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오늘날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디자인 개발 사업은 수많은 기업에서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각각의 기업마다 제품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다양한 디자인 개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사업 중 하나로 디자인공모전을 들 수 있다. 국내 정기적 디자인공모전 중 하나인 한일전기 디자인 공모전은 기업의 디자인발전과 장학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품디자인 분야에 우수한 디자인을 발굴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일전기 디자인공모전 제1회~6회까지의 출품작 중 대표적인 성공사례를 연구하여 기업과 공모자와의 교류와 상호 발전방향에 대한 해법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부 주도 디자인 공모전과 민간 기업 주도 디자인공모전의 특징과 올바른 방향에대해 살펴본다. 지난 6년에 걸친 한일전기 디자인공모전은 총 1,590개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입선에서 대상까지의 총163명의 수상자를 배출하였으며 국내 산업디자인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81개 대학에서 출품하였다. 공모전 출품 학생들은 본인의 실력을 공모전 출품을 통하여 가늠하고 그에 따른 경력관리, 디자인 실력향상에 목적을 두어 출품하며 공모전상금이 출품작을 증가시키는 절대적 요인이 아니라는 것과 반드시 비례하지도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주요 수상작중 실리콘 미니믹서, 30°믹서, 커브(curve)형 레인지후드에 대한 개발 가능성과 사업아이템으로써의 발전 가능성에대해 분석하였으며 기업과 학생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디자인공모 사업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Design development projects that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of today's enterprises can be called a top priority in many companies. There are various designs of each development project being carried out in every company can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sign Competition as one of the leading businesses. One of the regular national design competition Hanil Electric Design Competition has as the purpose of discovering the excellent design in the product design field for domestic students as part of a corporate design development and scholarship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s a major success story of the entry of six years proposed exchange and mutual development direction and solutions for companies and students. It looks at the correct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competition proceeding from governments and companies to do so.

Hanil Electric Design Competition over the past six years has been receiving a total of 1,590 works, Has won a total of 163 people were exhibited in 81 national universities have been opened in Industrial Design. Contest Entry Students could see that evaluates their skills through competitions and exhibition design, and career management skills that accordingly aims Contest prize is not the absolute factor for increasing the entry does not even necessarily proportional. In additio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otential and business potential of silicon mini-mixer, 30 mixer, Curved range hood of the major winners were It propos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design competition that can satisfy both the company and the stud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자인 공모전의 성공사례 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Success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esign Competition : Mainly with a hanil electric design competition : 한일전기 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황정행, 우강호 pp.633-645

여성의 외모추구전략과 자기연출성향이 대인매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Woman's Strategy of Appearance Pursuits and Self-Dramatizing Tendency on the Interpersonal attraction 홍수남 pp.619-631

게임커뮤니케이션의 놀이분류에 따른 쾌감요소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leasure Elements according to Play Classification of Game Communication on Preference : Focusing on Online Games : 온라인게임을 중심으로 Ham, Ki Hun, Cho, Dong Min pp.607-617

알레고리 개념으로 고찰한 스마트폰 앱 활용이 결합된 평면 미술작품 = Study on Art works combined with Sart phone app through the theory of Allegory : primarily based on art works of <white and black uncommon object-closed allegory> : <하얗고 검은 이반-은폐된 알레고리>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하임성, 정명희 pp.595-606

3D프린팅 제조방식에 따른 신(新)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 (The)Type and Characteristic of 3D Printing Expression 하은아, 조재경 pp.583-593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시퀸(Sequin)의 표현 유형과 패션 이미지 연구 = (A)study on expression type and fashion image of sequin in the fashion collections 최유진, 최정화 pp.573-582

스마트 글래스 설계를 위한 남성용 안경프레임 사이즈 시스템 개발 = Spectacle Frame Size System Development for Smart Glass design 최영림 pp.563-572

친환경 소구의 그린광고에서 소비자 해석수준의 조절과 감정 적합성의 매개 효과에 대한 연구 =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Construal and Mediating Effects of Feeling Right in Attitudes towards Green Advertising with Eco-friendly Claims 최승희, 이철영 pp.549-561

스토리텔링을 접목시킨 지역 특산물 홍보관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Directivity of Local Produce Exhibition Hall by Storytelling : focused on 'Goodtrae Agricultural Products Museum' : 부여 굿뜨래 홍보관을 중심으로 최길흥, 장광집 pp.537-548

농업인 포장디자인 교육 의식 분석을 통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표준안 개발 =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Standard for Capability Strengthening by Analysis of Farmer's Educational Awareness of Package Design 진혜련, 채혜성 pp.523-536

치매노인을 위한 빛의 치료적 효과 = (A)Study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Light for Demented Elderly : focused on the visual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 effects : 시각 및 생리학적 기능 지원을 위한 치료적 효과를 중심으로 지수인 pp.509-522

스마트폰 앱 마켓의 발전과 추이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smart-phone application market 주필상, 반영환 pp.495-507

지속가능한 혁신적 소재가공법의 디자인 속성과 가공 전략 = Design Attributes and Production Strategies of Sustainable and Innovativ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주대원 pp.479-494

비통제적 미술품 경매시장 개선방안 연구 = (A)Study of Alternative Plans for Uncontrollable Art Auction Markets 조명계 pp.461-478

다이아몬드 반지에 대한 역사적 고찰 = Historical Research on Diamond Rings : focused on diamond cutting shape and stone setting technique : 다이아몬드의 커팅 형태와 세팅기법을 중심으로 정세진 pp.449-460

현대예술장신구의 다이아몬드 = Diamond in Contemporary Art Jewelry 정세진 pp.437-448

방송플랫폼 융합의 국제적 흐름과 MCN에 대한 연구 = (A)Study on Global Unifying Trend in Broadcasting Platform and MCN : Focused on Exploration of Breakthrough and Support in Overseas Korean Broadcasting Company : 해외한국어방송사의 돌파와 지원을 위한 모색을 중심으로 장우린 pp.423-435

인지심리관점에서의 베드헤드콘솔 디자인 평가원칙에 관한 연구 = (A)Study on Bed head console of Design evaluation principle based on Cognitive Perspective 임혜원, 정도성 pp.411-422

디자인 씽킹 관점에서의 커뮤니티 아트 사례 분석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Development and Analysis on Community Art Cases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임수연 pp.399-409

색면추상을 이용한 스마트워치 잠금화면 디자인 연구 = Smartwatch Lock Screen Design using Color Field Painting : focused on visualizing stress levels : 스트레스 지수 시각화를 중심으로 이한나, 최종훈 pp.371-382

바흐친의 카니발레스크에 기반한 현대 유리예술의 조형성 연구 = (A)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glass art base on Bakhtin's Carnivalesque 이우철, 이헌국 pp.355-369

환상그림책에 나타난 老子의 有無相生 연구 = (A)Study on Lao-tzu's Yumusangsaeng based on Fantasy Picture Book 이소영, 문철 pp.331-342

통합적 사고를 유도하는 자유학기제 디자인교육 실행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Developing an Implementation Model of Design Education for Test-Free Semester System, Leading Integrated Thinking 이선정, 박영목 pp.321-330

2012년 대통령 선거에 관련된 신문 기사의 보도사진 분석 = (A)Study On the Coverage Photos of Newspapers During 2012 Presidential Election Season : Centering around Chosun newspaper and Hankyoreh newspaper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이민형, 김현석, 장동련 pp.309-319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패션액세서리 디자인개발 = (A)Study on the Fashion Accessory Design applying Wearable Technologies : Focusing on the Aesthetic Design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 of the Image of the Light : 빛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과 기술적용을 중심으로 이현승, 김윤희, 이재정 pp.383-398

한국 현대공예의 전개와 전시의 역할 = (The)Influence of Fine Arts Exhibition System on Korean Contemporary Craft : focusing on Craft exhibitions in Korea during 1950s and 60s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이소현 pp.343-353

커스텀주얼리에 대한 연구 = (A)Study on Costume Jewelry : focused on its definition and function : 정의와 기능을 중심으로 이광선 pp.299-308

신발 카테고리 킬러에 있어 점포속성과 경제적 쇼핑성향, 관계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Study on Effects of Store Characteristics, Economic Shopping Tendencies and Relationship Quality on Re-visit Intention of Customers Using Shoes Category Killer Retailers : focusing on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 서울과 경기지역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이경미 pp.281-297

놈코어 트렌드에 나타난 럭셔리 개념 및 적용유형 분석 = Analyse of Luxury Concept and Adopted Type of Nomcore Trend 양미경, 한기창 pp.267-280

영화 서사구조의 재매개적 배치에 관한 연구 = (The)Study about Re-mediated Assemblage of Film's Narrative Structure :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lm of <Black Swan> and <Birdman> : 영화 <블랙스완>과 <버드맨> 비교를 중심으로 안근영, 윤준성 pp.249-266

프라다 판타지 룩북의 재고 = (A)Reconsideration of Prada Fantasy Lookbook 신혜정 pp.231-247

3D 프린팅 패션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의 조형 연구 = (A)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 focused on iris van herpen : 아이리스 반 헤르펜을 중심으로 송아라, 금기숙 pp.219-230

이론적 대상으로서의 사진 = Photography as a Theoretical Object : focused on reconsideration of indexicality : 지표성에 관한 재고를 중심으로 손영실 pp.205-217

공학계열 학생을 위한 디자인 융합 전문교양 교과목 운영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ing & ICT Students Sung, Sang Hee, Choi, Ji Eun, Kang, Hyeon Joo pp.195-204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Global Capstone Desig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서연화, 심현애 pp.183-194

다중영상시스템으로 구현한 무대 위의 큐비즘 = Stage Cubism by multi-camera system : focused on Interview with Isang YUN : <윤이상을 만나다>를 중심으로 변혁 pp.171-182

학교부적응아 동적가족화(KFD) 그림 해석 및 시사점 연구 = (A)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Kinetic Family Drawing of the School Maladjustive Children and Implications 백중열 pp.159-170

설치 예술의 방법론적 위상 재고 = Repositioning Installation as Regenerating Medium 백영주 pp.145-157

현대건축의 비정형형태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상호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 (An)Analysi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Atypical Form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박상준 pp.129-143

플래그쉽 스토어를 통한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소비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Influence of Brand Experience in Flagship Stores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yewear Brand 'Gentle Monster' : 아이웨어 브랜드 젠틀몬스터 사례를 중심으로 류현주, 이연준 pp.101-111

인스타그램의 기표적 관점에 의한 현대 소비문화공간의 특성연구 = Characteristics Study of Modern Consumption Cultural Space by the Signifiant Aspect of Instagram 김현영, 조경영, 윤재은 pp.85-100

동시대 공예이론의 전개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Contemporary Craft : focused on Howard Rissati and Larry Shiner's theory : 하워드 리사티와 래리 샤이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지은, 박일호 pp.73-83

시게루 반의 재난구조 가설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Architecture for Disaster Relief in Shigeru Ban's Works 김정훈, 이일형 pp.61-71

한국근대회화에 표상된 향토경의 혼종성 연구 = (The)study about hybridity of Hyangtogung represented in Korean modernpainting 김인숙 pp.51-59

스핀오프 영화에 나타난 원작 캐릭터의 재해석 특징 연구 = (A)study on features reinterpreting original characters from spin-off film : Mainly focused on <Maleficent> & <The Servant> : <말레피센트>와 <방자전>을 중심으로 김용원, 전승규 pp.37-50

디지털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위한 재현 및 시각재현요소들에 관한 연구 = (A)Study on Concept of Representation and Visual Elements for Communication Design in the Digital Environment Era 김영호 pp.25-36
플라스틱을 이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의미 연구 = (A)Study on the Formative Meanings Adopting Plastic in Modern Fashion Design 권기영 pp.1-11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 연구 = (A)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oviet Avant-garde Fashion Design 금기숙, 이다경 pp.13-24

박현기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관한 고찰 = (A)Study on Park Hyun-Ki's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 Focused on His Mirror Works : 거울작업을 중심으로 민희정 pp.113-127

참고문헌 (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암종, 한국디자인 진흥30년사, 2002. 미소장
2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design in Incheon- in Incheon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소장
3 씽굿 (http://www.thinkcontest.com) 미소장
4 사단법인 일석교육장학재단 미소장
5 한일전기 디자인공모전 진흥위원회 미소장
6 한일전기 주식회사 미소장
7 임은지, 제2회 한일전기 디자인 공모전 “동상” 수상, 경성대학교, 2011 미소장
8 김동욱, 이나영, 제5회 한일전기 디자인 공모전 “금상” 수상, 목원대학교, 2014 미소장
9 김윤지, 김가현, 제5회 한일전기 디자인 공모전 “대상” 수상, 협성대학교, 2014 미소장