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우리사회가 심각한 사회문제 가운데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범죄문제를 근대도시발전 패러다임의 한계에서부터 접근하고자 하였다. 근대도시발전 패러다임은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에 기초를 둔 경제성장 일변도의 양적 가치를 도시성장의 핵심지표로 삼고 있음을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도시발전은 그 자체적으로 성장한계에 직면하고 있고, 아울러 사회적 형평성과 삶의 질과 같은 질적 도시발전 수준은 떨어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산업화ㆍ도시화된 우리사회에서 범죄와 무질서 등의 문제가 감소하기보다는 오히려 심화되었고 이로 인한 개인의 삶의 질은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근대도시발전 패러다임의 한계에서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요소(경제, 환경, 사회) 가운데 하나인 사회적 지속가능성 속에서 범죄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즉,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기본원칙의 하나인 삶의 질의 핵심지표는 범죄 등과 관련된 안전문제이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어떠한 도시가 안고 있는 범죄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해당 도시에 대한 일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도시발전 수준의 유형화(양적 도시발전과 질적 도시발전의 결합)를 시도하였고, 거기에서 범죄문제 등에 대해 진단할 것을 제안하였다.
생각건대, 최근 범죄예방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이 보다 체계적ㆍ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절한 도시발전 수준의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범죄문제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산물이기 때문에 해당 도시에 내재하고 있는 전체적인 특징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본다. 따라서 1세대 CPTED와 2세대 CPTED의 전략은 이러한 도시발전 수준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특히,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2세대 CPTED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사회적 지속가능성)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의 조화로운 연계를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사이버공격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사이버안전본부' 설치를 위한 개념적, 규범적 접근 | 최은하 | pp.9-29 |
|
|
경찰 조직 내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에 관한 고찰 | 강동범, 김우준 | pp.33-58 |
|
|
경찰조직 내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 | 박선영 | pp.61-92 |
|
|
도시발전 패러다임과 CPTED에 관한 연구 | 최선우 | pp.95-125 |
|
|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 및 공개제도의 효과성 연구 | 이정민, 조윤오 | pp.129-157 |
|
|
순직·공상 경찰공무원을 위한 지원 문화 확산 방안 | 김지선 | pp.161-194 |
|
|
정보경찰의 공공갈등 관리에 대한 인식 연구 | 문경환, 이창무, 김택수 | pp.197-229 |
|
|
중국 공안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 중앙·지방 공안대학의 혁신시도를 중심으로 | 상서교, 조현빈 | pp.233-25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영,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의 제도화방안(Ⅲ): 학교 및 학교주변 범죄예방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 미소장 |
2 | 김리영, “압축도시의 공간구조 특성과 지속가능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3 | Fear of Crime and ‘Forting Up’ of the Residential Community | 소장 |
4 | Articles : Urban Regeneration and Crime Prevention -Focus on the Relations amo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CPTED, Incivilities, and Fear of Crime- ![]() |
미소장 |
5 | Effec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on the Fear of Crime | 소장 |
6 | 새로운 도시발전 패러다임 특징과 성장편익 공유형 도시발전 전략의 구성 | 소장 |
7 | 김종완, “인구변화에 따른 도시성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8 | Articles : The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Gated Communities | 소장 |
9 | 노현선, “아파트 거주자의 범죄불안감과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분당 신도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미소장 |
10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 | 미소장 |
11 | 민수홍, “사회 안전과 삶의 질”, 「한국사회학회 특별 심포지엄」, 2009. | 미소장 |
12 | 지역사회의 범죄예방을 위한 CPTED의 효과성 고찰 | 소장 |
13 | A Study on Third Generation CPTED Strategy of Vulnerable Dwelling Area | 소장 |
14 | 송상열, “비성장형도시의 쇠퇴원인 분석과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15 | 송주연, “한국의 도시성장과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16 | The Triple Causal Relationship among Economic Growth-Inequality-Poverty | 소장 |
17 | 이지순, “모든 이가 행복한, 지속 가능한 녹색성장”, 이지순・서용석(편). 「미래세대의 지속가능발전조건1」, 박영사, 2012. | 미소장 |
18 | Recognition of Local Residents on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Focused on the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 ![]() |
미소장 |
19 |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 소장 |
20 | 중앙일보사, 「전국 74개시 비교평가 자료집: 삶의 질 입체분석」, 1995. | 미소장 |
21 | An Empirical Study on Measuring Quality of Life:A Test of 2012 OECD Better Life Index (BLI) Model | 소장 |
22 | 최병두, “지속가능한 발전, 지속가능한가”, 박삼옥 외. 「지식정보사회의 지리학 탐색」, 한울, 2012. | 미소장 |
23 | Instabilities in the Korean Urban Population Growth | 소장 |
24 | 하재룡, “한국 중소도시의 성장유형과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미소장 |
25 | (삶의 질 : 법률서비스) 형사사법 시스템의 혁신과 법률서비스 | 소장 |
26 | 홍현옥, “한국 도시상장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미소장 |
27 | Congress for the New Urbanism/안건혁・온영태(역), 「뉴 어바니즘 헌장: 지역, 근린주구・지구・회랑, 블록・가로・건물」, 한울, 2003. | 미소장 |
28 | D. Harvey/최병두・이상률・박규택(역), 「희망의 공간」, 한울, 2001. | 미소장 |
29 | J. Jacobs/유강은(역),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2014. | 미소장 |
30 | Social sustainability and social acceptance in technology assessment: A case study of energy technologies ![]() |
미소장 |
31 | Barron, L. & Gauntlett, E., Housing and Sustainable Communities Indicators Project: Stage 1 Report-Model of Social Sustainability . Report of Housing for Sustainable Community: the State of Housign in Australia, 2002. | 미소장 |
32 | Burkhalter, L and Castells, M., "Beyond the Crisis: Toward a New Urban Paradigm", in Lei Qu. et al.(eds) The New Urban Question: Urbanism Beyond Neo-Liberalism , International Forum on Urbanism, 2009. | 미소장 |
33 | Conklin, John E., Criminology , Boston: Allyn and Bacon, 1998. | 미소장 |
34 | Elkington, J., Cannibals with Forks: the Triple Bottom Line of 21st Century Business. Oxford, UK: Capsotone, 1997. | 미소장 |
35 | Dixon, T., Putting the S-Word Back into Sustainability: Can We be More Social?. UK: Berkeley Group, 2011. | 미소장 |
36 | Friedmann, J. & Alonso, W., Regional Policy: Readings in Theory and Applications . Massachusetts, USA: the MIT Press, 1975. | 미소장 |
37 | Hobsbawm, Eric, Globalisation, Democracy and Terrorism, London:Abacus, 2008. | 미소장 |
38 | Jeffery, C. 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Beverly Hill s, CA: SAGE Publications, 1971. | 미소장 |
39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A Management Perspective ![]() |
미소장 |
40 | Moor, Mark H., et al., Dangerous Offenders: The Elusive Target of Justice ,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1984. | 미소장 |
41 | Newnam, O.,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 N.Y.: Macmillan, 1972. | 미소장 |
42 | OECD,. Measuring Well-Being and the Progress of Society , 2012. | 미소장 |
43 | Sachs, I.,. Social Sustainability and Whole Development. in Becker, E. & Jahn, T. (eds). Sustainability and the Social Science , N.Y.: USA: Zed Books and UNESCO, 1999. | 미소장 |
44 | Saville, G. and Cleveland, G., "Second-Generation CPTED: Rise and Fall of Opportunity Theory", in Randall I. Atalas(ed.), 21st Century Security and CPTED: Design for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 N.Y.: CRC Press, 2013. | 미소장 |
45 | UN-HABITAT, Planning Sustainable Cities: Global Report on Human Settlements(2009). 2009. | 미소장 |
46 | Verbrugge, L. B. & Taylor, R .B., Consequences of Population Density: Testing New Hypotheses , Maryland: John Hopkins University, 1976. | 미소장 |
47 | Walker, Samuel, Popular Justice: A History of American Criminal Justice ,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 미소장 |
48 | 다음백과((http://100.daum.net/encyclopedia). | 미소장 |
49 | JTBC, 2015. 10. 28. | 미소장 |
50 | OBS News, 2015. 11. 2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