문헌 (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오병근, 강성중,『정보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미소장
2 Robert Jacobson,『Information Design』, The MIT Press, 1999 미소장
3 정보의 시각화 도구로써의 포토 인포그래픽의 유형과 특성 연구 소장
4 박미영,「정보디자인에서 메시지 유형이 정보전달 단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1 미소장
5 박소담,「정보그래픽 비주얼 표현 요소에 따라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2011 미소장
6 http://www.thefunctionalart.com/2014/03/hans-rosling-and-jose-duarte.html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