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독일 연방정부가 유기농산물의 공급 - 수요의 균형과 지속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2010년 확정한 연방유기농업계획안(Bundesprogram Okolandau)을 다듬었고, 이 계획안에서는 유기농의 훈련, 교육, 정보 제공 등을 중시하고 있다. 독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유기농업 지원정책에서 가장 특이한 것이1)유기농쎈터의 설치 운영과 2)유기농 시범농장 설치 운영이다. 유기농시범농장은 현장을 방문한 농업인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농장주와의 질의응답/토론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해 가도록 함으로서 보다 확실한 기술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독일이 유기농의 최선진국으로 부상하게 된 이유의 하나가 바로 유기농 시범농장의 운영을 통해 가장 빠르게 최신 기술들을 유기농 영농 현장에 전파시켜 나갔기 때문이다. 또한 시범농장은 소비자들과 청소년들에게 유기농업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소비자에게신뢰감를 심어주어 왔었기 때문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아직도 경험적인 유기농업 기술이 영농현장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독일과 같은 시범농장 시스템의설치 운영이 절실히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유기농 시범농장이 광역지자체별로 거미줄처럼 세워져 나가고 새로이 자연과학적으로 개발되고 검증된 신기술이 영농현장에 보급될 수있도록 노력함과 동시에 소비자 교육을 위한 유기농 영농 현장에서의 교육이 이루어 졌으면 한다. 이를 위해 유기농 시범농장에 대한 기여 인센티브 제공, 시범농장주에 대한 사전 유기농교육 등이 제공된다면 한국 유기농 발전을 위해 더없는기여를 할 것이라고 평가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German organic demonstration farm which has contributed to transfer the technical skills & knowledges of organic agriculture to the organic farmers and to show consumers the new environmental informations and values on organic farming. It is well known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why German organic agriculture reached the top class position in organic agriculture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and successful management of demonstration farm in Germany. Recently German government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and Consumer Protection) established 200 pilot farms national-wide to demonstrate farmers the new techniques of organic farming. In this paper, it is dealing with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German organic demonstration farm and how they try to transfer new developed techniques to organic farm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SWOT 분석을 이용한 네팔 극서부 지역의 농촌개발전략 = International Rural Development Strategy using SWOT Analysis for Far-Western Region of Nepal 최종산 pp.121-131
독일 유기농 시범농장의 조직과 운영 손상목 pp.132-137
한국 농업경영주 고령화에 따른 영농형태별 고용인력 수요분석 신황호, 조규대, 우수곤 pp.138-148
Korean Agricultural Workforce Problems and Alternative Measures 마상진, 남승희 pp.149-157
캄보디아 육성 주요 벼 품종의 종실 및 이화학적 특성 이윤호, 우단비, 방진기, 하운구, 박병용 pp.158-161
한국, 터키 및 루마니아에서 국내육성 벼품종의 출수기 및 수량 변이 이기환 pp.162-167
열대지역 적응 자포니카 품종의 수발아 특성 이정희, 안억근, 하운구, 정응기, 원용재, 전용희, 이상복, 정국현, 장재기, 이점호 pp.168-171
Taste Sensing System을 이용한 밥맛 측정 곽지은, 이점식, 윤미라, 천아름, 이춘기, 김욱한 pp.172-175
부분경운 콩 파종기 개발 및 파종특성 분석 강태경, 최용, 최일수, 전현종, 이충근, 김건엽, 이정태 pp.176-181
밥밑용 검정콩의 식미와 이화학 특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서민정, 김정태, 우관식, 김미정 pp.182-187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Maize Landrace Lines of Angola Using SSR Markers Adriano Muiocoto André, 김학범, 이승범, 서석철, 지현소 pp.188-196
유채 종간잡종 F1과 F2 집단의 종자크기 및 지방산 조성 변화 이영화, 이태성, 김광수, 서태철, 장영석, 이경보 pp.197-203
파종시기가 코끼리마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윤철구, 김인재, 김기현, 안기수, 정재현, 이상영 pp.204-208
고추 논 비가림재배시 피복재료가 생육, 수량 및 탈수소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광재, 김시동, 김현환, 이기열, 허정욱, 윤정범, 김동억 pp.209-215
전정방법에 따른 '홍이슬' 포도나무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병삼, 조경철, 마경철, 윤봉기, 정석규, 이경아, 최현석 pp.216-220
고온기 차광조건이 '자랑' 및 '흑보석' 포도의 광합성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석호, 송명규, 최원호, 이윤상, 홍성택, 정성민, 노정호, 남종철 pp.221-225
스프링클러 관개시 토양검정시비량에 의한 관비재배가 대추 유목의 생육과 토양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경자, 강보구, 김기식 pp.226-230
의료용 단백질 생산을 위한 바이러스 운반체 시스템 김순희, 강한철, 노경희, 김현욱, 이경렬, 김원용, 박종화, 정인식, 김종범 pp.231-240
초위성체 다형성을 이용한 제주재래돼지 및 외래 돼지품종간의 유전적 특징 및 유연관계 분석 서상원, 조창연, 변미정, 김영신, 최성복, 조인철, 배경훈, 김재환 pp.241-246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for Supporting U-turn Farmers' Rural Settlement 소장
2 박계수, 황선애. 2006. 오해와 오류의 환경신화 (디르크 막사이너원저), 랜덤하우스코리아, p. 572. 미소장
3 유럽 주요국의 농업인 교육·훈련사업의 동향과 시사점 소장
4 손상목. 2007. 유기농업: 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 향문사. p. 256-292. 미소장
5 손상목. 2011. 외국의 유기농업 기술지도 현황 분석 및 모델 제시.농촌진흥청, 최종연구보고서. p. 84. 미소장
6 Aktion Regenwurm 2013. Ich zeig Dir meinen Boden. Pages 11. 미소장
7 Hermann, B. 2007. REPRO-Experiences and advantages in practical consulting service of the competence centre of organic agriculture (CCOA) Rheinland-Pfalz. ISOFAR conference proceedings. pp. 255-259. 미소장
8 Hermann, B. 2013. personal communication 미소장
9 Kuecke, M. 2014. personal communication 미소장
10 Koepke, U. 2014. personal communication 미소장
11 Obbach 유기농 시범농장 홈페이지 http://www.oekolandbau.de/ error404.php - 2014.11.12. 미소장
12 Standards, Certification, Advisory Service and Education of Organic Agriculture in Germany 네이버 미소장
13 Sohn, S.M. 2011. The present state of structure and management on organic agriculture extension service in UK.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3(3): 247-25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