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성희 외(2011). 2011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2 |
권선진 외(2009). 장애 아동.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연구 I: 재활복지 서비스 제고방안. 한국청소년 정책 연구원. |
미소장 |
3 |
Improvement of deaf-child education : It used Serious-Game
|
소장 |
4 |
Analysis of mobile search functions of Korean search portals
|
소장 |
5 |
김성규, 정승철(2013), 소리와 발음.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6 |
강옥미(2003). 한국어 음운. 태학사. |
미소장 |
7 |
이규식(2002). 청각장애아동 언어지도와 치료방법. 대구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8 |
박한무 외(2008). 청각장애인 조음 훈련 보조시스템을 위한 입 모양 인식 방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18(2), 286-289. |
미소장 |
9 |
Xun Luo et al(2012). Assistive Learning for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using Mixed Reality: a Pilot Stud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irtual Reality and Visualization, 74-81. |
미소장 |
10 |
S. Lee et al(2013). Dialogue Enabling Speech-to-Text User Assistive Agent with Auditory Perceptual Beamforming for Hearing-Impaire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ICCE), 360-361 |
미소장 |
11 |
S. Lijuan et al, (2013). Tongue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of Hearingimpaired Child Based on Visualization Mode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Ad-hoc and Sensor Networks, 481-484. |
미소장 |
12 |
Integrated speech training system for hearing impaired  |
미소장 |
13 |
P. K. Gupta et al(2013). Comprehension of Basic Mathematics amo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Multimedia in Accessible and Non-Accessible Format a Comparative Study. IEEE 63rd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Council for Educational Media(IECM). 1-11. |
미소장 |
14 |
http://jericho.htmlparser.net/docs/index.html |
미소장 |
15 |
http://tech.chosun.com/archives/14170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