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특성 연구. 2 | 이미화 | pp.413-444 |
|
|
박범신 문학의 연원(淵源)과 자아탐색의 서사 : 연작소설 ≪흰소가 끄는 수레≫론 | 구수경 | pp.57-82 |
|
|
황순원의 노년문학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 | 오태호 | pp.381-412 |
|
|
황순원 소설의 생태의식과 미적 인간학 | 김근호 | pp.83-109 |
|
|
채만식의 산문 연구 | 공종구 | pp.5-31 |
|
|
김승옥의 <환상수첩>에 나타난 욕망의 분열양상 연구 | 곽상순 | pp.33-55 |
|
|
최인호 소설에 나타난 보행자의 존재성과 도시 공간의 재장소화 양상 | 박찬효 | pp.259-293 |
|
|
이상 소설의 작중인물과 이미지의 유사성 연구 : 황순원·김승옥·최인호 소설을 중심으로 | 장현숙 | pp.473-503 |
|
|
허련순의 <중국색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치유 양상 | 김미란 | pp.149-175 |
|
|
신채호문학에 나타나는 민족연구 | 김희주 | pp.177-204 |
|
|
이청준의 서사적 정체성 : <눈길>론 | 송기섭 | pp.353-380 |
|
|
해방과 전쟁 사이, 박계주 소설에 나타난 현실 비판의 함의들 | 서승희 | pp.295-323 |
|
|
60년대 문학 주체의 마조히즘의 윤리학 :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 설혜경 | pp.325-352 |
|
|
<까마귀>를 통해 본 작가 이태준의 중년기 자화상과 창작 심리 | 김명숙 | pp.111-148 |
|
|
최인훈 문학에 나타난 '연작'의 의미 | 노태훈 | pp.205-229 |
|
|
최명익 소설의 '행동자' 고찰 | 박종홍 | pp.231-258 |
|
|
1970년대 선덕여왕과 2000년대 선덕여왕 서사의 거리 : 게임이론을 통해 본 손소희와 MBC프로덕션의 선덕여왕 이야기의 차이와 그 의미 | 장사흠 | pp.445-471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李泰俊, 이태준문학전집2 , 서음출판사, 1988. 2. | 미소장 |
2 | 강대원, 상허 이태준 단편소설 연구 , 한양대 박사논문, 2009. | 미소장 |
3 | 현대문학 : 이태준 단편 〈오몽여(五夢女)〉의 개작이 부른 명암(明暗) ![]() |
미소장 |
4 | 李泰俊 短篇小說의 抒情的 特性 硏究 ![]() |
미소장 |
5 | 이태준 소설의 노인, 그 기호학적 의미 | 소장 |
6 | 권성우, 「이태준 수필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2호, 2004. | 미소장 |
7 | 민충환, 「이태준의 전기적 고찰」, 상허학보 1호, 상허학회, 1993, 33-53면. | 미소장 |
8 | 민충환, 이태준소설의 이해 , 백산출판사, 1992. | 미소장 |
9 | 박건명, 「이태준 단편소설에 나타난 인물유형 연구」, 겨레어문학 15, 1권, 겨레어문학회, 1991, 309-336면. | 미소장 |
10 | 박진숙, 「이태준의 <가마귀>와 인공적 글쓰기」,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 연구 16호. 2002, 241-258면. | 미소장 |
11 | 박헌호, 「이태준 문학의 소설사적 위상」,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7. | 미소장 |
12 | 박헌호, 이태준과 한국 근대소설의 성격 , 소명출판, 1999. | 미소장 |
13 | 송인화, 이태준 문학의 근대성 , 국학자료원, 2003. | 미소장 |
14 | 이태준 단편소설의 스토리 전개방식 - 거리와 소설기법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 |
미소장 |
15 | 유인순, 「비어 있음의 인식과 그 채우기 작업- 상허 이태준의 삶과 문학」, 석양 , 강원대출판부, 2004 | 미소장 |
16 | 논문 : 이태준(李泰俊) 단편소설(短篇小說) 연구(硏究) ![]() |
미소장 |
17 | 李泰俊 短篇 硏究 : 「토끼 이야기」를 중심으로 | 소장 |
18 | 이명희, 이태준문학연구 , 숙명여대 박사논문, 1993. | 미소장 |
19 | 이병렬, 이태준소설의 창작 기법연구 , 숭실대 박사학위 논문, 1993. | 미소장 |
20 | 이선영, 「한국 근대문학의 감성과 정치적 무의식-李泰俊의 경우」, 민족문학사 연구 33권, 민족문학사학회, 2007, 408-436면. | 미소장 |
21 | Study on Aspects of Change in Lee Tae Jun`s Later Short Stories ?Focused on the Previous and Later Works of Manchuria Travel | 소장 |
22 | 이탄미, 이태준 연구 , 중앙대 박사논문, 2001. | 미소장 |
23 | 이태준 소설의 이미지 연구 -"빛"과 "물"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 |
미소장 |
24 | 李泰俊 硏究;短篇小說을 中心으로 | 소장 |
25 | 李泰俊 단편소설에 나타난 "가난" 문제 硏究 | 소장 |
26 | 李泰俊 단편 「가마귀」의 耽美主義的 性格 | 소장 |
27 | 장영우, 이태준 소설 연구 ,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92. | 미소장 |
28 | 장영우, 「이태준 단편소설의 특징과 의의」, 이태준, ≪달밤≫, 깊은샘, 1995. | 미소장 |
29 | Love's Issue of Lee, Tae-Jun's Short and Medium-Length Story | 소장 |
30 | 최은영, 「이태준 서정소설의 특질 연구 -초기 단편집 달밤(1934) 을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7권,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5-28면. | 미소장 |
31 | 李泰俊 短篇小說에 나타나는'日常性(quotidienneté)' | 소장 |
32 | 황영숙, 이태준 소설 연구 , 명지대 박사논문, 1994. | 미소장 |
33 |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자연지향 -<까마귀>, <사냥>, <무연(無緣)>을 중심으로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