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문학 연구의 새로운 길 찾기, 근대 매체 연구의 함의와 전망 | 서승희 | pp.7-36 | ||
문학 제도의 경계와 자본의 월경 : 문화연구자가 묻는 근대성과 (인)문학 | 권창규 | pp.37-74 | ||
'문학 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위상학 : 「朝鮮·台湾·中国新鋭作家集」(1936.1)과「朝鮮現代作家特輯」(1937.2)을 중심으로 | 신지영 | pp.75-141 | ||
번역연구라는 시좌(視座)의 보람 | 구인모 | pp.143-171 |
|
|
수전노·탕자·사회주의자 :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식민지 자본주의 | 강지윤 | pp.175-212 | ||
제국의 외부에서 사유하기 : 이태준의『불멸의 함성』론 | 권은 | pp.213-247 | ||
월남 작가의 자의식과 권력의 알레고리 : 황순원의「차라리 내목을」과 '신라 담론'의 문화사적 맥락 | 임진영 | pp.249-283 | ||
고은 초기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특징 연구 | 김효은 | pp.285-310 | ||
체제의 시간과 저자의 시간 : 『서준식 옥중서한』연구 | 임유경 | pp.311-348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每日申報 | 미소장 |
2 | 東亞日報 | 미소장 |
3 | 朝鮮日報 | 미소장 |
4 | 朝鮮中央日報 | 미소장 |
5 | 中央日報 | 미소장 |
6 |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1975. | 미소장 |
7 | 김성연, 『영웅에서 위인으로: 번역 위인전기 전집의 기원』,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8 | 김욱동, 『근대의 세 번역가-서재필ㆍ최남선ㆍ김억』, 소명출판, 2010. | 미소장 |
9 | 김욱동, 『번역과 한국의 근대』, 소명출판, 2010. | 미소장 |
10 | 김욱동, 『번역과 한국의 근대』, 소명출판, 2010. | 미소장 |
11 | 박진영, 『번역과 번안의 시대』, 소명출판, 2011. | 미소장 |
12 | 박진영, 『책의 탄생과 이야기의 운명』,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13 | 박헌호, 「‘문학’ ‘史’ 없는 시대의 문학연구」, 『역사비평』 제75호, 역사비평사, 2006. | 미소장 |
14 | 손성준, 『영웅서사의 동아시아 수용과 중역의 원본성』,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15 | 조재룡, 『번역하는 문장들』, 문학과지성사, 2015. | 미소장 |
16 | 최라영, 『김억의 창작적 역시와 근대시 형성』, 소명출판, 2014. | 미소장 |
17 | 테레사 현, 『번역과 창작: 한국 근대 여성 작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박지영 외, 『젠더와 번역』,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18 | 식민지 문학 연구의 역사주의적 전환과 전망 | 소장 |
19 | 井上健 編, 『翻訳文学の視界-近現代日本文化の変容と翻訳』, 東京: 思文閣出版, 2012. | 미소장 |
20 | Comparative Literature Prizes for 1998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