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한국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 이상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11.30
수록지명
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2015. 11), pp.19-43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5258776
주기사항
대등표제: (A)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progressive educational reforms in Korea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최근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교육개혁 움직임이 활발하다. 21세기에는 종래의 전통적인 교육과 다른 교육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 하에, 학문중심의 학교교육의 틀을 사회적 요구와 학생의 흥미를 고려하여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혁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을 지향하며 시작된 자유학기제는 그 대표적인 예다. 이와 같이 현재 진행 중인 진보주의 교육개혁이 현장에서 의미있는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그와 유사하게 학교교육을 개혁하고자 했던 과거의 교육개혁 사례들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최근 부각되는 진보주의 교육개혁이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얻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해방 직후 ‘새교육운동’, 1970년대 ‘자유학습의 날’, 1990년대 ‘열린교육’과 ‘책가방 없는 날’, 그리고 최근의 ‘자유학기제’에 이르기까지 진보주의 교육 사상에 기반한 교육개혁 흐름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현재 진행 중이거나 미래의 잠재적인 교육개혁에서 유념해야 할 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진보주의 교육의 사상사적 배경과 특징, 국내외 진보주의 교육개혁 동향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해 본다. 이어서 한국의 진보주의 교육정책의 변화와 특징을 1) 도입맥락과 취지, 2) 운영 내용과 방법, 3) 지속 기간과 실행의 저해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진보주의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나타나는 쟁점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cently the educational reform based on progressivism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schooling. This trend results from the recognition that traditional school system focusing on academic curriculum needs to be changed according to new social demands. As a part of this trend,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has been actively implementing the policy of ‘Free Semester Program’ based on progressive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process of changes in the progressive educational reforms in Korea. Under these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hanges in educational reforms based on progressive education in Korea after liberation until now. Concretely, it consists of ‘New Education Movement’ in 1950s, ‘Free Study Day’ in 1970s, ‘Open Education Movement’ and ‘Schoolbag Free Day’ in 1990s, and ‘Free Semester Program’ in 2010s. In order to obtain this purpose, 1) we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2)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ogressive educational reforms in Korea in respect of introducing context, implementing framework, cause of hindrance, and lastly 3) discussed some implications of educational reforms based on progressive education in Korea.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변인 탐색 남창우, 신수영 pp.1-1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한국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이상은 pp.19-4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탈북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경험 분석 김명선 pp.45-7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대학생의 학업정서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희원, 문경숙 pp.75-10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윤경미, 유순화 pp.105-127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도의 관계 박영순, 김판희 pp.129-14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교사의 학교 내 대안교실 운영 활동 분석 이혜진 pp.151-17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초등학생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협력교사제 수업의 효과성 연구 이형빈, 강에스더 pp.181-20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 또래 공동체 의식과 교사 친밀성의 조절효과 김진구, 박종효 pp.207-23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 간 관계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교직경력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최권, 도승이 pp.233-25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학교문화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민조, 이현명 pp.255-28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학교교육 붕괴 현상의 생태학적 탐색을 통한 극복 방안 모색 : 교육공동체 내 신뢰 회복을 중심으로 송연주, 이상수 pp.285-30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in the Primary Schools after 1945 소장
2 A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movements in Korea : New Education Movement and Open Education Movement 소장
3 교육부(1992). 초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미소장
4 교육부(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미소장
5 교육부(201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시안). 미소장
6 A Reconsideration of "Ope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Education 소장
7 김벽동(2002). 책가방 없는 날, 이런 활동은 어떨까? 초등 우리교육, 12, 168-172. 미소장
8 열린 學校의 意味 探索 소장
9 Teach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 Reform 소장
10 自由學習의 反省과 展望 <座談> 소장
11 진보의 맥락에서 본 아동중심교육 소장
12 김천기(1992). 진보주의 교육이 한국 교육정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수정주의적 분석:미군정기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0(2), 45-69. 미소장
13 Policy Is Philosophy 네이버 미소장
14 대한교육협회(1973). 자유학습의 날 지도자료집. 대한신문사 새교실 편집부. 미소장
15 A Political , Social , and Teaching Cultural Analysis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Open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6 박승억(2015). 학문의 진화. 글항아리. 미소장
17 박옥화(1997). 초등학교 체험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사례 연구: 책가방 없는 날 운영의 실태와 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8 반채익(2005).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 자유교육과 아동중심교육을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 21(1), 5-24. 미소장
19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Child-centered Curriculum 소장
20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운동 : 교육의 인간화ㆍ과학화ㆍ민주화를 위한 실험 소장
21 The Educational Reform Movement of the Progressive Era in the U. S. 소장
22 오욱환(2009).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 교육학연구, 47(4), 97-117. 미소장
23 '자유학습의 날'의 운영에 관한 연구 소장
24 '책가방 없는 날'의 교육과정상의 의미와 시사점 탐색 소장
25 이돈희(2014). 미래교육의 구상. 제67차 KEDI 교육정책포럼 자료집, p.3-15.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6 Evaluation and Perspective for Yeolin Education&'s Revitalizing 소장
27 Radical progressivism, socialism and John Dewey 소장
28 해방 후 한국교육개혁운동의 성격 고찰 : 교육주도세력의 새교육운동을 중심으로 소장
29 이연구(1974). 자유학습의 날 운영개선에 관한 일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0 이혜영, 최광만, 윤종혁(1998).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Ⅲ): 해방이후의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1 A Critical Review on Open Education 소장
32 A Critical examination on the Movement of Open Education in Korea from the Philosophy of Educational aspect 소장
33 정진돈(1981). 자유학습의 날 운영과 개선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4 최상덕(2015). 자유학기제가 추구하는 새로운 학력관 모색. 경희대학교 제9회 교육발전 포럼 자료집, p.2-16. 미소장
35 최상덕, 신철균, 박균열(2013). 자유학기제 실행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6 최상덕, 이상은, 김병찬, 박소영, 소경희, 홍창남(2014).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사례연구 종합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7 한국교육개발원(1997). 열린교육입문. 교육과학사. 미소장
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 21세기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학력의 성격. 2001년도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 학술 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39 열린교육 확산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열린교육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소장
40 해방 후 진보주의 교육 사조의 수용 과정 소장
41 황용길(1998). ‘미국식 열린교육으로의 개혁’은 전 학생들의 돌머리화, 국가의 깡통화를 재촉한다. 월간조선, 12월호, 242-305. 미소장
42 Aikin, W. M.(1942). The story of eight-year study. New York & London:Harper & Brothers. 미소장
43 Barnett, R.(2007). Learning for an unknown future.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23(3), 247-260. 미소장
44 Bauman, Z.(2000). Liquid modernity. Cambridge: Policy Press. 미소장
45 Beck, N.(1992). Risk society. London: Sage. 미소장
46 Berube, M. R.(1994). American school reform: Progressive, equity, and excellence movements, 1883-1993.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s. 미소장
47 Church, R. L., & Sedlak, M. W.(1976).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미소장
48 Cremin, L. A.(1964). The transformation of the school: Progressivism in American education, 1876-1957. New York: Vintage Books. 미소장
49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미소장
50 Hargreaves, A., & Shirley, D.(2009). The fourth way: The inspiring future for educational change. Corwin Press. 이찬승, 김은영 역(2015). 학교교육 제4의 길. 21세기교육연구소. 미소장
51 Kliebard, H. M.(1986).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1893-1958. New York &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미소장
52 Progressivism, schools and schools of education: An American romance 네이버 미소장
53 Revisiting the Tradition of Progressive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54 Lengel, J. G.(2013). Education 3.0: seven steps to better schools.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55 Kim, Dong Koo(1984). American influence on Korean educational thought throught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1945-1948.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미소장
56 Nam, Byung Hun(1962). Educational reorganization in South Korea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1945-1948.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미소장
57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미소장
58 Redefer, F.(1950). The eight-year study...after eight years. Progressive Education, 28, 33-36. 미소장
59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네이버 미소장
60 Stehr, N.(2001). The fragility of modern societies: Knowledge and risk in the information age. London: Sage. 미소장
61 Tyack, D.(1974). The one best system. Cambridge. 미소장
62 Tyack, D., & Cuban, L.(1997). Tinkering toward Utopia: A century of public school reform. Harvard University Press. 권창욱, 박대권 역(2013). 학교없는 교육개혁. 럭스미디어.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