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신입생 35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의 두 차원(애착불안, 애착회피)이 거절민감성과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외로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개별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측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자존감이 부분매개 하는 연구모형이 완전매개를 가정한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측변인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준거변인인 외로움에 주는 총 효과는 애착회피가 더 크고, 매개효과는 애착회피보다 애착불안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외로움의 변량 66%는 성인애착, 거절민감성, 자존감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변수가 외로움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이버폭력 연구 동향과 과제 : 사이버폭력 척도를 중심으로 정여주, 김민지, 김빛나, 전은희, 고경희 pp.1-23

상담 효과 및 이용편의에 관한 후기가 잠재적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예지, 김계현 pp.25-37

집단따돌림 피해자들의 극복 과정 유형 서영석, 안하얀, 이채리, 박지수, 김보흠, 성유니스 pp.39-64

자기대상 욕구유형에 따른 대인관계 패턴 분석 :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SASB)모형을 이용하여 김안나, 정남운 pp.65-88

상담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신건강의 관계 : 진정성의 조절효과 이희경 pp.89-106

자아분화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역할 윤성민 pp.107-123

한국 단축형 성역할 척도(KSRI-SF; Korean Sex Role Inventory-Short Form) 타당화 연구 김지현, 하문선, 김복환, 하정혜, 김현정 pp.125-147

감사 연구동향 및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신애자, 김용수 pp.149-168

대인관계 반향메시지를 통한 집단원간 전이 분석 : 사회관계모형(SRM)을 기반으로 강민철, 김수임 pp.169-186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중심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강간통념의 관계 김재은, 김지현 pp.187-205

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박미경, 김은하 pp.207-225

여성의 자발적 경력변경(Voluntary Career Change) 영향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김나래, 이기학 pp.227-248

대학생의 소명과 학과만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지선, 육정원, 김이준, 김봉환 pp.249-264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과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 신지원, 양난미 pp.265-286

운동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 정체성을 통한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청소년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안아주, 김은하 pp.287-307

대학생의 종교적 대처 군집유형에 따른 부정정서와 문제성 음주 심은정, 신선임 pp.309-325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진희, 최연실 pp.327-343

대학신입생의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자존감의 매개효과 윤석은, 김명주, 강민준, 박재현, 하창순 pp.345-367

대학생의 학업참여에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에 대한 혼합모형 분석 라영안, 이주영, 김원호 pp.369-390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 내적속박감과 외적속박감의 매개효과 김정호, 홍혜영 pp.391-413

노년기 부부관계의 질, 우울, 삶의 만족도간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과 성별다집단분석 이주연, 하상희 pp.415-435

정서표현 양가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 문화성향의 중재효과 윤희원, 허재홍, 오충광 pp.437-453

실존적 자기의식 증진을 위한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 경험연구 임명희, 한재희 pp.455-475

한국기업 구성원의 팔로워십 유형화 : Q 방법론 적용 이정미, 이윤주 pp.477-502

병사의 자아정체감과 군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최은숙, 김완일 pp.503-519

참고문헌 (8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계수 (201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미소장
2 김누리 (2015).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및 외로움이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미소장
3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4 김윤영 (2010). 여자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을 매개로.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미소장
5 김정운, 김영희 (2009).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4), 2287-2301. 미소장
6 김진선 (2009). 거절 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자기 침묵을 매개변인으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미소장
7 김진아 (2002). 자존감과 기분통제가 자기조절의 실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미소장
8 문민경 (2013).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미소장
9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소장
10 박은희 (2014).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미소장
11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Self-esteem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소장
12 박희경 (2011). 성인애착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미소장
13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미소장
14 Attachment to Parents 소장
15 성정아 (2013).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이 친밀감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미소장
16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소장
17 이복동 (2000).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만족: 거부민감성과 귀인 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18 이선민 (2014).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외로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미소장
19 이소영 (2013).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미소장
20 대학생의 애착회피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소장
21 Attachmen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Adolescence 네이버 미소장
22 애착과 독립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소장
23 Attachment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소장
24 황지선 (2013). 성인 애착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 과잉활성화, 정서 비활성화, 외로움 및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미소장
25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네이버 미소장
26 홍세희 (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와 응용. 워크샵 교재. 미소장
2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28 Primed Relational Schemas as a Source of Self-Evaluative Reactions 네이버 미소장
29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네이버 미소장
30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네이버 미소장
31 Loneliness, Attachment, and the Perception and Use of Social Support in University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32 Bowlby, J. (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33 Attachment in Psychotherapy by David J. Wallin 네이버 미소장
34 Brennan, K. A., Clac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S. Rholes(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미소장
35 Cacioppo, J. T., Hawkley, L. C., Ernst, J. M., Burleson, M., Berntson, G. G., & Nouriani, B. (2006). Loneliness within a nomological net: An evolutionary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0, 1054-1085. 미소장
36 Cacioppo. J. T., & Patrick, W. (2013). 인간은 왜 외로움을 느끼는가: 사회신경과학으로 본 인간 본성과 사회의 탄생[Loneliness: Human nature and the need for social connection]. (이원기 역). 서울: 민음사(원전은 2008에 출판). 미소장
37 Civitci, N., & Civici, A. (2009). Self-esteem as mediator and moderator of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7, 954-958. 미소장
38 Attachment style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네이버 미소장
39 Attachment styles, emotion regulation, and adjustment in adolescence. 네이버 미소장
40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7).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미소장
41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loneliness. 네이버 미소장
42 Attachment styles, social skills and loneliness in young adults 네이버 미소장
43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네이버 미소장
44 Rejection sensitivity levels with respect to attachment styles, gender, and parenting styles: A study with Turkish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45 Adult Romantic Attachment: Theoretical Developments, Emerging Controversies, and Unanswered Questions 네이버 미소장
46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네이버 미소장
47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48 [Relationships between explicit/implicit self-esteem discrepancy and measures of depression, loneliness, and in-group favoritism]. 네이버 미소장
49 "All or nothing":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curvilinear effects of partner support. 네이버 미소장
50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ree cultural groups 네이버 미소장
51 Self-Silenc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s 네이버 미소장
52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loneliness: A literature review 네이버 미소장
53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네이버 미소장
54 Secure and defensive high self-esteem. 네이버 미소장
55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Working Models, Affect Regul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네이버 미소장
56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Young Adulthood: A Test of Two Models 네이버 미소장
57 The Effect of Varying Degrees of Nonnormalit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네이버 미소장
58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and College Student Distress: The Mediating Role of Problem Coping Styles 네이버 미소장
59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네이버 미소장
60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for loneliness during adolescence. 네이버 미소장
61 Attachment, Social Competencies,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Process in Psychotherapy 네이버 미소장
62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rototypes, self-esteem, loneliness and causal attributions in Chinese trainee teachers 네이버 미소장
63 Parent-child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네이버 미소장
64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네이버 미소장
65 Loneliness in High Risk Adolescents: The Role of Coping, Self-Esteem, and Empathy 네이버 미소장
66 Adult attachment style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curiosity and cognitive closure. 네이버 미소장
67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with College Freshmen's Academic Performance and Persistence 네이버 미소장
68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and anger express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a dyadic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69 Predicting friendship quality with rejection sensitivity and attachment security 네이버 미소장
70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ch Methods, 40(3), 870-891. 미소장
71 The separateness of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in childhood 네이버 미소장
72 The effects of loneliness and coping style on academic adjustment among college freshmen 네이버 미소장
73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네이버 미소장
74 New directions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75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네이버 미소장
76 On the Reciprocal Association Between Lonel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77 The Interplay of Lonel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Across Adolescence: Exploring the Role of Personality Traits 네이버 미소장
78 Watson, J., & Nesdale, D. (2012).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withdrawal, and loneliness in young adul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8), 1984- 2005. 미소장
79 Adult Attachment, Social Self-Efficacy, Self-Disclosure, Loneliness, and Subsequent Depression for Freshman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네이버 미소장
80 The Role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in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네이버 미소장
81 Roots of Adult Attachment 네이버 미소장
82 Zhao, J., Kong, F., & Wang, Y. (2012). Self-esteem and humor style as mediators of the effects of shyness on lonelines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6), 686-690. 미소장
83 Zhao, J., Kong, F., & Wang, Y. (2013).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yness and loneli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4(5), 577-581. 미소장
84 Relational Victimization, Lonel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direct Associations Via Self and Peer Reports of Rejection Sensitivity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