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독일 연방정부가 유기농산물의 공급 - 수요의 균형과 지속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2010년 확정한 연방유기농업계획안(Bundesprogram Okolandau)을 다듬었고, 이 계획안에서는 유기농의 훈련, 교육, 정보 제공 등을 중시하고 있다. 독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유기농업 지원정책에서 가장 특이한 것이1)유기농쎈터의 설치 운영과 2)유기농 시범농장 설치 운영이다. 유기농시범농장은 현장을 방문한 농업인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농장주와의 질의응답/토론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해 가도록 함으로서 보다 확실한 기술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독일이 유기농의 최선진국으로 부상하게 된 이유의 하나가 바로 유기농 시범농장의 운영을 통해 가장 빠르게 최신 기술들을 유기농 영농 현장에 전파시켜 나갔기 때문이다. 또한 시범농장은 소비자들과 청소년들에게 유기농업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소비자에게신뢰감를 심어주어 왔었기 때문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아직도 경험적인 유기농업 기술이 영농현장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독일과 같은 시범농장 시스템의설치 운영이 절실히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유기농 시범농장이 광역지자체별로 거미줄처럼 세워져 나가고 새로이 자연과학적으로 개발되고 검증된 신기술이 영농현장에 보급될 수있도록 노력함과 동시에 소비자 교육을 위한 유기농 영농 현장에서의 교육이 이루어 졌으면 한다. 이를 위해 유기농 시범농장에 대한 기여 인센티브 제공, 시범농장주에 대한 사전 유기농교육 등이 제공된다면 한국 유기농 발전을 위해 더없는기여를 할 것이라고 평가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for Supporting U-turn Farmers' Rural Settlement | 소장 |
2 | 박계수, 황선애. 2006. 오해와 오류의 환경신화 (디르크 막사이너원저), 랜덤하우스코리아, p. 572. | 미소장 |
3 | 유럽 주요국의 농업인 교육·훈련사업의 동향과 시사점 | 소장 |
4 | 손상목. 2007. 유기농업: 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 향문사. p. 256-292. | 미소장 |
5 | 손상목. 2011. 외국의 유기농업 기술지도 현황 분석 및 모델 제시.농촌진흥청, 최종연구보고서. p. 84. | 미소장 |
6 | Aktion Regenwurm 2013. Ich zeig Dir meinen Boden. Pages 11. | 미소장 |
7 | Hermann, B. 2007. REPRO-Experiences and advantages in practical consulting service of the competence centre of organic agriculture (CCOA) Rheinland-Pfalz. ISOFAR conference proceedings. pp. 255-259. | 미소장 |
8 | Hermann, B. 2013. personal communication | 미소장 |
9 | Kuecke, M. 2014. personal communication | 미소장 |
10 | Koepke, U. 2014. personal communication | 미소장 |
11 | Obbach 유기농 시범농장 홈페이지 http://www.oekolandbau.de/ error404.php - 2014.11.12. | 미소장 |
12 | Standards, Certification, Advisory Service and Education of Organic Agriculture in Germany ![]() |
미소장 |
13 | Sohn, S.M. 2011. The present state of structure and management on organic agriculture extension service in UK.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3(3): 247-25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