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제주 해군기지 갈등 프레임 분석 / 전상환, 김수강, 박경호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한국보훈학회, 2015.06.30
수록지명
한국보훈논총. 제14권 제2호 통권 제35호 (2015. 6), pp.71-101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5167377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갈등 원인을 프레임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마스터프레임,현안 및 맥락 프레임 유형들이 충돌과정의 프레이밍,그리고 프레임된 인식의 틀에서 리프레임 하기 위한 과정의 리프레이밍관점에서 분석하였다.이 같은 갈등프레임 방법론 적용은 그 동안의 갈등 및 협상에관한 연구에서 수많은 갈등 해결기제,방법 등이 제시되었으나,실제 현장에서는 그실효성에 한계를 보여 왔기 때문이다.또한 지나치게 미시적 차원에만 한정된 기존연구의 한계보완 차원에서도 갈등상황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중핵적 또는 거시적 접근방법이 필요했기 때문이다.분석 결과,첫째,정책옹호연합은 갈등프레임 자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둘째,프레임된 이후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조적인 대안으로보이는 민군복합항으로의 전환에서 친화적인 공론의 장을 형성하지 못하였다.셋째, 유치 찬성에서 유치 반대로 전환되어 재충돌하는 난치성의 경우,리프레임을 위한 갈등 해결기제의 상호작용 교감 노력이 필요했다.넷째,법적 판결로 건설은 시작되었지만,프레임된 후 마음(생각)의 상처(트라우마)를 치유하는 프레임을 시행하지 못하였다.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갈등 현장에서의 프레임 이론의 적용 가능성과 그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보기

참고문헌 (8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내원..2002.“지역사회 논쟁,집단프레임,그리고 뉴스매체:매디슨 지역의 학교짝짓기 정책에 관한 사례연구.”『한국언론학회봄철 학술 대회』,490-519. 미소장
2 경향신문.2011-2015.6.‘제주해군기지’언어 분석 필터링.(6월 28일). 미소장
3 경향신문.2012.제주 해군기지 논란 속에 또 도지는 색깔론,(3월 10일). 미소장
4 대한민국만의 제주해군기지가 가능한가? 소장
5 권오국.2012.“[시사초점]제주해군기지를 둘러싼 논란들.”,『통일한구』,40-41 미소장
6 제주해군기지의 국가전략적 가치와 역할 네이버 미소장
7 제주해군기지(민·군 복합형 관광미항) 추진 개요 소장
8 "반평화적·반민주적·반생태적 제주 해군기지 건설사업을 저지하여 제주와 강정마을의 평화와 인권 그리고 공동체를 지켜내자!" 소장
9 국가안전보장과 주민의 참여 : 군사시설의 조성·운영을 중심으로 소장
10 국토연구원.2011.『제주도 지역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 보고서』.제주특별자치도. 미소장
11 네이버.(2012).“군비경쟁이 한국의 낙원을 어떻게 위협하고 있나?”(2015년.3월 25일) 미소장
12 노준현·구영완·김승년.2008.“제주 해군기지 건설 및 운용이 제주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한국경제연구』21,105-131. 미소장
13 동아일보.2011-2015.6.‘제주해군기지’언어 분석 필터링.(6월 28일). 미소장
14 The Case Study on IPTV Policy Processes: Focusing on Changes in Belief Systems of Advocacy Coalitions 소장
15 정책옹호연합(ACF)모형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네이버 미소장
16 반대대책위(2012),‘세계 평화의 섬’제주에 무슨 일이.『진보평론』34,150-155. 미소장
17 서준경.2008.“정책딜레마의 사회적 구성:프레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보』17(2),119-148. 미소장
18 세계일보 2012.공지영 “시민패고…….너희들 해적 맞다.”(3월 12일). 미소장
19 The Effects of Conflict Frames on Conflict Management Preferences: Focusing on Nuclear Policy 소장
20 심준섭·김지수.2010a.“갈등 연구에서 프레임 분석의 적용가능성.”『국방정책연구』25(3),29-64. 미소장
21 심준섭·김지수.2010b.“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한국행정학보』45(4),173-202. 미소장
22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지역주민과 공무원의 갈등 프레임 비교분석 소장
23 지역사회내 주둔미군과의 공존을 위한 포용적 지역거버넌스 체제 네이버 미소장
24 오하타히로시.2006.“인천국제공항과 ‘세계화ㆍ환경ㆍ지역주의’의 마스터프레임.”『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한일공동연구총서 10,83-118. 미소장
25 윤연.2012.“제주 해군기지 건설과 국가안보.”『해병대전략연구소』, 28-43. 미소장
26 윤용택.2011.“강정마을에 드리운 무기의 그늘.”새얼문화재단,황해문화 『생명평화마을』,272-2. 미소장
27 윤용택.2012.“제주해군기지 틈으로 본 우리시대의 생명평화.”『진보평론』52,87-96. 미소장
28 Military Bases Siting Conflict Analysis: Study of Contrasting Cases Through Discourse Analysis 소장
29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와 그 치유적 활용 근거 소장
30 이원영.2008.“정책주창집단 간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하남시 광역장사시설 유치 협상과정을 중심으로.”경원대 박사학위논문,1-211. 미소장
31 이종열·최미옥·박광욱.2008.“사회저항운동의 프레임 분석:미국산 쇠고기 수입협상 사례를 중심으로.”『한국지방정부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3,197-218. 미소장
32 프레임,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소장
33 기독여성 관점에서 본 제주 해군기지건설, 그 문제점과 신앙적 실천과제 소장
34 임호찬.2005.“좌뇌 우뇌의 기능적 역할.”『한국정신과학학회』23,9-38. 미소장
35 전상환.2015.“제주해군기지 갈등과정에 있어서 프레임 영향 분석.”「한국정책과학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3-35. 미소장
36 An Analysis of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through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소장
37 지방정부 간 지역갈등 분석 틀 설계 및 이의 적용 소장
38 제민일보.2005-2007.6.‘제주해군기지’언어 분석 필터링.(6월 28일). 미소장
39 조선일보.2007.7-2010.12.31.‘제주해군기지’언어 분석 필터링.(6월 28일). 미소장
40 제주발전연구원.2011.『제주도 지역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 보고서』.제주특별자치도. 미소장
41 주경일·최홍석·주재복.2003.“프레임분석을 통한 수자원 갈등 각 이해집단의 의미구성 이해.”『행정논총』41(4),193-221. 미소장
42 특집 : 중앙과 지방정부의 합리적 관계 ; 중앙과 지방정부 갈등조정제도 발전방안 네이버 미소장
43 Green Growth Policy as a Meta-Frame 소장
44 하혜수.2014.“지방정부 간 갈등분석:원칙협상과 리프레이밍의 적용.제727회 「정책& 지식」포럼. 미소장
45 Developing and applying a model for analyzing win-win negotiations between local governments 소장
46 한겨레신문.2007.7-2010.12.31.‘제주해군기지’언어 분석 필터링.(6월 28일). 미소장
47 한겨레신문.2011.일본을 지키는 제주해군기지?(8월 17일). 미소장
48 한겨레신문..2012.구름비 바위 폭파는 제주도민에 대한 선전포고.(3월 8일). 미소장
49 한국경제.2012.“해적기지 망언에 전 해군은 참담한 모욕감”.(3월 13일). 미소장
50 해군본부.2010.「제주해군기지 소요결정에서 사업예정지 선정까지 추진 경과」,1-15.(4월 20일). 미소장
51 해군본부.2011. 「제주해군기지 반대측 질의,응답」,1-10.(9월 6일). 미소장
52 해군본부.2012a.「민a,b군복합항 건설 이해」(3월 9일)1-47. 미소장
53 해군본부.2012b.“3월24일자 미디어제주 ‘청문도,검증절차도 무시하는 해군,보도 관련 해군 입장.” 3.24:1-1. 미소장
54 해군본부.2012c.「제주해군기지 관련 QandA」,(3월 27일)1-93. 미소장
55 해군본부.2012d.「SBS시사토론회 발표 참고자료」,본문 1-2,별지 1-6,별지 2-17.(3월 27일). 미소장
56 해군본부.2012e.「제주 민군복합항 Q&A」,1-43.(4월 19일) 미소장
57 홍기룡.2011.“제주해군기지와 섬 연대(해군기지반대범도민대책위장).” 『정세와 노동』71,234-241. 미소장
58 Diagnostic reframing of intractable environmental problems: case of a contested multiparty public land-use conflict. 네이버 미소장
59 Framing Processes and Social Movements: An Overview and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60 Buijs Arjen E, Arts Bas J. M. Elands Birgit H. M. Lengkeek, Jaap. 2011. “Beyond environmental frames: The social representation and cultural resonance of nature in conflicts overa Dutch woodland.” Article history: Received 22 July 2009, Received in revised form 20 December 2010, Available online 22 February 2011, Geoforum 42, 329-341. 미소장
61 Burgess Heidi. 2013. Frames, Framing and Reframing. By Sanda Kaufman, Michael Elliott Deborah Shmueli(2003), www.beyondintractability.org. 미소장
62 Dewulf, Art., Gray, B., Putnam, L., Lewicki, R., Aarts, N., Bouwen, R., and Woerkum, C. 2009, Disentangling approaches to framing in conflict and negotiation research. hum.sagepub.com. (2015년 3월 25일). 미소장
63 Communicative Framing Theory in Conflict Resolution 네이버 미소장
64 Goffman Erving.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미소장
65 Gray Barbara.1995. Understanding Intractable Conflicts. Barbara Gray Yalk 강의 ppt. 미소장
66 Gray, Barbara., & Donnellon, A. 1989. An Interactive Theory of Reframing in Negotiation.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67 Gray, Barbara., & Donnellon, A. 2003. “Strong Opposition, Frame-Based Resistance to Collaboration.”by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4).14, 166-176. 미소장
68 Kaufman, S., Elliott, M. & Shmueli, D. 2003. Frames, Framing and Reframing. In G. Burgess & H. Burgess(Eds.). Conflict Research Consortium: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Posted: September 2003. http://www.beyondintractability.org/essay/framing/. 미소장
69 Kanu. DrAlusine M. 2014. Defining Conflict, Virginia Community College. http://eyeballrush.com/happiness/defining-conflict. 미소장
70 Kenny. 2014. Developing the Conversation about Workplace Mediation. http://kennedyinstitute.nuim.ie/content/developing. 미소장
71 Koenig(König), Thomas. (2004). Reframing Frame Analysis. Systematizing the empirical identification of frames us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Paper Presented at the ASA Annual Meeting, San Francisco, CA, Department of Social Sciences Loughborough University Loughborough, LE113TU United Kingdom (http://www.lboro.ac.uk/mmethods/staff/thomast.koenig@lboro.ac.uk) 미소장
72 Lewicki. 2003. effective-negotiation-3s, http:// pdrummond fleming associates.typepad.com,협상 강의 ppt자료. 미소장
73 Lewicki Roy, Gray B and Elliot M. 2003. Making Sense of Intractable Environmental Conflicts: Concepts and Cas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미소장
74 McAdam d., Tarrow S., Tilly C. 2001. Toward an Intergrated Perpective on Social Movement and Revolution, (MAAS 501). 미소장
75 Dimensions of conflict frame: Disputant interpretations of conflict. 네이버 미소장
76 Sabatier Paul. 1986. “Top-Down and Bottom-Up Models of Policy Implementation: A Critical Analysis and Suggested Synthesis.” Journal of Public Policy 6, 21-48. 미소장
77 Frame changes and the management of intractable conflicts 네이버 미소장
78 Schӧn, M & Rein D. 1994. Frame Reflection: Toward the Resolution of Intractable Policy Controversies. New York: BasicBooks. 미소장
79 Snow, D. & Benford, R. 1992. Master Frames and Cycles of Protest, In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 ed. A. D. Morris and C. M. Mueller: 1333-55,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80 Szabo Mark. 2013. Intractrability and Framing in Environmental conflic. http://markszabo.com/Site. 미소장
81 Tversky Amos, Kahneman Danial.1981.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science, 211(30), 453-458. www.sciencemag.org, (2014.6.14). 미소장
82 Locating Masterframes in History: An Analysis of the Religious Masterframe of the Abolition Movement and its Influence on Movement Trajectory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