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BS 다큐프라임 ‘이야기의 힘’ 제작팀(2011), 이야기의 힘 , 황금물고기. 미소장
2 김성수(2011),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기초」, 철학과 현실 90호, 철학문화연구소: 274-285쪽. 미소장
3 김중철(2011), 「영화 ‘시’와 ‘일 포스티노’에 나타난 글쓰기의 의미」, 문학과영상 12권 3호, 문학과영상학회: 665-686쪽. 미소장
4 김중철(2015), 「말하기, 글쓰기에 있어서 거짓과 진실의 문제」, 사고와표현 8집 1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81-204쪽. 미소장
5 김훈 외(2011), 소설가로 산다는 것 , 문학사상. 미소장
6 Comprehension of Educational Films and Significance of Ecriture 소장
7 스테파니 도우릭, 조미현 역(2011), 일기, 나를 찾아가는 첫걸음 , 도서출판 간장. 미소장
8 에린 그루웰, 김태훈 역(2007), 프리덤 라이터스 다이어리 , 랜덤하우스. 미소장
9 이선자(2006), 「공감훈련이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수-학생간 갈등관리 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미소장
10 장성규(2012), 「하위주체는 어떻게 쓸 수 있는가?」, 작가와 사회 2012 가을호, 작가와사회 출판부; 10-23쪽. 미소장
11 조너선 갓셜, 노승영 역(2014), 스토리텔링 애니멀 , 민음사. 미소장
12 최예정․김성룡(2005),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 글누림. 미소장
13 영화 <12명의 성난 사람들>과 논리적 사고 소장
14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편(2015),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 푸른사상. 미소장
15 함종호(2013), 「영화 형식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 동남어문논집 35호, 동남어문학회: 303-327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