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의 경쟁과 협력 / 문희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02.29
수록지명
전자무역연구 = E-trade review. 제14권 제1호 (2016년 2월), pp.69-94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6045748
주기사항
대등표제: (The)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Korea's Eurasia Initiative and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연구목적: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유라시아와 관련하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의 주요내용을 살펴봄으로써 2개 정책상의 경쟁과 협력을 연구하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적 추진에 기여하는 것이다.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유라시아지역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하나의 대륙, 평화의 대륙, 창조의 대륙을 완성하는 것이고, 이 전략이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2개의 전략은 협력과 경쟁을 필요로 하고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논문은 총 5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목적을 기술하고 있으며, 제2장은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분석을 다루고 있다. 제3장은 한국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주요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주요 핵심사업의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제4장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분석하였는데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과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구축을 중심으로 모색하고 있다. 제5장은 결론을 내리고 있는데 본 논문을 요약하면서 경쟁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결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하나의 대륙, 평화의 대륙, 창조의 대륙에 근거하고 있고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2개의 전략이 아시아지역에 치중하고 있고 유라시아를 통한 물류네트워크 구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살펴본 결과 중국은 상당히 오랜 기간을 통하여 정책을 수립하여 왔고 특히 21세기 해상 신실크로드 구축계획을 수립하기 이전에 이미 대서양 목걸이 전략을 전개함으로써 주요항만의 이용권을 확보하고 있어 일대일로정책에 따른 물류, 통신, 에너지 망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한국은 장기적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첫걸음을 딛게 되었으며, 중국의 많은 성과에 비해 아직은 초라한 성적이다.

독창성/가치: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을 비교분석함으로써 Win-Win게임으로서 경쟁과 협력을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을 위해서는 미국, 러시아, 일본, 북한의 역할론을 제시하고 있다. 유라시아 지역에서 중국,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라시아 지역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정립하고 물류, 에너지, ICT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의적절하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경쟁과 협력차원에서 이러한 전략을 비교분석하고 있는 논문이 없다는 점에서도 본 논문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war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Korea’s Eurasia Initiative by studying possibilities of mutua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y analyzing the core contents of Korea’s Eurasia Initiative and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Both strategies need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s Eurasia Initiative is aiming at completing ‘One Continent,’ ‘Creative Continent,’ and ‘Peaceful Continent’ through construction of effective network in Eurasia region and this initiative has close relations with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I presents the introduction and explain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II analyzes literature survey on Korean Eurasia Initiative and Chines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Chapter III deals with the main contents of the Eurasia Initiative and the outcomes of main logistics projects. Chapter IV deals with China’s strategy in view of the Silk Road Economic Belt and the 21st-century Sea New Silk Road. Chapter V concludes the study and suggest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both strategies.

Findings: Korean Eurasia Initiative is based on ‘One Continent,’ ‘Creative Continent,’ and ‘Peaceful Continent’ and has a close relation with Chinese One Belt, One Road strategy, considering both are focused on the Asia region and pertain to the logistics network across Eurasia. China has been working on th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for a long time and China has the possibility in winning in Eurasia competition by securing the ports in sea route of the Atlantic in particular as China undergone the Pearl Necklace Strategy before China plans twenty-first century Sea New Silk Road. However, Korea undergone the first step for long term Eurasia Initiative, so there are a few outcomes of this strategy in spite of many outcomes of Chines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Originality/Value: As a distinctive attribute, this study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s a win-win situation by comparing the core contents of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and Korea’s Eurasia Initiative. The study also emphasizes on the roles of the United States, Russia, Japan, and South Korea in the success of the Eurasia Initiative. These countries have a key role to play in Eurasia, and they have plans in place for improving the area and bolstering its logistics, energy, and ICT networks. This study also carries academic value, considering there is no prior study dealing with the comparative works of these strategies in view of mutua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명구(2015), “러시아 극동지역 개발정책을 통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논책, 1-23. 미소장
2 지역연구 단위로서의 유라시아에 대한 일고 소장
3 김경민(2015.03.19.), “亞-유럽-阿잇는 ‘일대일로’ 본격화…‘팍스 시니카’ 개막”, 이데일리 . 미소장
4 김규연(2015), “중 일대일로 전략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및 과제”, 북한이슈, KDB산업은행, 88-100. 미소장
5 Развитие Арктики и морской путь Северного Ледовитого океана: Стратегические интересы России и Евразиская инициатива Кореи 소장
6 China's ‘One Belt·One Road’ Project and Political·Economic Implication : The Peried from Silk Road Economic Belt 소장
7 Xi Jin ping(習近平)'s Culture-Policy and Cultural strategy of ‘One Belt One Road’ 소장
8 A Study on the Project "One Belt, One Road": The Background and the Key Issues 네이버 미소장
9 China's Diplomacy from the view of Geopolitics: 'One Belt, One Road' strategy 소장
10 서종원·안병민·이옥남(2014),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한 실크로드 익스프레스 구축방향”,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한국교통연구원, 1-262. 미소장
11 손경원·문희철·임성범(2015), “유라시아 철도물류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지역연구, 1, 충남대학교 유라시아연구센터, 47-65.[Son, Gyeong-Won, Hee-Cheol Moon and Seong-Beom Lim(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Railway Logistics in Korea’s Eurasia Initiative,” Journal of Eurasia Regional Studies, 1, 47-65.] 미소장
12 A Policy and Strategies on the Rajin-Khasan Project for Linking TKR to TSR 소장
13 외교통상부(2015),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21-32. 미소장
14 이봉걸(2015), “중국의 꿈 일대일로 프로젝트 현황과 영향”, Trade Focus, l14(16),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2. 미소장
15 이선영·문희철(2015), “중국의 일대일로정책,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및 러시아 신동방정책의 비교”, 유라시아지역연구, 1, 충남대학교 유라시아연구센터, 91-108.[Lee, Sun-Young and Hee-Cheol Moon(2015), “The Comparison of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and Korea’s Eurasia Initiative and Russia’s New Estern Policy,” Journal of Eurasia Regional Studies, 1, 91-108.] 미소장
16 Eurasian Initiative and Putin`s New Eastern Policy: At the Sub-regional Energy Cooperation 네이버 미소장
17 A Study on Eurasia Initiative and Cooperation Strategy 소장
18 Study on Economic Cooperation Strategy of China`s “Silk Road Economic Belt” 소장
19 이해정(2015), “최근 북중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강화된 한중관계,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달성 기반으로 활용하자!”, 현안과 과제, 15-30호, 현대경제연구원, 1-8. 미소장
20 임영식·박두정(2015), “중국 일대일로 추진동향 및 시사점”, Issue Report, 2015-지역이슈-09, 한국수출입은행 해외지역연구소, 1-13. 미소장
21 조동호(2015),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단순한 외교 비전이 아닌 우리 경제의 절실한 희망”, 월간교통, 210, 한국교통연구원, 2-4. 미소장
22 조한범·김규륜·김승철·김영식·안병민·이성규(2014),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현을 위한 한·러 협력 방안, 통일연구원. 미소장
23 주신전(2015), “중국 일대일로전략의 추진현황과 향후전망”, 유라시아지역연구, 1, 충남대학교 유라시아연구센터, 1-20.[Zhou, Xinquan(2015),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China’s One Blet and One Road Strategy,” Journal of Eurasia Regional Studies, 1, 1-20] 미소장
24 (The)Prospect of the China's 'One Belt, One Road' Strategy in Southeast Asia :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소장
25 최석범(2015),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적 추진전략”, 유라시아지역연구, 1, 충남대학교 유라시아연구센터, 67-89.[Choi, Seok-Beom(2015), “Successive Strategies of Eurasia Initiative in Korea,” Journal of Eurasia Regional Studies, 1, 67-89] 미소장
26 A Study Geo-Cultural Developments of the Central Asia 소장
27 “일대일로” 경제회랑 건설 추진 동향 네이버 미소장
28 巴殿君·朱振恺(2015), “論一帶一路戰略內涵,風險及前景-以國際關係爲視角”, 湖北社會科學, 第10期, 38-42. 미소장
29 管淸友·張媛·吳艶艶(2015), “萬亿基建,一帶一路大戱漸入高潮”, 中國科技財富, 第4期, 30. 미소장
30 董紅·林慧慧(2015), “一帶一路戰略下我國對外貿易格局變化及貿易摩擦防範”, 中國流通經濟, 第5期, 北京物資學院, 119-124. 미소장
함께보면 좋은 자료 Clos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