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문예창작학과에서의 비평교육의 현재를 검토하고 더 나은 방향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문예창작학과에서의 비평교육은 대체로 창작교육을 위해 보조적인 역할로 운영되고 있으며 문학비평문을 위주로 한 실제 비평문 읽기와 쓰기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비평적 안목이 본질적으로 창작과 관련되었다는 점에서 비평교육은 단순히 ‘문학비평’ 교육에서뿐 아니라, 현재 교과목 구성에서 보이는 ‘허구성’에 기초한 문학 개념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평교육은 문학비평이론보다는 ‘비평이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비평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 비평이론의 문제틀을 중심으로 삶과 직결되는 이야기를 통해 창작자의 사유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둘째, 비평교육은 전문적인 비평문 쓰기보다는 ‘비평적 에세이’ 쓰기로 나아가야 한다. ‘비평적 에세이’는 정형성에서 벗어나 창작가가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적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맥락을 주체적으로 구성하여 인식하는 ‘구성적 읽기’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을 이해하고 ‘주체’를 강화해나갈 수 있다. 셋째, 비평교육은 문학비평 뿐 아니라 다양한 에세이와 논픽션을 포함시켜야 한다. ‘평전, 자서전, 르포, 여행서, 대중문화 에세이, 처세술’ 등이 그 예이다. 이와 관련하여 문예창작학과가 ‘문예창작물’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와 무분별하게 접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창과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문자 예술’로서의 결과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허구성과 심미성’에 제약된 현재적 문학개념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국내 대학의 교과목 구성이 대체로 ‘시, 소설, 드라마/콘텐츠, 비평’으로 구분되어 있다면, 외국대학은 시, 소설, 논픽션의 분류가 많고 자서전, 평전, 르포, 대중문화 에세이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예창작학과’라는 분과 이름 또한 ‘문학’ 개념과 함께 재고될 필요가 있다. ‘허구적이며 예술적인 글’은 근대 이전의 ‘문학’이 품었던 ‘반(反) 정보로서의 글’이라는 큰 범주를 회복해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문예창작’보다는 ‘창의적 글쓰기’에 가까워져야 한다.

This paper reviewed the current of critic education i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nd has suggested some ways to a better direction. Current critic education in Creative Writing Department has generally been operating as a secondary role for creative education and consists mainly reading and writing critic works. However, critical education have to transgress the 'literary criticism' education and literature, based on the concept of 'fictional'. Specific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al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utilizing 'critical education' and 'critical theory' rather than literary critical theory. The agenda of critical theory can expand their thinking through the stories related life. Second, the critical education must orient to Critical Essays rather than the professional Critical Essays. It is similar to essay more personal, liberal and informal. Third, critical education should include non-fiction essays and literary criticism as well. 'The biography, reportage, travel notes, pop culture essays, the art of living' are an example. In this regar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that combines 'digital content', it is not desirable. In order to maintain the identity of 'Munyechangjak', it is necessary to limit as a result at least as a character art. We have to rethink literary concepts that restricted in fictional and aesthetics. In addition, the nam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lso needs to be reconsidered. We must restore the concept of pre-modern' literature that meaning anti- inform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석규 시의 고향상실의식 연구 정원숙 pp.9-34

「술 이야기」에 나타난 노동운동 양상 연구 : 해방직후 노동자 공장관리를 중심으로 신덕룡 pp.35-52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죽음 표상 연구 김지혜 pp.53-78

판타지 장르서사의 가치와 창작방법론 연구 최수웅 pp.79-102

문예창작학과에서의 비평교육에 대한 성찰과 전망 : '문학'과 '비평'의 갱신을 위하여 정은경 pp.103-134

비평적 에세이 쓰기를 통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연구 양현진 pp.135-169

스타니슬랍스키의 'Magic if'를 활용한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 안숙현 pp.171-197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시창작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소장
2 현대문학교육의 목표와 방법의 문제 소장
3 김미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 연구 ,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4 A study on the literary criticism education’s practical method in the cultural studies 소장
5 The Structural Topography and Disputed Points in Educational Theory of Creative Writing - With a focus on educational theories of writing novels 소장
6 도정일, 「고슴도치와 여우, 그리고 두더지-비평적 문학교육의 필요성」,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 민음사, 1995. 미소장
7 선주원, 「비평적 시 읽기와 비평적 에세이 쓰기」, 현대문학의 연구 제21집, 한국문예연구학회, 2003. 미소장
8 우문영, 비평교육론 , 한국문화사, 2011, 7쪽. 미소장
9 Position and Role of Criticism in Education of Poetry 소장
10 Introspection and Prospect about Education for Poetry Creation 소장
11 시창작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소장
12 Classical literature it reads the literature creation education which leads - With fusion of horizon criticism it reads in the center 소장
13 Why should criticism education be 'critical education' 소장
14 사사키 아타루, 송태욱 옮김,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 자음과 모음, 20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