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강화방안 : 도시형 한옥마을과 전통마을을 중심으로 = (A)Study on the Method to Improve the Identity of Place to Use Cultural Resource : Focusing on Urbanized Hanok Village and Traditional Village / 송영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10.30
수록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0권 제5호 통권35호 (2015년 10월), pp.103-11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5242084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장소로서의 공간, 보존해야할 대상으로서의 문화재, 삶의 현장으로서의 전통을 포함하는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지속적인 보존과 활용을 전제로 한다. 문화자원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주요자원이자 지역발전의 중요수단이 되고 있다. 문화자원 활용공간은 문화재 군락을 중심으로 역사적 전통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특히 문화자원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거주지역의 주민들에게 문화자원 활용공간은 일상생활과 밀착된 환경이므로 장소와 지역주민, 디자인이 함께 다뤄져야 한다.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형성과 장소가 해석되는 방식을 이해하여 장소 정체성의 유지 및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보존과 활용을 통한 장소 정체성의 관점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소와 장소 정체성의 이해를 통해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형성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먼저 도시형한옥마을과 전통마을의 사례를 토대로 장소형성 과정을 이해하였다. 그런 다음 사례를 종합하여 장소 정체성 형성의 배경 및 계기가 되는 요인과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장소의 의미를 분석하여,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시점의 장소 정체성을 진단하고 방향성을 설정하여 장소의 문화적 특성과 가치를 재정립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자원의 활용은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로서 장소 정체성을 정립하고 공동체가 그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공공디자인은 공동이 소유하는 문화자원과 거주공간으로서의 생활적 요구를 수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의 문화적 특성과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공동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자율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결론)위의 연구결과에 따라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공공디자인은 지역주민의 편의를 보장하면서 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장소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져야 한다. 이로써 본 연구가 문화자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that involve space as a place, cultural assets as targets of preservation, and traditions. Cultural resources are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image of a city and for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A cultural resources cluster assumes significance and value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which is centered on the community’s cultural assets. In particular, place, regional residents, and design need to be integrated since efficient use of cultural resources creates a space for residents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in a way that is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thod and identify the place for using cultural resources to improve place identity. (Method) As previously st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place identity and its continued preservation to utilize cultural resources effectively. The formation process was examined using the examples of an urbanized hanok village and traditional village. Subsequently, the analysis of varied meanings of a place according to its age, background, and formation of identity was conducted, and ways to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and space resource utilization were proposed. (Results) Methods to improve place identity and the efficient use of cultural resource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identity of a place in the present and set the direction to reestablish desired characteristics and place value. Second, regarding the usage of public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lace identity by develop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and access to them as the means for enabling community enjoyment. Third, the public’s design preferences for a designated place to use cultural resources should reflect a community’s cultural identity and a respect for residential spaces.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a community to enlarge participation of the locals and secure autonomous rights. (Conclusions)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place designed for public use should utilize cultural resources for the convenience of local residents, with the ultimate goal defined as creation of a new place value resulting from preserving and using cultural resources efficiently. Likewise, this research will hopefully provide base data for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ultural resources and their efficient us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Space Planning and Display of Traditional Markets Sooknyung Ha pp.9-1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촉감을 활용한 체험 공간의 구조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Structure of Haptic Experiential Space 김효선, 이재규 pp.35-4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하부 활용 공간 콘텐츠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Space Contents Under the Elevated Structure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김지훈, 유진형 pp.49-5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Study on modern cemetery landscape Bian Zhe, Gu QingWei, Yoon Jiyoung pp.21-3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게스트하우스에서 활용 가능한 한옥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Hanok for the Programming of Guest Houses 문진희, 유진형 pp.69-7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펀(Fun)디자인을 활용한 쇼윈도 디스플레이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A)Study on show window display method of expression using Fun designs 김선정, 유진형 pp.79-8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유리 소재를 적용한 환영적 공간 특성 연구 =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llusion of Space with Glass Material 고초, 이재규 pp.91-10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강화방안 = (A)Study on the Method to Improve the Identity of Place to Use Cultural Resource : Focusing on Urbanized Hanok Village and Traditional Village : 도시형 한옥마을과 전통마을을 중심으로 송영민 pp.103-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 (A)Study on Comparing Traditional Garden and Modern Garden for Developing Garden Culture of Korea 유윤진, 조동길 pp.113-1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투과성 디지털 입체 영상 미디어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experientially-based understanding of place of Transmission Digital 3D Image Media 김민영, 김주연, 황용섭 pp.125-13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전시공간의 자연광 활용에 의한 빛 표현특성 = (The)Characteristics of Light Expression by Utilizing Natural Light into Exhibition Space 김형경, 유진형 pp.139-15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철도역사의 혼잡성이 역사 공공서비스공간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 of Crowding in a Railway Station on the Station Public Service Space 황규연, 이정교 pp.165-17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모바일HMD기반 VR체험 콘텐츠디자인 특성연구 = Study on the Feature of Mobile HMD-Based VR Experience Contents Design 한정엽 pp.199-20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철을 주제로 한 어린이 박물관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exhibition display of Children's Iron Museum 김지원, 유진형 pp.59-6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어린이 놀이 공간에 대한 듀이의 경험론적 특성 연구 = (A)Study on Dewey's Empiricism Theory Characteristics on Children's Play Space 권윤경, 이찬 pp.151-16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브랜드 공간 디자인의 업사이클링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Upcycling Marketing Strategy of the Brand Space Design 유현주, 이정교 pp.177-18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중국 직장인 여성을 위한 스포츠 체험공간 디자인 연구 = (A)Study on Sport Experiential Space Design for Female Office Worker in China : Based on 4P Prosumer Marketing : 프로슈머 마케팅 4P를 중심으로 박초화, 이정교 pp.189-19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참고문헌 (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건축역사연구. Vol. 11. pp. 84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