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제품디자인 개발과정에서 환경과 제품의 관계성 고찰을 통해 지구의 환경파괴 제품을 친환경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모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제품디자인은 경제성, 기능성, 안전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에코디자인(eco-design) 또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으로 제품개발의 초기단계부터 친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제품생산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려는 디자인 개발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은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트리플 버튼 라인(triple bottom line)이라고 일컬어지는 경제적 측면, 환경적 측면, 사회적 측면을 조화롭게 통합하는 설계기법으로 지속가능한 최고의 가치를 추구하려는 목적이 있다. 21 세기 공업화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산업중심에서 정보중심의 사회로 전환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과 더불어 정보를 운영ž처리하는 제품과 사용 환경에 따른 사회적,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 기능중심에 입각한 기능주의(機能主義)는 디자인에서 감성미학(感性美學)을 중시하는 감성디자인과 친환경디자인을 중시하는 환경주의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환경변화는 제품디자인과 제조 공정의 기술적 측면과 제품의 사용성 및 기능성 그리고 생산성을 고려한 친환경시대의 의미를 갖고 친환경성을 고려한 제품 구현을 촉진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다양한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어지고,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 및 재료의 변화에서 생산 공정의 발전과 더불어 대량생산으로 발달되어 산업화로 인한 지구환경에서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20 세기에 들어서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공업국들은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것은 대량소비로 진행되어 자원고갈과 제품 생산 및 사용과 폐기로 인한 환경파괴의주범이 되는 심각성에서 일반적 개념에서 제품디자인과 친환경적 개념에서의 디자인으로서의 의미와 관계성을 인지하는창의적 과정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nvironmentally friend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ducts currently in development processes in product design earth environmental destruc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of eco-friendly products from. The transition from industrialization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has made information more significant along with products and environment for opera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which will advance social, cultural values. From function-oriented Functionalism to emotion-oriented Emotional Aesthetics, we are now focusing on environmentalism, caring for the environment. This transition is made by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the usability, functionalism, and productivity of a product in the technological aspect, and it is now being expressed through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This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involving diverse interaction, and changes in the materials and resources composing the product have led to development in manufacturing process and mass production, and has reached a stage where it is now threatening mankind and the global environment. The developed industrial countries began mass-producing products from the 20th century, and people started mass consuming, resulting in depletion of resource, and abundant production, use, and disposal is destroying the environment.

More and more Industrial designers are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are moving towards resolving it.

Realizing the global finitude, especially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king up to the global crisis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improving military technology, industrial designers are exploring ways of promoting and encouraging people to act on resolving this situ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형 예술로 발현된 무의식 세계의 양가적 가치 연구 = (A)Study on the Ambivalence of the Unconscious Expressed in Plastic Art : focused on works of Kusama Yayoi and Eva Hesse : 쿠사마 야요이와 에바 헤세 작품을 중심으로 고경호, 김혜수 pp.1-13

박물관 관람객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방문동기가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tudy on the influences of social background and motivation of visit of museum visitors on their satisfaction rate : focusing on the visitors of National Daegu Museum : 국립대구박물관 관람객을 중심으로 공은화, 배진희 pp.15-27

지능형제품디자인 방법에 기초한 지능형 종이접기의 개발과 평가 = Development of the Intelligent Origami based on Intelligent Product Design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Intelligent Origami 곽소나 pp.29-41

유아동 생활 습관 향상을 위한 모바일 AR Book의 디자인 방법론 = Design Methodology of Mobile AR Book for Children for Lifestyle Improvement 길시은, 최유주, 전지윤 pp.57-68

시각적 자기인식에 관한 하나의 논의 = (A)Study on Visual Self-Consciousness : focused concept of S.L. Alpers : 네덜란드 미술에 대한 S.L.알퍼스의 이해를 중심으로 김경선 pp.69-79

행동수정을 위한 아동용 놀이가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design of the children's playable furniture for behavioral modification : focused on the method stacking stool design for children aged 5 to 7 years old : 만 5세에서 7세 아동을 위한 쌓기 방식의 스툴 디자인 중심 김남영, 유상원 pp.81-91

멜랑콜리 미학을 통한 로버트 프랭크의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한 재해석 = (The)Reinterpretation of Robert Frank's Documentary Photography through The MelancholicAesthetic Power 김민정, 윤준성 pp.93-105

지각적 조직화 관점에 의한 신진 디자이너의 디자인 특성과 내적 의미 = Design Characteristics of Rising Design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ceptual Organization and Its Internal Meaning : Focused on the Collection of 2015 SS : 2015 SS Collection을 중심으로 김영선 pp.133-146

일관성법칙을 적용한 산업용 장비 디자인개발 사례연구 = (A)Case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Industrial Product with the Consistency Principle : Focused on Building a Design Language System : 디자인 언어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권민성 pp.43-56

공리주의 관점에서의 GUI변천과정 = (The)process of GUI transition from an angle of utilitarianism : With a focus on the utilization of WIMP(Window, Icon, Menu, and Pointer) : WIMP(Window, Icon, Menu, Pointer) 활용을 중심으로 김수희, 오치규 pp.119-131

다큐멘터리 사진의 정치적 변용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Political Acculturation of Documentary Photographs : focused on FSA project and exhibition of <Road to Victory> : FSA 사진과 <승리로 가는 길>전시를 중심으로 김소희 pp.107-117

창작주체의 성찰성에 관한 연구 = Study about the introspect of creation subject 김인숙 pp.147-154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현대 주얼리의 특성 연구 = (A)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Jewelry appeared in Fashion Collection : Focusing on Paris Collection from 2010 to 2013 : 2010~2013 파리 패션 컬렉션을 중심으로 김지선, 김은정 pp.155-168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에서 나타난 '시적 이미지 연출' 표현 연구 = (A)study on the 'poetic imagination'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Image : focused on 'text-image', and 'imge-text' in japaness advertisement : 일본광고에 나타난 '텍스트의 이미지화', '이미지의 텍스트화'를 중심으로 김지영 pp.169-186

현대 그래픽디자인 해석에 있어서 수용미학적 접근 = Reception Aesthetical Approach for Interpreting Post-modern Graphic Design 김지원, 서진수 pp.187-201

미셸 공드리의 초현실적 세계를 표현하는 수공예의 연출 기법에 관한 연구 = (A)Study on Hand Craft Production techniques on expressing the Surreal world of Michel Gondry : Focusing on Mise-en-scene elements Settings, Props and Costumes : 미장센 요소 세트, 소품, 의상을 중심으로 김현희 pp.203-215

20세기 이후의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흐름과 유형 = (The)Flow and Categories of Experimental Typography after 20th Century 김현희 pp.217-230

이세이 미야케와 이사벨 톨레도의 기하학적 원형에 의한 패션디자인 = (The)Fashion Design by Geometric Original Form of Issey Miyake and Isabel Toledo 남윤진 pp.231-241

4대왕 추모제·백제고분제·왕인박사춘향대제에 나타난 제례복식 연구 = (The)Study of Ritual Costumes in Major 4-kings Memorial Service, Baekje Ancient Tomb Festival, and Big Spring Ceremony for Dr. Wangin 마유리, 김은정 pp.241-255

패브릭버튼을 응용한 남성장신구 연구 = Study on Male Jewelry Using Fabric Button : Focusing on Boutonniere : 부토니에르를 중심으로 문선영, 정양희 pp.257-266

시선추적에 나타난 백화점 로비공간의 주사유형 특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Features of Scanning Type at Lobby Space of Department Stores Found at Eye-Tracking 박선명, 최계영, 김종하, 이정호 pp.267-280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신호공간의 특성을 이용한 영상처리기법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연구 = (A)Study on Artistic Expression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 Using Signal Space of Digital Visual Media 박소라, 김용구, 전지윤 pp.281-291

2010년대 자동차 디자인 트렌드에 관한 분석 = Analysis of Car Design Trend in 2010s : focused on 3d elements in front design : 프론트디자인에 적용된 입체조형요소를 중심으로 봉하룡 pp.301-304

불확정적 행위자와의 네트워크 = Network with Uncertainty Actors : Implication of Nature in New Media Art : 뉴미디어 예술에서 자연의 함의 송원진 pp.305-316

반사를 이용한 스테레오그래피 효과 = Stereography Effect Using Reflections 심복섭 pp.317-327

중국 사합원의 보전 및 현대적 응용에 관한연구 = (A)Study on the Protection and Modern Application of Chinese courtyard, Sahapwon 여문정, 윤지영 pp.329-339

온라인쇼핑몰 웹디자인 요인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Online Shopping Mall Design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 Taking Taobao.com & Tmall.com as Example : 중국 온라인쇼핑몰 '타오바오'와 '티몰백화점'을 실례로 들어 원로방, 정성환 pp.341-352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패션 하이브리드 디자인 경향과 특성 연구 = Fashion Hybrid Design Trend Study in Product Design : focusing on mobile CMF(Color, Material, Finishing) design : 모바일제품 CMF(Color, Material, Finishing) 디자인을 중심으로 원호연 pp.353-362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예술에 관한 연구 = (A)Study on IoT-based Art 유영재 pp.363-373

경계에 존재하는 몸 = Body Being on the Border : Hybridization of Human Body, Animal, Object in Visual Art : 인체, 동물, 사물 간의 이종결합으로 구현되는 조형예술 윤순란 pp.375-388

감상과 이해를 위한 도자기전시 공간연출매체 비교분석 = Characteristics Analysis about Exhibition Media for Porcelain Exhibition of Contemplation and Comprehension 이성연, 최익서 pp.389-399

현대장신구의 발생과 그 배경 = (The)Beginnings of Modern Jewelry : focusing on Studio Jewelry from the 1920s to the 1950s : 1920~50년대 스튜디오 장신구를 중심으로 이소현 pp.401-411

그림자 회화로서 <회화의 기원>과 다니엘 로진의 <Wooden Mirror>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Origin of Painting> as the Shadow Painting and <Wooden Mirror> by Daniel Rozin 이예린 pp.425-437

디지털 퍼포먼스에서 신체, 디지털 분신 그리고 통합된 세계의 관계 = (The)Relationships among Body, Digital Double, and the Merged Worlds in Digital Performance : focused on the case of projection mapping onto the performer : 배우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션 매핑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운, 전석, 김동호 pp.439-450

자막 그래픽이 예능 프로그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effect of subtitle graphic on brand identity of entertainment program : Focused on subtitle graphics of entertainment program in public channels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 공중파 및 종편 예능 프로그램 자막 그래픽 중심으로 이지원, 김인성 pp.451-466

초기 모더니즘 가구와 동시대 회화의 조형적 유사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Formative Similarity of Furniture in the Early Modernism and Contemporary Arts 이영춘 pp.413-424

브랜드의 통합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공간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수업사례 = (A)Case Study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Space design and Marketing for Integrated Brand Identity 이진민, 장미정 pp.467-481

현대 여자수의 겉옷 디자인 개발 제안 = (The)Proposal for Design Development of Modern Women's Shroud Coats 이춘희, 강혜승 pp.483-493

초등 디자인교육에서 STEAM 활용의 판화 학습 연구 = (A)Study for the Print Media in Elementary Design Education with the Use STEAM 임남숙 pp.495-505

김개천의 종교 공간에 나타난 기호학적 특성 연구 = Research about semiologic characters expressed on religious space of Kim-Kaichun : Focus on Greimas's square of the semiotic : 그레마스 기호사변형을 중심으로 임영내, 이규백 pp.507-521

글로벌 브랜드의 현지화(現地化) 광고 유형에 관한 연구 = (A)Study on Localization Advertisement Type of Global Brand : Focusing on the advertisements of Coca-Cola applying Chinese paper-cut art : 중국 전지예술을 응용한 코카콜라 광고물을 중심으로 장아문, 장미경 pp.523-536

국가별 산업특성 및 정책동향에 따른 서비스 디자인의 사회문제 해결 유형 분석 = (An)Analysis of Solution Types for Social Problems in Service Design in Accordance with Industry Characteristics and National Policy Trends 전영옥, 나건 pp.537-551

Swedish Modernism 관점을 통해 고찰한 Josef Frank의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A)Study on Textile Design of Josef Frank from the Perspective of Swedish Modernism 전유미, 배정민 pp.553-568

레베카 메델(Rebecca Medel)의 Early Grids(1980s-1990s)조형 분석 = (An)Formative Analysis of Rebecca Medel's Early Grids (1980s-1990s) : Focused on Textile Expression Using Projection Effect : 투영효과를 이용한 섬유표현 형태중심으로 정경연, 이수연 pp.569-579

오정색과 십간색에 관한 연구 = (A)Study on five primary(Obang-Saek) and ten secondary colors : Focused on black, ja, ryuhwang, am and gray : 흑색(黑色)ž·자색(紫色)·ž류황(騮黃)ž·암색(黯色)·ž불색(黻色)을 중심으로 정성환 pp.581-592

데이비드 호크니의 <더 큰 그림> 연구 = Analysis of David Hockney's <A Bigger Picture> : focusing on the subject of vision and perspective in painting : 회화의 시각과 시점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정영한 pp.593-605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색지각 변화 특성 = (The)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color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the aging population 정현선, 김예원 pp.607-616

만프레드 비숍(Manfred Bischoff)의 장신구에 관한 연구 = Study on Jewelry of Manfred Bischoff 조성호 pp.639-651

이탈리아 산업디자인 정체성에 대한 기초 연구 = (A)Basic Study for the Italian industrial design identity 조태형 pp.653-663

통섭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성 =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in the Consilience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vant-Garde Art and Digital Media Art : 아방가르드 예술과 디지털 매체예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경아 pp.665-674

농업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Study on Improvement Plan Through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Education Program for Farmers' Designing 진혜련, 채혜성 pp.675-685
친환경 개념에서의 제품디자인과 재료 적용에 관한 연구 = (A)Study on Application of Eco-Friendly from a Concept to Product Design and Materials 최종운 pp.687-696

로니 참피친파(Ronnie Tjampitjinpa)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A)Study on the Fashion Design Using Paintings by Ronnie Tjampitjinpa : focusing on the cord piping technique : 코드 파이핑(cord piping) 기법 중심으로 정혜인 pp.617-628

관객 참여 미술과 미술의 사회적 기능 연구 = (A)Study of spectator participation in art and its social role : a focus on Joseph Beuys' 'Social Sculpture' : 요셉보이스의 '사회적 조각'을 중심으로 조광석 pp.629-637

뉴로마케팅 기반 fMRI 적용 미디어폴 브랜드 개발 연구 = (A)Study on Media Pole Brand Development Applied to fMRI Based on Neuro Marketing 한소영 pp.697-709

국가 R&D 고도화를 위한 디자인 주도 해수 탈염 기술시각화 연구 = (A)Study on Design Initiative National R&D Advancement FCDi Technology Visualization 한소영 pp.711-723

친환경 유기농 식품 매장 유형별 공간디자인 특성 분석 연구 = Eco-friendly organic food store type space design characterization study 한승환, 윤재은 pp.725-738

2000년대 이후 한국도예에 나타난 '달항아리'의 해체와 변용 = (A)Study on the expression of de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Moon Jar' in Korean ceramics after 2000s 홍지수 pp.739-750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도로시 맥켄지,『환경을 위한 그린 디자인』, 도서출판 국제, 1996 미소장
2 빅터 파파넥,『녹색위기』, 조형교육, 1998 미소장
3 안중우,『친환경 제품설계』, 동화기술, 2006 미소장
4 야마기와 야스유키,『지속 가능한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연구센터, 2006 미소장
5 이병욱ž황금주ž김남규, 『환경경영』, 에코리브르, 2005 미소장
6 한국플라스틱기술정보센터,『플라스틱산업총람』, 1999 미소장
7 Buzz Poole,『Green Design』, Mark Betty Publisher, 2006 미소장
8 European Commission, 2010-investing to restore jobs and growth, 2009 미소장
9 Greenpeace,『Guide to Greener Electronics』, 2007 미소장
10 Industry & Consumer policy,『Eco-Indicator 99 Manual for Designers』, 2000 미소장
11 Stuart Walker,『Sustainable by Design』, Earthscan, 2006 미소장
12 Tracy Bhamra, Vicky Lofthouse, 『Design for Sustainability』, Grower, 2007 미소장
13 UNEP,『Design for Sustainability (D4S) Activities』, 2006 미소장
14 Victor Papanek,『생태계와 환경보호를 위한 디자인』, KSID 창립 20 주년 초청강연회, 1992 미소장
15 임기철,『환경친화적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모색』, 과학기술 정책관리 연구소, 1994 미소장
16 신희덕,『자원리사이클을 위한 분리기술의 발전과 응용』, 산업정보 기술원, 1994 미소장
17 한국기술정보컨설팅, 『분해성 플라스틱 기술개발 및 활용』, 1991 미소장
18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폐합성수지감량화 및 처리 재활용방안에 관한 연구』,1993 미소장
19 환경부,『재활용 지정사업자의 재활용 지침, 환경부 고시, 1993.12. 미소장
20 지속가능한 발전과 제품설계 소장
21 http://europa.eu/legislation_summaries/environment/sustainable_develop 미소장
22 http://www.greenovate-europe.eu/system/files/com_2008 미소장
23 http://ec.europa.eu/enterprise/policies/raw-materials 미소장
24 http://www.greenovate-europe.eu 미소장
25 http://ecodesign.konetic.or.kr 미소장
26 http://www.samsungmobil.co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