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노모토 하루요(2009). 꿈틀꿈틀 별이 살아있어요. 한승. |
미소장 |
2 |
민영기(2003). 외계인은 존재하는가. 까치. |
미소장 |
3 |
Aestheticization of the Everyday Life and the Symbolic Value of Tourism
|
소장 |
4 |
서강대언론문화연구소(1989).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성과와 그 쟁점. |
미소장 |
5 |
유평근, 진형준(2005). 이미지. 살림. |
미소장 |
6 |
이광식(1999). 아빠, 별자리 보러가요. 가람기획. |
미소장 |
7 |
이광식(2013). 십대, 별과 우주를 사색해야 하는 이유. 더숲. |
미소장 |
8 |
이시우(1999). 별과 인간의 일생. 신구문화사. |
미소장 |
9 |
이시우(2002). 별을 보면 법을 보고, 법을 보면 별을 안다. 신구문화사 |
미소장 |
10 |
이케다 다이사쿠, 알렉산드르 세레브로프(2010). 우주와 지구와 인간. 조선뉴스프레스. |
미소장 |
11 |
장 피에르 뤼미네, 마르크 라시에즈 레이(2007). 무한: 우주의 신비와 한계. 해나무. |
미소장 |
12 |
질베르 뒤랑(1994). 상상력의 과학과 철학. 살림. |
미소장 |
13 |
조상호(2008). 별이야기. 크리에디트. |
미소장 |
14 |
한규석(2012).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
미소장 |
15 |
Barthes, R. (1973). Mythologies. St Albans: Paladin. |
미소장 |
16 |
Berger, P. L., & Luckmann, T. (1966).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Garden City, NY: Anchor Books. |
미소장 |
17 |
Boorstin, D. J. (1964). The Image: A Guide to Pseudo-Event in America. NY: Harper & Row. |
미소장 |
18 |
The political economy of tourism in the third world  |
미소장 |
19 |
Featherstone, M. (1991). The Body in Consumer Culture. In Milk Featherstone, Mike Hepworth, & Bryan S. Turner (Eds), The Body: Social Process and Cultural Theory, 170-196, London:Sage. |
미소장 |
20 |
Goffman, E. (1959).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Garden City, NY: Anchor. |
미소장 |
21 |
Hewison, R. (1987). The Heritage Industry: Britain in a Climate of Decline. London: Methuen. |
미소장 |
22 |
Holderness, G. (1988). Bardolatry: The Cultural Materialist's Guide to Stratford-upon-Avon, In G. Holderness (Ed), The Shakespeare Myth.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3 |
Staged Authenticity: Arrangements of Social Space in Tourist Settings  |
미소장 |
24 |
Marcuse, H. (1964). One Dimensional Man. London: Abacus. |
미소장 |
25 |
Marx, K. (1973). Grundrisse (trans. M. Nicolaus). New York: Random House. |
미소장 |
26 |
Marx, K. (1977). Capital Vols. 1-3, (trans. S. Moore & E. Aveling, ed. F. Engels). London:Lawrence & Wishart. |
미소장 |
27 |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trans. G. Walsh & F. Lehnert). London: Heinemann. |
미소장 |
28 |
Rojek, C. (1985). Capitalism and Leisure. Tavistock Publication. |
미소장 |
29 |
Story, J. (1993). An Introductory Guide to Culture Theory and Popular Culture. Athens:University of Georgia Press. |
미소장 |
30 |
The ideology of class and tourism confronting the discourse of advertising  |
미소장 |
31 |
Urry, J. (1990). The Tourist Gaze: Leisure and Travel in Contemporary Societies. London: Sage.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