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本文以考察三○年代楊逵與日本雜誌媒體的關係爲範疇,並挪用文學社會學的概念,藉以釐清在殖民地作家的文化生產過程中,帝國的「雜誌媒體」究竟扮演怎樣的角色,「作者」楊逵自身在日本普羅文學運動衰退之際,如何分飾「臺灣作家」、「普羅作家」、「殖民地讀者」等多重角色,進行臺灣文化知識生產的跨域輸出。 本文將分節探討:楊逵如何吸收這些雜誌的知識內容,將它們轉化成爲論述的材料,建立與東亞作家交流的平台,並且藉由≪臺灣新文學≫的發行與日本媒體建立連帶合作關係。其次,他又如何透過「普羅作家/讀者」的身分轉換,介入日本文壇文學議題的討論。最後,探討楊逵如何利用日本的媒體版面批判殖民政策,透過楊逵個案的研究,說明三○年代臺灣作家利用日本雜誌媒體參與東亞知識圈的文化交流。

This paper investigated Yang Kui and Japanese magazine media relations for the study areas in the 1930s, and misappropriated the concept of literature of sociology, in order to clarify the process of cultural production colonial writers, and what role is the Empire magazine media play. The “author” Yang Kui of how sub-decorated “Taiwan writer”, “proletarian writer” and “colonial reader” multiple roles, how does he to conduct cross-domain output of Taiwan's cultural knowledge in Japanese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recession.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sections to explore, how Yang Kui absorbed the content of these magazines, and then transformed into a discussion of the material, to establish a platform for East Asian writers and communication. How he established jointly by the Japanese media partnership with the issue of “Taiwan's New Literature”. Secondly, how does he get involv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Japanese literary topics “proletarian writer / reader” status conversion. Finally, how does Yang Kui criticize Japan's colonization by the use of the media forum? In the case studies of Yang Kui and the Japanese media magazines, Hope to discuss how does the Taiwanese writer to shape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of knowledge by utilizing Japanese magazine medi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冶隱 吉再 詩의 要素와 그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이구의 pp.1-33
渡也詩與迷宮 黎活仁 pp.35-52
淸代 才子佳人小說 ≪畵圖緣≫의 번역필사본에 대한 재고 김영 pp.53-76
三○年代日本雜誌媒體與殖民地作家的關係 : 以臺灣/普羅作家楊逵爲例 王惠珍 pp.77-100
≪譯語類解≫ 左右音에 나타난 知照組의 특징 探析 이춘영 pp.101-125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분석 :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최영숙 pp.127-142
문학번역에서 직유 표현의 형식과 내용의 반영 : 오영수의 <메아리> 번역 분석에 근거해서 박옥수 pp.143-172
漢代 琅邪郡 出身 官僚의 출현과 活動 남영주 pp.173-205
朝鮮人筆下的十六世紀末福建面貌 : 以魯認≪錦溪日記≫路線考證爲中心 朴永煥 pp.207-238
티베트족 德格印經院 版木과 특징 고찰 박현규 pp.239-269
한국과 미국의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관 비교 연구 배정혜, 정석환 pp.293-325
대학재정 확보 및 지원방식의 현황과 과제 김병주 pp.327-359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동아시아 내 국제 교류에 대한 온라인 인식 강병순, 박지원, 박한우 pp.387-413
일본의 후각문화와 향(香) 김영 pp.271-292
자기의 삽화적 인식으로부터 자각의 일상생활을 위한 실천적 방법 김정모 pp.361-385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白川豐, ≪植民地期朝鮮の作家と日本≫, 岡山:大学教育出版, 1995. 미소장
2 梅志、張小風編, ≪胡風全集≫, 湖北:人民出版社, 1999. 미소장
3 彭小妍編, ≪楊逵全集詩文卷(上)≫, 臺南:國立文化資產保存研究中心籌備處, 2001. 미소장
4 彭小妍編, ≪楊逵全集未定稿卷≫, 臺南:國立文化資產保存研究中心籌備處, 2001. 미소장
5 彭小妍編, ≪楊逵全集・資料卷≫, 臺南:國立文化資產保存研究中心籌備處, 2001. 미소장
6 黃惠禎, ≪左翼批判精神的鍛鍊:四○年代楊逵文學與思想的歷史研究≫, 臺北市, 威秀資訊科技, 2009. 미소장
7 小田切進、日本近代文學館編, ≪日本近代文學大事典≫, 第5卷, 東京 :講談社, 1977. 미소장
8 不二出版社編輯部編, ≪日本學藝新聞≫解說・總目次・索引≫, 東京:不二出版, 1986. 미소장
9 河原功, ≪≪文學案內≫解題.總目次.索引≫, 東京:不二出版社, 2005. 미소장
10 河原功, 東京:研文出版, ≪翻弄された台湾文学:検閲と抵抗の系譜≫, 2009. 미소장
11 横浜国立大学留学生センター編, ≪国際日本学入門≫, 橫濱:成文社, 2009. 미소장
12 尹子玉, <楊逵≪臺灣新文學≫與無產階級文學運動>, ≪第一屆全國臺灣文學研究生學術論文研討會論文集≫, 國立清華大學臺灣文學研究所編, 臺南市:國家臺灣文學館籌備處, 2004. 미소장
13 白春燕, ≪普羅文學理論轉換期的驍將楊逵──1930年代臺、日普羅文學思潮之越境交流≫, 臺中, 東海大學日本語文學系碩士論文, 2012. 미소장
14 陳培豐, <殖民地大眾的爭奪-<送報伕>、≪國王≫、≪水滸傳≫>, ≪臺灣文學研究學報≫, Vol. 9 , 2009. 미소장
15 許俊雅, <江亢虎≪臺游追記≫及其相關問題研探>, ≪文與哲≫, Vol. 17 , 2010. 미소장
16 張家禎, ≪中西伊之助臺灣旅行及書寫之研究:兼論1937年前後日本旅臺作家的臺灣象≫, 臺中:靜宜大學臺灣文學所, 2008. 미소장
17 胡風と矢崎弾 : 日中戦争前夜における雑誌『星座』の試みを中心に 네이버 미소장
18 台湾人プロレタリア作家楊逵の抱える矛盾と葛藤について (特集 再読プロレタリア文学) 네이버 미소장
19 江亢虎, <41會場花絮>, ≪臺游追記≫, 上海:中華書局, 1935年, http:// www.tonyhuang39.com/tony1027/tony1027.html(2015.2.15檢索).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