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장소 정체성을 위한 도시 공공공간 유형 연구 / 서동진, 임종훈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02.28
수록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1권 제1호 통권37호 (2016년 2월), pp.89-9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6031807
주기사항
대등표제: (A)Study about Public Space Pattern for Place Identity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의 도시는 고도성장과 과밀화로 인한 정체성의 혼재 속에 있다. 다양한 기반시설이 구축되고, 사용자 요구와 편리함, 경제적 측면 등을 고려한 공공 공간과 건축물들이 계속 생산되고 있지만 환경적인 관점에서는 많은 유휴공간들이 생겨나며 일부는 부정적인 도시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사용자의 생활방식의 변화와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대면 접촉의 필요성이 감소함으로 공공공간의 활용이 저하됨과 더불어 그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즉 공공공간의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지역적, 기능적으로 각자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대인의 생활양식이나 행태가 반영된 공공공간의 활용을 위해 장소의 이미지 향상과 장소정체성의 확립을 통해 공간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공공공간의 유형을 파악하여 제시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장소의 개념, 구성요소를 통한 장소정체성의 구조와 확립에 관하여 고찰하고, 도시의 공공공간과의 연계를 위하여 도시의 공공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서 공공공간의 개념과 확장, 공공공간의 생성유형과 패러다임의 변화, 공공공간의 구성요소 특성을 파악하며, 현대 도시의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장소정체성과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의 관계성을 파악한다. 장소정체성과 공공공간의 관계성에 근거한 공공공간의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 도시의 장소정체성을 위한 공공공간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현대 도시에서 공공공간은 사용자요구에 따라 개념적인 확장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공공공간은 기본적으로 공간의 매개적인 의미를 지닌다.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들은 6가지로 분류되며,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와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통하여 4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시 공공공간에서 공공성의 향상에 대한 수요는 공공공간이나 공공건축물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의 계획이나 사적인 건축물에 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장소정체성을 기반으로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공공공간이 원활히 제 역할과 가치를 생산한다는 것을 연구 가설로 세우고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와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요소의 상관성을 통하여 현대 도시에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된 공공공간의 유형을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그 유형은 문화,휴식형 공공공간과 , 커뮤니티형 공공공간, 예술,디자인 중심형 공공공간, 그리고 매체형 중심형 공공공간의 네 가지로 구분 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공공공간 디자인과 도시 개발 전략 단계에 있어서도 보다 다양한 속성의 공간기획과 디자인의 접근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Contemporary cities are facing complex circumstances concerning ambiguity of identity because of density and rapid development. Various public spaces and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user’s need and convenience, economic value, as well as urban infrastructures. The change in lifestyle and ICT culture has led to an inference that human face-to-face interaction will eventually fade away leading to diminishing identity and usage of public space.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curse the problem that identity of public space losing its own meaning and contact, which is only focuses every function and convenience as locally.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tries to find types of public space through various features of space by suggesting lifestyle and behavi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creation of place identity and upgrading its image. (Method) Chapter 2 discusses the meaning of place and structural formation of place identity. Chapter 3 is a theoretical review of urban public space, such as concept of public space, formation types, features and paradigm shift, and subsequently searches for relationship between space elements. Chapter 4 deliberates on developing different types of public space for conceiving an identity for a city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es. (Results)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is proceeding with this conceptual expansion, depending on user’s need. It essentially has implications of intermediate space. Elements of place identity are classified into six types: physical elements, user-centered elements, meaning and symbolic elements, historical (time) elements, communication elements, and media ele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place identity and public space. It has inferred four types: culture and leisure–oriented public space, community-centered public space, art and design–based public space, and technology-embedded public space. (Conclusions) The expectation about improvement of publicity within public space not only lies in public buildings, but also in private houses as well as urban planning. With the hypothesis that public space can be working well under the condition of diversity based on place identity,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element of place identity and public space. Subsequently, it verifies and analyzes the adapted types of various contemporary public spaces: culture and leisure–oriented public space, community-centered public space, art and design–based public space, and technology-embedded public space. This research can be the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approaches in space design planning, urban design, and strategy making proces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세계박람회 공간특성 및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 2015밀라노세계박람회 전시연출 선호도 조사를 중심으로 Jihye Ha, Jihoon Kim, Jihyung Yoo pp.9-1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한국의 사회문화적 공익브랜드 공간디자인 연구 곽민경, 이재규 pp.21-3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건강검진센터의 공용공간 색채현황분석 연구 권오길, 이재규 pp.33-4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요리스 라만과 프랑수아 로쉬의 작업에 나타난 디지털 도구와 바이오미미크리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호현 pp.43-5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긍정적 청소년 개발 개념에 근거한 청소년 여가시설의 개선점 연구 이성미 pp.55-6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행동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 아동열람실의 시각적 공간 평가 류푸른, 이원재, 김억 pp.67-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모바일 탈착형 HMD기반 VR 콘텐츠 디자인 유형 연구 한정엽 pp.79-8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장소 정체성을 위한 도시 공공공간 유형 연구 서동진, 임종훈 pp.89-9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임종훈 pp.101-11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일본전통공간의 일시성과 토요 이토의 '일시적 건축'에 관한 연구 박경애 pp.113-1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참고문헌 (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 3. pp. 73 미소장
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 20. pp. 145 미소장
3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 3. pp. 163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