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중국 서남부 소수민족의 이야기였던 劉三姐 이야기는 시대적 변곡점마다 다양한 양식으로 변용되면서 전 중국을 대표하는 문화 콘텐츠가 되었다. 50년대 말 유삼저 이야기를 처음으로 대중화시킨 彩調劇 《유삼저》와 이를 개편한 歌舞劇 《유삼저》는 당시 시대상황과 결부된 계급투쟁과 문화충돌의 갈등구조로써 유삼저를 불굴의 투사로 형상화하여 대중성을 확보하였다. 혁명의 시기에 시대정신을 반영한 이러한 캐릭터는 1961년 영화 《유삼저》로 이어져 유삼저는 마침내 소수민족의 딸에서 전 중국 인민의 딸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문혁이 끝난 후 1978년에 유삼저 이야기는 다시 영화화 되었지만 1961년판 영화의 명성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어지는 2001년판 영화 《新劉三姐》는 노래를 없애고 이야기도 현대적으로 구성하는 변용을 보여주었으며, 2010년판 영화 《유삼저를 찾아서》는 유삼저 모티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이야기 구조로 인기를 끌었다. 이 두 영화는 개혁개방 이후 경제 성장의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여 《신유삼저》처럼 발랄하고 독립적이거나 《유삼저를 찾아서》처럼 사려 깊고 지적인 여성상을 강조하였다. 유삼저 이야기는 1998년과 2010년에 각각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는데, 연속극이라는 양식적 특성으로 인해 이야기의 변화가 많고 에피소드도 많이 첨가되었다. 기존 여러 양식에서는 언급되지 못했던 유삼저 구전 이야기가 다양하게 추가되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갈등구조도 추가하여 이야기 구성이 더욱 복잡하고 깊어졌다. 이에 비해 2004년에 첫 공연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성황리에 공연되고 있는 실경무대극 《印象·劉三姐》는 이야기의 서술을 배제하고 다섯 색깔의 서로 다른 ‘인상’을 통해 새로운 주제를 만들어내고 있다. 기존 유삼저 이야기 속의 갈등과 투쟁은 관객이 스스로 상상하게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자유와 평화,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것은 기존 양식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새로운 서사 기법으로서, 실경무대극의 양식적 특징과 張藝謀式 ‘인상’ 연출 기법에 따른 유삼저 이야기의 변용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유삼저 이야기의 흥성기는 1950년대 말에서 60년대까지, 19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까지, 그리고 1990년 말에서 현재까지로 삼분할 수 있는데, 각 흥성기마다 그 시대를 반영한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여 중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첫 번째 시기의 유삼저는 계급투쟁과 문화충돌을 헤쳐 나가는 불굴의 아이콘이었고, 두 번째 시기는 10년이 넘는 문화 암흑기를 견뎌내고 다시 일어선 민중 문화의 상징이었으며, 세 번째 시기는 경제적 풍요를 상징하고 급변하는 신세기와 어울리는 다양한 모습의 신세대 여성상이다.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유삼저(劉三姐) 이야기의 형성과 그 문화사적 의미 소장
2 劉三姐 이야기의 극본화 과정 연구 소장
3 예술과 산업으로서의 중국 실경무대극(實景舞臺劇)에 대한 평가와 전망 소장
4 최근 중국 곤곡현상에 대한 평가와 전망 소장
5 김정로, <이벤트무대 연출자로서의 장이머우: 인상시리즈를 중심으로>, 《월간 이벤트》, 2011년 2월호. 미소장
6 박화진, <극 공간의 확장ㆍ축소ㆍ전이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7 A Quest on Successful Factor of Zhang Yimou-styled and on Possibility of Korean-styled 소장
8 안영은, <소수민족 민간전설 ‘劉三姐’, 대형 실경공연 ‘印象 劉三姐’로 부활하다>, 《중국학연구》 제57집, 중국학연구회, 2011. 미소장
9 중국 대형실경공연(實景公演) : 임프레션 시리즈(印象系列)의 문화산업적 가치연구 소장
10 중국 <인상 유삼저>의 지역문화자원 활용사례연구 소장
11 이동배, <수상공연 콘텐츠의 성공요인 분석과 한국적 적용방안 연구 : 중국 실경(實景)공연 장이머우(張藝謀)의 인상(印象) 시리즈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12 광서성 민족문화의 문화브랜드화 현상 고찰 : 『인상印象·유삼저劉三姐』를 중심으로 소장
13 전영숙, <전통콘텐츠의 활용사례에 대한 연구: 중국 ‘유삼저’고사를 중심으로>, 《세계강문화국제학술대회》, 국제아시아민속학회, 2009. 미소장
14 過 偉, 《中國民間故事集成ㆍ廣西卷》, 北京: 中國ISBN中心, 2001. 미소장
15 國 藝, <音樂電視劇 《劉三姐》 即將問世>, 《當代電視》 第5期, 中國電視藝術家協會, 1998. 미소장
16 羅崗生ㆍ李蓮芳, 《劉三姐硏究資料集》, 南寧: 廣西人民出版社, 2007. 미소장
17 蘭世兵, <‘尋找劉三姐’的生態表達與話語啓示>, 《賀州學院學報》 第29卷: 第3期, 賀州學院, 2013. 미소장
18 魯 煤, <中國劇協擧行 《劉三姐》 座談會>, 《戱劇報》 第17期, 中國戲劇協會, 1960. 미소장
19 覃桂清, 《劉三姐縱橫》, 南寧: 廣西民族出版社, 1992. 미소장
20 覃詠梅, <爲“劉三姐”喝彩>, 《廣西日報》, 2009-06-11. 미소장
21 鄧凡平, 《劉三姐劇本集》, 南寧: 廣西民族出版社, 1996. 미소장
22 鄧凡平, 《劉三姐評論集》, 南寧: 廣西民族出版社, 1996. 미소장
23 鄧凡平, 《劉三姐山歌集》, 南寧: 廣西民族出版社, 1996. 미소장
24 莫林虎, <從 《劉三姐》 到 《印象·劉三姐》―一個現代大眾文化文本分析>, 《集美大學學報》 第3期, 集美大學, 2005. 미소장
25 文 碩, 《中國音樂劇史(近代卷)》, 香港: 東方之子出版社, 2009. 미소장
26 潘 琦, 《劉三姐文化品牌研究》, 南寧: 廣西人民出版社, 2002. 미소장
27 潘其旭, 《壯族歌圩研究》, 南寧: 廣西人民出版社, 1991. 미소장
28 賓 昕, <劉三姐民族文化形象的建構與構成研究>, 廣西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2. 미소장
29 石一寧, <重寫‘劉三姐’>, 《南方文壇》 第1期, 廣西文聯, 2008. 미소장
30 宜州市地方志纂委員會, 《宜州市志》, 南寧: 廣西人民出版社, 1998. 미소장
31 梁 平, <電影 《劉三姐》 主演, 《新劉三姐》 “不倫不類”>, 《羊城晚報》, 2001-02-27. 미소장
32 王 珂, <《印象ㆍ劉三姐》 敘事的現代性研究>, 漳州師範學院 석사학위논문, 2012.06. 미소장
33 龍傑鋒, <歌舞劇 《劉三姐》 的創作及賞析>, 《廣西電視網》, 2009-04-22. 미소장
34 韋楊波, <20世紀90年代以來劉三姐文化研究綜述>, 《大眾文藝(理論)》 第20期, 河北省群眾藝術館, 2009. 미소장
35 蔣士銓, 《蔣士銓戱曲集》, 北京: 中華書局, 1993. 미소장
36 張 俠, <舒暢新版劉三姐光演不唱>, 《天津網》, 2010-07-27. 미소장
37 趙 冰, <從 《劉三姐》 到 《印象ㆍ劉三姐》>, 《中國民族》 第Z1期, 民族團結雜志社, 2009. 미소장
38 趙偉, <印象劉三姐的歷史邏輯與文化語境分析>, 廣西民族大學 碩士學位論文, 2008. 미소장
39 鍾敬文, 《鍾敬文民間文學論集(上)》, 上海: 上海文藝出版社, 1982. 미소장
40 何其芳, <優美的歌劇 《劉三姐》>, 《文學評論》 第5期, 中國社會科學院文學研究所, 1960. 미소장
41 <民間文藝發出了新的思想光輝>, 《光明日報》 1960-8-2. 미소장
42 <又新又美的歌舞劇 《劉三姐》>, 《人民日報》 1960-9-8. 미소장
43 <印象ㆍ麗江―演出特點>, baidu.com, 《百度百科》.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