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재미한인 문학의 생태문학으로서의 가능성 : 임혜신 시를 중심으로 | 최미정 | pp.193-217 |
|
|
청산도 마을숲의 기능 분석 및 보전 방안 | 김영, 최수정 | pp.35-52 |
|
|
이야기하는 동물 : 캐서린 애플게이트의『오직 단 하나의 이반』과 정체성의 생태학 | 이동환 | pp.143-174 |
|
|
소설『페스트』와『당신들의 천국』을 통해 살펴 본 '메르스' 사태에 대한 생태인문학적 고찰 | 신희선 | pp.87-123 |
|
|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뿌리의 심연과 접목의 수사학 | 우찬제 | pp.125-142 |
|
|
셰이머스 히니 : 생태적 읽기의 (불)가능성 | 최동오 | pp.175-192 |
|
|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집'의 표상과 그 의미 | 남진숙 | pp.53-86 |
|
|
존 스타인벡의 통합 생태학적 관점 연구 : 『분노의 포도』의 서술방식과 인물상징을 중심으로 | 김대영 | pp.7-3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상징의 서술적 구도 : 존 스타인벡의『분노의 포도』를 중심으로 | 소장 |
2 | “무궁화.”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8th vol. 1993. [“Hibiscus syriacus”. Encyclopedia Britannica. 8th vol. 1993. Print.] | 미소장 |
3 | “무궁화.” 『학원세계대백과사전』 11th vol. 1993. [“Hibiscus syriacus”. Hakwon Encylopedia 11th vol. 1993. Print.] | 미소장 |
4 | From Island to Ecotone: Nature Recognition as Boundary Crossed and Ecocritical Implication | 소장 |
5 | 존 스타인벡의 사상적 원류 논의와 생태세계주의 | 소장 |
6 | LITERATURE ![]() |
미소장 |
7 | 윤용기. 「『분노의 포도』의 로즈오브샤론 연구」. 조선대 석사학위 (2000.8) [Yun, Yong-kee. "A Study on Rose of Sharon in the Grapes of Wrath".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2000.8) Print.] | 미소장 |
8 | LITERATURE ![]() |
미소장 |
9 | Beegel, Susan, et al. "Introduction." Steinbeck and the Environment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Ed. Beegel, Susan, Shillinglaw, Susan, Tiffney, Wesley. Tuscaloosa, Alabama: U of Alabama Press, 1997. 1-23. Print. | 미소장 |
10 | Glotfelty, Cheryll and Fromm, Harold. Ecocriticism Reader: Landmarks in Literary Ecology. Athens: U of Georgia P, 1996. Print | 미소장 |
11 | Hart, Richard E. "Steinbeck on Man and Nature: A Philosophical Reflection." Steinbeck and the Environment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Ed. Beegel, Susan, Shillinglaw, Susan, Tiffney, Wesley. Tuscaloosa, Alabama: U of Alabama P, 1997. 43-52. Print | 미소장 |
12 | Heise, Ursula K. Sense of Place and Sense of Planet: the Environmental Imagination of the Global. New York: Oxford UP, 2008. Print | 미소장 |
13 | Rueckert, William. "Literature and Ecology." Glotfelty, Cheryll and Fromm, Harold. Ecocriticism Reader: Landmarks in Literary Ecology. Athens: U of Georgia P, 1996. 105-23. Print | 미소장 |
14 | Steinbeck, John. The Grapes of Wrath. New York: Penquin books, 1992. | 미소장 |
15 | Timmerman, John. "John Steinbeck's Fiction: Humanity in Harmony with the Land." Steinbeck and the Environment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Ed. Beegel, Susan, Shillinglaw, Susan, Tiffney, Wesley. Tuscaloosa, Alabama: U of Alabama P, 1997. 310-22. Print | 미소장 |
16 | Valenti, Peter. "Steinbeck's Ecological Polemic: Human Sympathy and Visual Documentary in the Intercalary Chapters of The Grapes of Wrath." Steinbeck and the Environment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Ed. Beegel, Susan, Shillinglaw, Susan, Tiffney, Wesley. Tuscaloosa, Alabama: U of Alabama P, 1997. 92-112. Prin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