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우리 연구의 목적은 드니 디드로의 『라모의 조카』에 나타나는 균형에 대한 저자의 몇 가지 미학적 개념들을 밝혀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세 개의 장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도하였다. 첫 장에서는 『라모의 조카』를 중심으로 한 다른 철학적 또는 미학적 텍스트들을 통해 디드로의 미학적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디드로는 초기 작품들에서부터 새로운 미학적 감수성의 혁신을 위해 노력해왔었다. 디드로에게 『사생아에 관한 대담』과 『극시론』을 쓸 시기는 ‘열정(l’enthousiasme)’의 시기였다. 그는 그 시기에 17세기 고전극으로부터 물려받은 인위적인 낭독법이 사용되는 상투적인 운문 대신 자연스러운 산문을 주장하고, 배우들의 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배우의 진정한 열정이 관객을 감동시키므로 배우는 감수성이 강해야 한다는 것이 디드로의 생각이었다. 그러나 『살롱(Salon)』(격년으로 열리는 회화 살롱 전에 대한 보고서)을 집필하면서 디드로는 예술가의 창작은 감수성이 움직이는 대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감수성에서 출발된 감동을 성찰하고 대상을 잘 관찰하는 차가운 머리(이성)의 활동에서 얻어진다는 생각으로 바뀐다. 『배우에 관한 역설』에 오면, 디드로는 타고난 감수성과 연기의 자제력 사이의 균형을 주장한다. 이러한 디드로의 연기론은 모든 예술에 적용할 수 있는 미학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두 개의 장으로 다시 나누어 『라모의 조카』에 나타나는 몇 가지 미학적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장에서는 『라모의 조카』에 나타나는 균형을 위한 연극적 미학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디드로는 당시의 연극 현실을 고발하고 조롱하면서 라모의 조카가 펼치는 팬터마임을 소설 속에 잘 배치하였다. 디드로는 배우들의 연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몸동작이나 침묵은 담화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는 팬터마임을 강조하고 싶었던 것이다. 『라모의 조카』에서 ‘철학자’인 ‘나’의 대화 상대자인 라모의 조카 ‘그’는 자신의 팬터마임에서 몰아의 경지에 이를 열정을 보여주었다. 당시 디드로는 자신의 연극 관에 따라 웅변적이고 과장된 낭독 법을 타파하고, 배우가 느낀 대로 연기를 할 수 있는 몸동작의 표현에 중점을 두어 팬터마임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라모의 조카는 철학자를 완전히 감동시키지 못한다. 그러한 라모의 조카를 통해, 디드로는 배우의 냉정과 침착성을 주장하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다. 배우는 자제되고 계획된 방식으로 자연 속에서 저절로 생겨난 것을 인위적으로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장에서는 『라모의 조카』에 나타나는 균형을 위한 음악적 미학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라모의 조카』에서 음악적 미학의 대화는 작품 초반에 주인공 라모의 삼촌인 장 필립 라모(Jean-Philippe Rameau)를 소개하면서 시작된다. 이를 통해 음악에 관한 당시의 미학에 대한 디드로의 생각들이 드러난다. 그는 프랑스의 궁정오페라보다 이탈리아 음악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지지하였다. 작품의 후반부에 집중된 음악적 대화는 프랑스의 고전주의 음악과 이탈리아 신음악의 우열에 관한 이야기로 요약할 수 있다. 프랑스의 고전주의 음악과 이탈리아 신음악의 우열에 관한 이야기로 요약할 수 있다. 음악이 목적으로 삼는 영역은 언젠가 우리는 노래와 음성으로 또 악기로 정열의 억양이나 자연 현상의 억양을 모방하는 것이라고 주인공 라모의 조카는 말한다. 그리고 좀 더 지난 후에 그는 이런 말도 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힘차고, 덜 꾸미고, 더 진실한 것이다. 이것이 디드로의 음악적 미학이다.

결론으로 우리가 디드로의 미학적 대변자라고 할 수 있는 라모의 조카를 통해 디드로는 그의 팬터마임, 음악 그리고 심지어 아첨과 아부까지 아우르는 통일된 미학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디드로의 미학은 열정과 침착성 사이에 위치하며, 단절이 아니라 대립되는 것의 초월을 통해 상호 대립 면의 움직임 속에 자리 잡고 있음을 우리는 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드라마 계통의 단편적인 글쓰기 = (Une)écriture fragmentaire héritière du postdramatique : Cet enfant de Joël : 조엘 폼므라의 <이 아이> Catherine Rapin pp.1-37
창이 있는 마티스의 그림, 그의 작품 안에 구현된 채광의 표현성과 다양성 = Matisse à la fenêtre, Expressivité et pluralité des représentations de la lumière dans sa peinture 피슈박막땡 pp.39-74
환대와 글쓰기 : 레비나스, 데리다, 자베스를 중심으로 권수경 pp.75-106
앗시아 제바르Assia Djebar의 전복을 통한 글쓰기 : 『사랑, 기마행진L'Amour, la fantasia』(1985)을 중심으로 김미경 pp.107-137
보들레르 산문시의 번역에 대한 검토. 1, 「선녀(仙女)들의 선물」을 중심으로 김준현 pp.139-165
균형의 관점에서 바라본 라 퐁텐의『우화시선집』 김지은 pp.167-201
프랑스 개봉 한국영화포스터 분석 노철환 pp.203-235
파울로 솔레리의 아코산티에 담긴 정신체로서의 의미 연구 : 테이야르 드 샤르댕의 사유를 중심으로 박규현 pp.237-261
드니 디드로의『라모의 조카』에 나타난 균형을 위한 몇 가지 미학적 개념들 = Quelques idées esthétiques pour l'équilibre dans le Neveu de Rameau de Diderot 박한표 pp.263-294
장 팽르베Jean Painlevé의 과학다큐멘터리와 그 배경들 박희태 pp.295-322
이야기와 윤리의 변증법 : 폴 리쾨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경래 pp.323-349
프랑스 서한체 소설의 역사에 대한 일고 : 기원에서 발달, 쇠퇴, 지속에 이르기까지 이윤수 pp.351-388
알랭 푸르니에와 죽음의 매혹 = (La)fascination de la mort chez Alain-Fournier 이재욱 pp.389-422
르 클레지오의『혁명』연구 이희영 pp.423-480
프랑스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인식 연구 전형연 pp.481-514
17세기 프랑스 '근대인'의 공간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 : 케플러의『꿈』과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의『다른 세계』를 통하여 최애영 pp.515-557
음악을 위한 인지적 환기모형 : 드뷔시의「물속의 되비침Reflets dans l'eau」분석 최인령 pp.559-585
여행을 글로 쓰는 것 : 메리메의『코르시카 여행노트』와『콜롱바』를 중심으로 한택수 pp.587-609
프랑스어 읽기·말하기 통합 교육 방안 연구 : 문학작품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중심으로 김경랑 pp.611-637
칭찬 화행의 화용론적 분석 김진무 pp.639-679
프랑스 및 영국의 외국어 교육 전략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의 전환점 모색 박우성 pp.681-709
맥락 개념의 재정립과 형식화 : 텍스트의 시간정보 분석을 중심으로 서정연 pp.711-741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드니 디드로 (황현산 옮김), 『라모의 조카』, 세계사, 1998. 미소장
2 디드 디드로 (김계영 옮김), 『달랑베르의 꿈』, 한길사, 2006. 미소장
3 Philosophiques a vingt ans ! 네이버 미소장
4 Oeuvres, tome II : 《Contes》, éditée par Laurent Versini, Robert Laffont, Coll. "Bouquins", 1994. 미소장
5 De la poésie dramatique, dans Oeuvres esthétiques éditées par P. Vernière, Classiques Garnier, 1988. 미소장
6 Entretiens sur le Fils naturel, dans Oeuvres esthétiques éditées par P. Vernière, Classiques Garnier, 1988. 미소장
7 Essais sur la peinture, dans Oeuvres esthétiques éditées par P. Vernière, Classiques Garnier, 1988. 미소장
8 Lettre sur les sourds et muets, dans Oeuvres complètes, éditées par Herbert Diceckmanne, Jacques Proust, Jean Varloot, tome IV. 미소장
9 Paradoxe sur le comédien, dans Oeuvres esthétiques éditées par P. Vernière, Classiques Garnier, 1988. 미소장
10 Pensée détachée sur la peinture, dans Oeuvres esthétiques éditées par P. Vernière, Classiques Garnier, 1988. 미소장
11 Principes philosophiques sur la matière et le mouvement, Tome 1, oeuvres philosophiques éditées par Laurent Versini 미소장
12 Philosophiques a vingt ans ! 네이버 미소장
13 Salon de 1767, dans Salon III “Ruines et Paysages” textes établis et présentés par Else Marie Bukdahl, Michel Delon, Annette Lorenceau, Hermann, 1995. 미소장
14 이은주, 『디드로 소설과 아이러니』, 도서출판, 2006. 미소장
15 ALBERANT-COPPOLA (Sylviane), "Rira bien qui rira le dernier", dans Autour du "Neveu de Rameau" de Diderot, Paris, Champion, 1991, pp. 15-36. 미소장
16 BELEVAL (Yvon), Etudes sur Diderot, Paris, PUF, 2003. 미소장
17 CHOUILLET (Jacques), La formation des idées esthétiques de Diderot, Paris, Armand Colin, 1973. 미소장
18 CROCKER (Lester G.), “Le Neveu de Rameau, une expérience morale”, dans Cahier de l’Association des Etudes Françaises, 1961, pp. 133-155. 미소장
19 Dictionnaire de Diderot, sous la direction de Roland Mortier et Raymond Trousson, Paris, Honoré de Champion, 1999. 미소장
20 HOBSON (Marien), "Pantomime, spasme et paratexte : Le Neveu de Rameau", dans Revue de métaphysique et de morale, 1984, pp. 197-213. 미소장
21 MAGNAN (André), Rameau le neveu, texte et documents, Paris CNRS Editions, 1993. 미소장
22 PARK(Han-Pyo), "Équilibre et déséquilibre dans trois oeuvres de Diderot-Le Rêve de d'Alembert, Le Neveu de Rameau et Jacques le Fataliste", Thèse de doctorat présentée devant l'Université de Paris X-Nanterre de Han-Pyo PAK (sous la direction de Michel Delon), 1996. 미소장
23 POMEAU(René), “Le cas de Rameau le Neveu : éthique et esthétique”, dans Diderot, le Dix-huitième siècle en Europe et au Japon, Actes recueillis par Hisayasu NAKAGAWA [Colloque, Université de Kyoto, 19-23, novembre 1984], pp. 13-23. 미소장
24 SITBON (Yvan), “peindre avec des mots, peindre avec des sons, peindre avec des gestes : la musique dans le Neveu de Rameau”, dans Etude sur le Neveu de Rameau et le Paradoxe sur le comédien de Denis Diderot, Actes du colloque organisé à l’Université Paris VII (15 et 16 novembre 1991), pp. 61-74. 미소장
25 ROUSSEAU (Nicolas), Diderot: L’écriture romanesque à l’épreuve du sensible, Paris, Honoré Champion, 1997. 미소장
26 SUMI (Yoichi), Le Neveu de Rameau, Caprice et logique du jeu, Paris, Nizet, 1975. 미소장
27 VERSINI (Laurent), “Le Neveu de Rameau et le Paradoxe sur le comédien : deux esthétiques, une science de l’Homme”, dans Littérature, 1991, pp. 41-54. 미소장
28 WAGNER (Jacques), “Le Neveu de Rameau ou la prise impossible”, dans l’Etude sur Le Neveu de Rameau et le Paradoxe sur le comédien de Denis Diderot, Actes du colloque organisé à l’Université Paris VII (15 et 16 novembre 199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