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아이콘은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시각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아이콘 디자인은 사용자의 관점보다는 디자이너의 선호표현방식을 따르는 경향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의 OS아이콘을 대상으로 디자인 전공여부와 남녀 성별에 따라 아이콘 단순화 단계의 선호 시각화 방법이 일치하는지 알아보고, 스마트폰 OS 아이콘 제작의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아이콘의 의미 및 표현의 단순화에 대한 실험조사 연구로 파일럿테스트와 실험조사 연구의 두 단계로 구성된다. 사전 파일럿 테스트에서 조사 대상자에게 '계산기' 등 아이콘을 직접 그리게 실시하여 다양한 표현의 유형을 알아보았다. 문헌과 파일럿테스트의 유저 드로잉을 참조하여 10종의 OS 아이콘에 대한 의미적, 표현적 단순화 단계 사례를 리서치 후 정리하였다. 각 사례는 사실적 스큐어몰피즘과 단순화된 미니멀리즘의 쌍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으며 설문은 스마트폰의 사용충성도가 높은 20대를 대상으로 디자인 전공여부, 성별에 따라 총 8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발견 점은 대상자들이 사실감 있는 스큐어몰피즘적 표현이 의미의 이해를 돕는다고 사고하고 있었으며, 디자인표현 측면에서는 미니멀한 표현 형태를 전반적으로 선호하였다. 디자인 전공여부 측면에서는 비전공자가 전공자보다 스큐어몰피즘 아이콘을 더 선호하지만 의미의 이해 측면에서는 전공자도 스큐어몰피즘 아이콘을 선호하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스큐어몰피즘 아이콘을 더 선호하였고 비전공남, 비전공여, 전공남, 전공여의 순으로 스큐어몰피즘에서 미니멀리즘으로 선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그룹에 따른 단순화 선호도가 다름을 발견하였고, 그 선호도를 기반으로 향 후 스마트폰 OS아이콘의 의미와 표현 측면의 아이콘 단순화 단계 제작 지침을 제안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Despite icons being important visual aids that attract the attention of users, the recent trend has shown that icon design leans more towards a designer’s preferred way of expression rather than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The aim of the paper is to look into whether the visualization methods match the level of preference with respect to users’ sex and field of study, specifically design, and ultimately proposing guidelines for actual production of Smartphone OS icons.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wo parts, with pilot tests on the meaning and simplification of expression as one part, and experimentation research as the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rectly draw up icons for items such as ‘calculators’ in preliminary pilot tests to study the various types of expression methods. By referencing previous literary works and preliminary tests, the meanings and stages of simplification of expression for past examples of 10 types of OS icons were researched and prepared. Each example was paired in real skeuomorphism and simplified minimalism, while people in their 20s who were heavy users of Smartphones were surveyed, categorized into those who majored in design and the two sexes. The survey results showed test subjects viewed expressions reflecting realistic skeuomorphism help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behind icons, while design wise, they generally preferred minimalist expressions. In survey results from those who majored in design and those who did not, non-majors showed preference for skeuomorphism icons, while design majors also preferred skeuomorphism icons when speaking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When looking at how the different sexes looked at the icons, more male participants preferred skeuomorphism icons than female participants. Also, in the order of non-major males, non-major females, design major males, design major females, tended to prefer skeuomorphism, with design major females showing the lowest level of preference for skeuomorphism. By conducting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level of simplification of icons by group. The aim of this paper lies in proposing of a new production protocol in icon simplification stages for Smartphone OS icons based on the preference levels foun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자인융합기반을 통한 중소기업혁신 플랫폼전략 연구 : 개방형 가치창출 플랫폼과「k-design119hot-line」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강필현 pp.15-29

조선 산업에 있어서 디자인과 Co-work Process개발에 관한 연구 곽동윤, 유상욱 pp.31-42

사용자유형에 따른 스마트폰 OS 아이콘의 의미와 표현 측면의 단순화 선호도 김건동, 윤주현 pp.43-56

상징적 에로티시즘 관점의 디자인 조형 비교 : 토우와 현대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김병수 pp.71-82

디자인 사고를 통한 적정 기술의 가치 향상에 관한 연구 김선아 pp.83-96

공공서비스디자인 측면의 문화탐방로 웨이파인딩에 관한 연구 김성주, 이돈일 pp.97-107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김중희, 김국선, 이정민 pp.145-160

도시 관문 안내 사인 디자인 개선 연구 : 부산 노포동 버스 터미널을 중심으로 김지수, 홍동식 pp.161-175

국내 영화포스터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발상과 시각적 표현연구 : 1990년대 이후 영화 포스터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지원 pp.177-192

거리 노숙인을 위한 휴대용 잠자리 셸터에 대한 연구 : 한국적 기후 특성을 적용한 연구를 중심으로 김경환 pp.57-70

해외 친환경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연주 pp.1-13

컬러유니버설 측면에서의 LCD TV와 OLED TV의 색채재현 비교 연구 김하나, 박연선 pp.193-204

샤갈 회화의 문화적 모더니티에 관한 연구 김인숙 pp.109-120

과학발견과 지식시각화 연구 : '신감응력'과 '감각질' 개념에 기반을 둔 과학-예술 혼성 관점에서 김정한 pp.121-129

감성적인 픽토그램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숙, 김현석, 장동련 pp.205-214

시각적 주의집중에 나타난 백화점 로비공간의 주시특성 김종하 pp.131-144

앱 마켓 조사를 통한 스마트홈 앱의 현황 및 문제점 문준식, 양완석 pp.215-223

상징성을 이용한 '소릿길' 사인 시스템 디자인 개발 박채림, 이상진 pp.225-238

인테리어 색채 계획을 위한 색채 제시방법이 색채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태욱, 최미영, 주경임 pp.239-250

기능성 소재를 활용한 레저스포츠 웨어의 프로토타입 개발 : 무기세라믹 혼입을 통한 Sheath-Core구조 광발열 소재를 중심으로 박혜숙, 이재영 pp.251-262

수사학 '알레고리'를 통한 21세기 도자미술의 시각언어 연구 방창현, 김승욱 pp.263-278

2009년 개정 초등 3-4학년 7종 미술교과서 참고작품 적합성 사례분석 백중열 pp.295-315

현대 미술에서 수집과 분류법 활용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Artistic Application of Collecting and Cataloguing in Contemporary Art : with a focus on Mark Dion's Work : 마크 디온의 작업을 중심으로 송민정 pp.317-331

인터렉티브 매체의 놀이적 속성 연구 송유미, 유현정 pp.333-346
공간디자인의 창의적 조형을 위한 컨셉모델 활용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안소미 pp.347-360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로고디자인과 미디어 변화에 따른 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엄윤경, 김수정 pp.361-379

포스트모더니즘 수사학 '환유'를 통한 도자미술의 시각언어 연구 방창현, 이헌국 pp.279-293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해골이미지 연구 유연재, 최정화 pp.381-397

곤충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 비오톱지도(Biotope Map) 제작과 녹지공간디자인 연구 : 충주시를 중심으로 윤명한 pp.413-427

칸딘스키의 추상화를 이해하는 퍼지 전문가 시스템 연구 : 언어 변수와 퍼지 집합을 중심으로 이은미, 이강희 pp.441-450
현대 패션에 나타난 페티시 슈즈디자인의 특성 :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이재영, 강병석 pp.451-463

색채를 활용한 네일아트 연구 : 현대미술사조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시은, 정연자 pp.489-501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패션명품브랜드에 대한 위험지각과 태도, 구매행동 연구 : 서울과 광역시 6개 지역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재훈, 황선정, 김일 pp.503-516

모니터 구매 촉진을 위한 감성적 조형디자인 방향성 도출에 관한 연구 조성주, 나건 pp.531-543

중국 여성 소비자의 패션의식과 패션소비성향 및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평가 최미영 pp.557-570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지원 현황분석 및 지원사업 프로세스 개발 연구 진혜련, 조록환 pp.545-555

한글 옛 글자꼴의 발굴과 개발에 관한 연구 : 17~18세기 옛 문헌 글자꼴의 조형성과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2 유정숙 pp.399-411

정보 네트워크 시대에 제품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 디지털 직접 제조를 활용한 B to C to B 디자인 중심으로 이용주, 이광호 pp.429-439

특성화 고등학교 제품디자인교과의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이미지맵 활용 디자인 교육 중심으로 이지숙, 이길순 pp.465-474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 방법론으로서의 리인카네이션 개념 고찰 전유미 pp.475-488

플로러닝을 활용한 생태미술 프로그램 연구 : '초록메세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성숙 pp.517-530

패션 마스크에 나타난 캐릭터 이미지의 유형과 활용의미 최정화 pp.571-582

글로벌 특허전쟁시대의 특허 디자인 융복합 전략 연구 : 국가 지식재산(IP)정책을 중심으로 한소영 pp.583-593

특허 디자인 융복합을 통한 미래기술시각화 한소영 pp.595-604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건동, 윤주현,「사용자의 디자인 교육 여부에 따른 아이콘의 정보표현 단순화 유형별 선호도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봄학술대회, 2014 미소장
2 김성훈,「형태재인 관점에서의 아이콘의 특징적 분류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미소장
3 Kevin Mullet (황지연 옮김),『비주얼 인터페이스 디자인』, 안그라픽스, 2001 미소장
4 Malamed,Connie,『Visual Language for Designers: Principles for Creating Graphics that People Understand., Rockport Publishers』, 2011 미소장
5 Robert. J. Stemberg, 「인지심리학」, 박학사, 2005 미소장
6 Colborne, Giles,『 Simple and usable』, New Riders, 2010 미소장
7 http://webdevs.co/skeuomorphism-vs-flat-design/ 미소장
8 http://www.appleblog.co.kr/ios-7-미니멀의-실패/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