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Beginning with the inquiry “whether Bach preaches Lutheran theology through musical composi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composer’s cantatas of his Leipzig period from two aspects. The first part looks at the liturgical contexts of these cantatas. The second part emphasizes on music analysis to discuss the religious meanings coded in the music. While it is a common formulation to entitle Bach’s church cantatas “music sermons,” a congruent system to decipher the religious meanings of his music is not yet found in the scholarship.

이 논문은 J. S. 바흐가 자신의 작품을 통해 루터교를 전파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를 위해 라이프치히 시기에 작곡된 바흐의 칸타타 작품을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해 보았다. 먼저, 이 칸타타 작품들이 지닌 전례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칸타타는 신자들에게 더 많은 복음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모테트로부터 발전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성서의 구절을 강조하는데 그쳤던 모테트와는 달리, 칸타타는 그것들을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음악 분석을 통해 음악 속에서 암호화된 종교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 논의를 설명하기 위해 부코프처(Manfred Bukofzer), 세이프(Eric Chafe), 슐렌베르그(David Schulenberg) 그리고 로이드(Rebecca Lloyd) 등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해석과 서로 다른 시각을 다루었다.

본 논문이 제시한 “바흐, 설교자인가 신학자인가?”라는 질문이 물음표가 아닌 마침표로 마무리 짓게 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방글라데시 찬송가에 나타나는 벵골음악의 전통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윤지선, 박은경 pp.39-69

프로젝트 기반 실기교육방법론 수업 적용 사례 : 대중음악수업을 중심으로 양은주, 오승근 pp.71-92

J. S. 바흐, 설교자인가 신학자인가? Hsiang-Ning Dora Kung pp.94-110

Who's Your Daddy? J 브랜드, K 브랜드, 그리고 서구 Jocelyn Clark pp.111-136

동아시아 근·현대 음악 데이터베이스와 두 가지의 혁신적인 검색 방법 Hyun Kyung Chae, Kyeung J. Lee pp.137-150

욕망의 여과와 감각의 재구성 : 1930년대 만요로 살펴본 식민지 도시인의 욕망 이은진 pp.1-37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ukofzer, Manfred. “Allegory in Baroque Music.” Journal of the Warburg and Courtauld Institutes 3/1-2 (1939-40), pp. 1-21. 미소장
2 Chafe, Eric. Analyzing Bach Cantata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미소장
3 Leaver, Robin A. “Music and Lutheranism.” The Cambridge Companion to Bach. Edited by John But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pp. 35-45. 미소장
4 Lloyd, Rebecca. “Bach: Luther’s Musical Prophet?” Current Musicology 83 (2007), pp. 5-32. 미소장
5 Lloyd, Rebecca. “The Mature Vocal Works And Their Theological And Liturgical Context.” The Cambridge Companion to Bach. Edited by John But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pp. 86-122. 미소장
6 "Musical Allegory" Reconsidered: Representation and Imagination in the Baroque 네이버 미소장
7 Stapert, Calvin R. My Only Comfort: Death,Deliverance, and Discipleship in the Music of Bach. Michigan: Eerdmans, 2000. 미소장
8 Stiller, Günther. Johann Sebastian Bach And Liturgical Life In Leipzig. Translated by Herbert J. A. Bouman, Daniel F. Poellot and Hilton C. Oswald. Edited by Robin A. Leaver. Berlin: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84. 미소장
9 Tatlow, Ruth. Four Cantatas for Pentecost. Liner notes to Bach Cantatas BWV 34, 59, 74, and 172. John Eliot Gardiner with the Monteverdi Choir and the English Baroque Soloists. Deutsche Grammophon, Archiv 463 544-2, 2000. 미소장
10 Wolff, Christoph. Johann Sebastian Bach: The Learned Musician. New York: W. W. Norton, 2000. 미소장
11 Young, W. Murray. The Cantatas of J. S. Bach: An Analytical Guide. North Caroline: McFarland & Company, 198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